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친화적 손끝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과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Nature-friendly Fingertips Play Program for the Development Small Muscle Functions and Creative Thinking Abilities of Young Children

  • 변상우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 서현아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
  • 한희정 (경성대학교)
  • 발행 : 2012.10.31

초록

본 연구는 자연 속에서 자연물을 가지고 손끝놀이를 활용한 자연친화적 손끝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과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B시에 위치한 H어린이집 만5세 유아 14명과 P어린이집 만5세 유아 14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을 측정하기 위해 강병동(2002)이 연구한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 평가도구'와 창의적 사고력 발달을 측정하기 위한 토랜스의 창의력 검사 중 도형검사를 김영채(2004)가 표준화시킨 한국판 창의성 도형검사를 사용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친화적 손끝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전체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과 정확성, 신속성, 안정성의 3가지 하위요소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자연친화적 손끝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전체 창의적 사고력 및 창의적 사고력 하위요소 중 '유창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자연친화적 손끝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과 창의적 사고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how a nature-friendly fingertips play program with nature affected the development of small muscle functions and creative thinking abilities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 five year old children. Fourteen of them were from H preschool and the other fourteen were from P preschool in the city of B. The research 'evaluation tool for small muscle motor function development' by Byung Dong Kang(2002) was used to measure the small muscle motor functions of preschool students. The Korean version standardized by Young Chae Kim(2004) was used to measure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hinking abilities. The study arrived at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nature-friendly fingertips play program affected positively to the development of entire small muscle functions, accuracy, rapidness, and stability for young children. Second, the nature-friendly fingertips play program affected positively to the entire creative thinking abilities, fluency, and resistance to the early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nature- friendly fingertips play program affected positively to the development of small motor functions and creative thinking abili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병동(2002). 유아의 대근육 및 소근육 운동발달조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상조, 조정환(1986). 유아체육. 서울: 한국사회체육진흥회.
  3. 김경진(2008). 영유아 발달검사 소근육 운동척도의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경희(2007). 무용교육이 유아의 신체표현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미수(2002). 미술활동이 경도 정신지체아동의 소근육 운동능력과 시지각발달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신영(2007). 바깥놀이를 통한 자연 친화교육이 유아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영(1995). 인간 발달 생태학. 서울: 교육과학사.
  8. 김은심(2006). 유아동작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9. 김은지(2009). 자연친화적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정규(1982). 교육심리학. 서울: 형설출판사.
  11. 김정신(1999). 몬테소리 감각교육에 관한 이론적 고찰. 영유아보육연구, 제5집, 1-19.
  12. 김정희(2007). 산책을 통한 자연친화적 탐구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김현숙(2005). 자연생태교육이 특수학급 아동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문은자(2000). 소집단 과학 활동의 전개 유형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박대근(2004). 유아기 대.소근육 운동발달의 과정적 특성.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박대근(2000). 유아의 기본운동 및 지각-운동 발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백정이(2006). 자연친화적 체험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붉나무(2005). 사계절 생태놀이. 서울: 천둥거인.
  19. 성희미(2007). 자연친화적 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가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신현진(2009). 악기연주와 동작활동을 통한 상지동작 훈련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소근육 운동기술 향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윤임귀(2004).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이병희(2007). 손끝놀이 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미치는 변화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선미(2009). 자연물을 이용한 조형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종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이수민(2006). 산책을 통한 자연친화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숙재, 김영(1990). 유아를 위한 운동놀이 활동. 서울: 창지사.
  26. 이연섭(1985). 유아교육과정. 서울: 창지사.
  27. 이연섭, 강문희(1980). 생활중심 개별화지도 유아교육. 서울: 정민사.
  28. 이연섭, 김성일(1981). 유치원 아동의 학습준비도 연구(II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9. 이인원(2008). 자연체험 활동이 유아의 과학 탐구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2), 257-287.
  30. 이철수(2000). 3.4.5세 유아의 대근육 발달 경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임갑빈, 박영란(2007). 생태유아교육 탐구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 탐구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125-165.
  32. 임선하(1993). 창의성에의 초대. 서울: 교보문고.
  33. 임순희(2004). 자연친화적인 프로그램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임재택(2005). 생태유아교육개론. 파주: 양서원.
  35. 임재택, 김은주, 하정연, 권미량, 조채영(2006).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운영. 서울: 공동체.
  36. 임재택, 하정연, 김은주, 최윤정, 강신영(2005). 손끝으로 만나는 세상. 파주: 양서원.
  37. 임재택, 하정연, 조채영(2004). 선생님! 바깥놀이 해요. 파주: 양서원
  38. 장경혜(1994). 탐구학습 중심 과학교수방법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정경주(2003). 자연 생태체험활동이 학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정안숙(2004). 손끝놀이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시지각발달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정혜란(2001). 생태중심 유아교육집단의 창의성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조석희(1996). 유아를 위한 창의성 프로그램 개발. 인간발달연구, 24(1), 29-48.
  43. 조윤경(1991). 장애아동의 소근육운동과 미술지도.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44. 주보경(2008). 자연물을 이용한 미술치료가 경도 지적 장애아동의 소근육 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최현숙(2011). 자연 친화적 수학교육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하정연, 김은주(2000). 유아를 위한 손끝놀이프로그램의 적용사례. 영유아보육연구, 6(1), 2000.
  47. 하정연, 임재택, 배은진, 백현윤, 이연주(2009). 아이들과 함께하는 산책. 서울: 공동체.
  48.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2005). 생태유아교육선집 1. 서울: 양서원.
  49. 한국행동과학연구소(1984).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집 신체발달영역, 서울: 문교부.(이동)
  50. 한국홀리스틱교육실천학회(2002). 홀리스틱교육 교장 연수자료. 인천: 한국홀리스틱교육실천학회.(이동)
  51. Amabile, M.(2009). 현상돌파의 사고력: 개인 창의성을 혁신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영전략. 현대경제연구원 옮김. 서울: 21세기북스.
  52. Osborn, A. F.(1980). 창의력 개발을 위한 교육. (신세호 외, 역). 서울: 배영사, (원저 1963 출판).
  53. Balkin, A.(1990). What is creativity? What is it not? Music Education Journal,76(9), 29-32. https://doi.org/10.2307/3401074
  54. Bear, J.(1993). Creativity and divergent thinking: A task-specific approtch.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5. Clark, B.(1988). Growing Up Gifted(3rd Ed.) Cloumbus: Merrill.
  56. Gallahue, D. L.(1993). Developmental physical education for today's children (2nd.). USA: Wm. C. Brown communications, Inc.
  57. Gallahue, D. L.(1976). Motor development experiences for young children(3-7). New York: John Wiley & Sons.
  58. Gallahue, D., & Ozmun, J.(1982). Understanding Motor Development: Infants, Children, Adolescents, Adults. IA : Brown & Benchma.
  59. Gardner, H.(1991). Creating mind. New York: Basic Books.
  60. Golann, S. E.(1963). The psychological study of creativity. Psychological Bulletin, 60, 548-565. https://doi.org/10.1037/h0041573
  61. Guilford, J. P. & Hoepfner, R.(1971). The analysis of intelligence. NY: Mcgraw Hill Book Company.
  62. Hennessey, B. A., & Amabile, T. M.(1988). The role of environment in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pp. 11-38.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 Isaksen, S. G. & Parnes, S. J.(1985). Curriculum planning for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9(1), 1-29. https://doi.org/10.1002/j.2162-6057.1985.tb00400.x
  64. Meeker, M.(1978). Measuring creativity from the child's point view.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2(1), 52-61. https://doi.org/10.1002/j.2162-6057.1978.tb00159.x
  65. Osborn, A. F.(1963). Applied imaginotion: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New York: Charls Scribner's Son.
  66. Piek J. P.(2006). Infant motor development Champaign, II, : Human Kinetices.
  67. Purkey, W. W.(1970). Self concept and school achive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68. Torrance, E. P.(1981). Thinking creatively in action and movement. Scholastic Testing Service, Bervice, Bensenville. IL.
  69. Torrance, E. P.(1972). Can we teach children to think creatively. The Journal of Creativity Behavior, 6, 114-143. https://doi.org/10.1002/j.2162-6057.1972.tb00923.x
  70. Torrance, E. P.(1963). Education and the creative potential.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71. Webster, P. R.(1990). Creativity thinking in music: Creativity as creative thinking. Music Educators Journal. 76(9), 21-28. https://doi.org/10.2307/3401072
  72. Williams, H. G.(1983). Perceptual and motor development.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N. J. 07632.
  73. Wilson, R. A.(1995). Nature and young children: A natural connection. Young Children, 50(6), 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