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ory of Grandmothers' Experience Raising Children

할머니의 양육경험 이야기 : 자녀 세대와 손자녀 세대 양육을 중심으로

  • 김윤숙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 전연우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
  • 조희숙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take a look at grandmothers' experience raising children with a focus on the children's generation and the grandchildren's generation. To do thi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grandmothers who raised their children and their grandchildren. As a result, grandmothers' experience raising children was shown in three categories: change in the raising environment, the raising culture, and the sense of value of raising childr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aising experience of grandmothers who have raised children in the past and are currently raising children again are being changed by the transition in raising experience, raising culture, and sense of value of raising children.

본 연구는 할머니의 양육경험을 자녀 세대와 손자녀 세대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녀 세대와 손자녀 세대의 양육을 경험한 세 할머니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할머니의 양육경험은 양육 환경의 변화, 양육 문화의 변화, 양육가치관의 변화로 크게 3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양육 환경의 변화는 '혼자 하는 양육에서 성인 자녀와 함께 하는 양육으로', '체력으로 이겨낸 양육에서 체력이 달리는 양육으로' 으로 나타났다. 양육문화의 변화에서는 '전통을 답습하는 양육에서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는 양육으로', '보편적인 양육에서 차별화된 양육으로', '계획되지 않은 양육에서 계획된 양육으로' 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양육가치관의 변화에서는 '무조건적 사랑의 양육에서 사랑과 훈육이 조화된 양육으로', '학습최우선의 양육에서 건강최우선의 양육으로', '조바심 내는 양육에서 기다려주는 양육으로'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양육 환경, 양육 문화, 양육 가치관에 따라 과거와 현재를 양육하는 할머니의 양육경험이 변화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인수(2000).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 아동간호학회지, 6(2), 212-223.
  2. 김문정(2006). 할머니의 손자녀 양육경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문정(2007). 손자녀를 양육하는 할머니의 양육부담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7(6). 914-923.
  4. 김승용, 정미경(2006). 손자녀 돌봄에 대한 조모 및 취업모의 인식 조사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5), 67-96.
  5. 김영천(2008). 질적연구 방법론 I. 서울: 창지사.
  6. 김은주, 서영희(2007).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실제에 관한 질적연구. 아동학회지, 28(2), 175-192.
  7. 박화윤, 이영숙(1999). 유아기 손자녀에 대한 조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9(2), 21-41.
  8. 박희진, 문혁준(2012) 어머니의 양육 죄책감 및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종일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2), 121-137
  9. 배지희, 노상경, 권경숙(2008). 조부모의 영유아기 손자녀 양육 현황 및 양육 지원에 대한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379-410.
  10. 배진희(2006). 양육스트레스가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보건복지부(2009). 보육실태조사.
  12. 서동인(1989). 손자녀가 지각한 조모와 손자녀와 접촉과 조모의 역할수행. 한국가정관리학회지, 7(6). 45-60.
  13. 서명석(2009). 동양의 양육전통인 엄부자모(嚴父慈母)를 둘러싼 시선과 눈짓. 교육사상연구, 23, 127-140.
  14. 우리사회문화학회(2001). 탈근대세계의 사회학. 대구: 정림사.
  15. 윤승희(2005). 조부모 가구 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관련된 요인-전북지역 조부모가구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이하정(2005). 조모세대와 모세대간의 자녀 양육문화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4(1), 141-167.
  17. 이현수(2007). 손자녀를 양육하는 할머니의 심리적 체험연구. 서울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특수심리치료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이화영(2006). 조손가족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32, 327-355.
  19. 장혜자(2003). 24개월 미만 영아에 대한 어머니와 조모의 양육행동과 양육지원. 한국생활과학회지, 12(2), 173-181.
  20. 장혜자, 조복희(2003). 세대를 통하여 전이되는 조모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조모의 양육지원. 한국영유아보육학, 31, 269-286.
  21. 정대련(2003). 다문화권의 전통적 양육방식 비교연구. 생활과학연구, 40, 7-30.
  22. 정미라, 김명순, 박은혜, 신동주(2006). 한국의 현대적 아동관에 대한 탐색. 서울: 창지사
  23. 정영숙, 장혜자, 김연화(2005). 조모와 어머니 두세대의 자녀양육 비교 연구: 유아 어머니가 지각한 내용을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논총, 9(2), 49-59.
  24. 주봉관(2000). 손자녀 양육에 대한 조부모의 역할 조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최혜순, 남효순(2011). 손자녀 양육에 참여하는 조모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TV 드라마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1(3). 123-149.
  26. 최혜순, 양은호(2010). 한국의 전통 육아. 서울: 신정.
  27. 한덕웅,성한기, 강혜자, 이경성, 최훈석, 박군석 외(2005). 사회심리학. 서울: 학지사.
  28. Berenic, N., Xiaodong, Z., Chris, N., & Ly, T. (2009). Grandparents as educators and carers in China. Journal of Early Childhood Research, 7(1), 46-57. https://doi.org/10.1177/1476718X08098353
  29. Crain, W. (2005). Theories of development, 발달의 이론(송길연, 유봉현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판 2000)
  30. Dolbin-MacNab, M. L. (2006). Just like raising your own? Grandmothers' perceptions of parenting a second time around. Family Relations, 55, 564-575.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6.00426.x
  31. Gibson, P. A. (2005). Intergenerational parenting from the perspective of African American grandmothers. Family Relations, 54, 280-297. https://doi.org/10.1111/j.0197-6664.2005.00022.x
  32. Griggs, I., Tan, J., Buchanan, A., Attar-Schwartz, S., & Flouri, E. (2010). They've always been there for Me: Grandparental involvement and child well-being, Children & Society, 24, 200-214.
  33. Haglund, K. (2000). Parenting a second time around and ethnography of African-American grandmothers parenting grandchildren due to parental cocaine abuse. Journal of Family Nursing, 6, 120-135. https://doi.org/10.1177/107484070000600203
  34. Hayslip, B., & Kaminski, P. L. (2005).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Marriage and Family Review, 37, 147-169. https://doi.org/10.1300/J002v37n01_10
  35. Kertzer, D. I. (1983). Generations as a sociological problem. American Review of Sociology, 9, 125-149. https://doi.org/10.1146/annurev.so.09.080183.001013
  36. Kvale, S. (1996). Interviews: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ing. London: Sage.
  37. Merriam, B. S. (1994). 교육학에서의 질적 사례연구법(허미화 옮김). 서울: 양서원(원판 1988).
  38. Merriam, S. B. (1988).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A qualitive approach. San Francisco: Jossey-Bass Ine., Publishers.
  39. Morrison, G. S. (2001). Early childhood education today(8th ed). New Jersey: Merrill Prentice Hall.
  40. Mueller, M. M., & Elder, G. H. (2003). Family contingencies across the generations: Grandparent-grandchild relationships in holistic perspectiv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5, 404-417.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3.00404.x
  41. Musil, C. M., Youngblut, J. M., Ahn, S., & Curry, V. L. (2002). Parenting stress: A comparison of grandmother caretakers and mothers.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ging, 8, 197-210.
  42. Pillemer, K., & Suitor, J. J. (1991). Will I ever escape my child's problems? Effects of adult children's problems on elderly parent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3(3), 585-594. https://doi.org/10.2307/352735
  43. Solomon, J. C., & Marx, J. (2005). "To grandmother's house We go:" Health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raised solely by grandparents. The Gerontologist, 35(3), 386-394.
  44. Somary, K., & Stricker, G. (1998). Becoming a grandparent: A longitudinal study of expectations and early experiences as a function of sex and lineage. The Gerontologist, 38, 53-61. https://doi.org/10.1093/geront/38.1.53
  45. The Grandparents' Association. http://www. grandparents-association.org.uk 출력일 2012년 5월 29일
  46. Yoon, S. M. (2005).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Asian-American grandparent caregivers: A study of Chinese-American and Korean-American grandparents in New York City.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44(3), 75-94. https://doi.org/10.1300/J083v44n03_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