산.학.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Field-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Oriented Supervision Program for Child-care Centers

  • 남미경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발행 : 2012.12.31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직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장학프로그램을 산 학 관 협력으로 계획,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어린이집 장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성 평가기준에 따라 선정된 분야별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와 어린이집의 보육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적절성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시안을 개발한 후, 중소도시에 위치한 A어린이집 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장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산 학 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시안은 장학프로그램의 내용 영역 27개 항목과 운영 영역 36개 항목, 총 63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적절성 인식 조사결과 장학영역, 운영을 위한 주체별 역할, 운영을 위한 상호협력적 역할에 대해서 모든 항목의 적절성이 평균 3.0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 학 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의 적용은 3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시과정을 통해 참여자들은 산 학 관 협력에 대해 '협력의 이중성', '아쉬움과 한계'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developed and applied the 'field-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oriented supervision program' for child-care centers. A draft of the 'field-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oriented supervision program' was drawn up from the Delpi method with a panel consisting of experts, and from teachers's perception on it's adequacy. And then it was applied to A child-care center. Participating subjects consisted of a panel of 20 experts, 153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1 director and 4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1 professor in an university. The step by step results of the study are 1) the developed draft of the 'field-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oriented supervision program', included two categories and consisted of a total 63 items; 2) when the program was applied, participant' responses through the supervision was summarized as 2 key words, 'new attempt vs limits of unprepared collaboration', 'confusion and further possibility'. In conclusion, this program showed both possibility and limita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시천, 이윤보(1998). 벤처기업 산학협동의 현황과 문제점. 상경연구, 23(2), 213-238.
  2. 고영미(2008). 우리나라 유아교육.보육정책의 기본 방향 및 과제. 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동계전국학술대회집, 제12권, 제 4-1호, pp. 71-79.
  3. 김영천(2006). 질적 연구 방법론 I. 서울: 문음사.
  4. 김은설, 김은설, 안재진, 최윤경, 김의향, 양성은, 김문정(2009). 보육종사자의 전문성 제고방안연구. 육아정책연구소.
  5. 남미경(2011). 델파이 방법을 활용한 산.학.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159-182.
  6. 박해미, 이순영(2009). 보육교사의 근무유형, 자격, 경력, 연령에 따른 장학요구 유형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3), 139-153.
  7. 보건복지부, 교육과학기술부(2012).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고시문. 보건복지부.교육과학기술부
  8. 양정미(2004). 보육교사의 교사관심사 발달단계에 따른 장학실태 및 요구도 조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염지숙, 이명순, 조형숙, 김현주(2008). 유아교사론. 경기: 정민사.
  10. 원영미(2001). 보육시설 장학지도 모형개발을 위한 사례연구. 유아교육논총, 제 10권. 109-140.
  11. 유미경(2000). 보육교사의 자기장학 실태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윤정주(2008). 자율장학에 대한 보육기관유형별 교사의 인식과 실태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이경철(2006). 유아교육기관 평가인증제의 산.학.관 협력모형 개발연구-델파이와 AHP기법을 활용하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이근주(2006). 어린이집 자율장학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민간어린이집 시설장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6(2), 115-137.
  15. 이민원(2011). 보육인력의 전문성, 보육의 질을 결정한다. 육아정책포럼, 제22호. pp. 28-35. 육아정책연구소.
  16. 이은화, 배소연, 조부경(1995). 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17. 이정희, 정계숙(2009). 산학협력을 통한 부적응 유아의 사회적 관계 증진 사례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3), 59-86.
  18. 조부경(2003). 유아교육 실습지도를 위한 대학과 유치원과의 협력모형 개발. 유아교육연구, 24(3), 47-76.
  19. 조부경, 남옥자(2008). 유치원 교육의 지역화를 위한 대학과 지역교육청 및 유치원 간의 협력방안모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339-364.
  20. 조성연(2007). 보육시설 내 교사 장학 프로그램.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 61-80.
  21. 조성연, 강재희(2007). 보육교사의 현직교육 및 보육시설 내 장학에 대한 현황과 보육시설장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1(2), 405-418.
  22. 조혜경(2006).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위한 장학에 대한 연구. 보육정책연구, 2(2), 83-100.
  23. 진동섭, 김도기(2005). 컨설팅 장학의 개념 탐색. 교육행정학회지, 23(1), 1-25.
  24. 차미영(2011). 직장어린이집의 개원 및 초기 운영을 위한 산.학.관 협력체제 개발.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5. 최연철(2002). 유치원교사의 발달 단계 이론에 따른 현직교육의 방향. 열린유아교육연구, 7(2), 279-296.
  26. 최중근(2008). 웹기반 산.학 협력 유아교육 실습지도 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황보영란(2005). 유아교사들 간의 협동과 관련된 사회조직적 변인 연구. 유아교육연구, 25(1), 109-127.
  28. 황해익(2004). 유아교육에서의 산.학.관 협력체제: 대학의 역할, 유아교육 산.학.관 협력체제 어떻게 할 것인가?. 부산유아교육학회 2004추계 국제학술대회자료집, pp. 100-114.
  29. 황해익, 남미경(2011). 보육시설 종사자의 자격 및 처우. 2011년 춘계공동학술대회자료집, pp. 128-149. 한국보육지원학회.
  30. Ade, W.(1982). Professionalization and its implication for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Young Children, 37(3), 25-26.
  31. Ellen, G., & Pearl, S. (2005). Modeling creative and courageous school leadership through district community-university partnership. Educational Policy, 29(1), 223-249.
  32. Fish, J. (2004). A trends of cooperative system among the fields, colleges, and government in U.S.A., Practice and collaboration: The story of the California State University, Northridge/ Child Care Resource Center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sulting Services, 미국의 산.학.관 협력체제의 동향, 부산유아교육학회 2004년 추계 국제학술대회자료집, pp. 1-41.
  33. Kremenitzer, J. P., & & Myler, T. (2006).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 educator and kindergarten teacher. Childhood Education, 82(3), 165-170. https://doi.org/10.1080/00094056.2006.10521370
  34. Rainforth, B., et, al. (1992). The Effects of full Inclusion on Regular Education Teachers. Final Report [microform]. CA: San Francisco State Univ. California Research Inst.
  35. Spodek, B. S. (1988). Implicit theor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undation for professional behavior. In B. S. Spodek, O. N. Saracho, & D. L. Peters(Eds.). Professionalism and the early childhood practitioner. NY: Teachers College Press.
  36. Zeichner, K. (1986). Preparing reflective teacher: An overview of instructional strategies which have been employed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1(5), 565-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