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ndchildren generatio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Adversities Experienced by Grandchildren in Korea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and their Family Resilience

  • Jung, Min-ja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7권2호
    • /
    • pp.17-30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ake a policy proposal for Korea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analyzing what adversities adolescent grandchildren suffer when living in a grandparent-grandchild family, the types of Korean families and how family resilience appears as family power.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20 consenting adolescents were selected for an interview from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recommended by the U City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e discussed divorce, death, financial bankruptcy related stress, economic difficulties in the present family, accidents involving family members of a grandparent-grandchild family, grandparents' serious disease, death, family conflicts and family comparisons with friends. Second, in the domain of family resilience, desire to maintain the family appeared as a Korean value. In addition, efforts to bond as an emotional family and grandchildren's attitudes of gratitude to grandparents are also expressed. However, family conversation appears weak due to the generation gap between adolescents and grandparents or complications from family stress. Third, the resilience in the family organization appeared weak since there are relatively insufficient socio-economic resources to support the family. This study makes several suggestions for family policies and shows the necessity to develop policies that reflect the needs of grandchildren and grandparents.

조손가구 이전소득의 빈곤감소 효과: 조손가구, 독거노인가구, 노인부부가구, 자녀동거가구 비교 (The Effects of the transfer Income on Poverty Decrease of Grandparents-grandchildren Households: Comparing Grandparents-grandchildren with Living Alone, Couple, and Living with Adulthood Children)

  • 민기채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321-34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 노인가구 유형과의 비교를 통해 그간 노인빈곤 이슈로부터 배제되어 있던 '조손가구'의 소득구성원, 빈곤율, 빈곤동태, 빈곤가구주 특성 및 공·사적 이전소득의 빈곤감소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차(2005년)와 제2차(2007) 『국민노후보장패널 학술대회용 자료(KReIS)』를 이용하여, LIS의 소득 정의 재구성에 따라 각각의 소득구성원이 추가되었을 때의 빈곤감소효과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2006년을 기준으로 조손가구는 다른 가구유형에 비해 총소득이 가장 적었고, 소득수준은 자녀동거가구의 약 1/4 수준이었다. 또한 다른 가구유형의 근로소득이 시계열적으로 모두 증가하고 있지만, 조손가구는 유일하게 감소하고 있었다. 그리고 중위소득의 1/2을 적용하여 빈곤율을 측정한 결과, 조손가구는 약 10가구 중 3가구가 빈곤상태에 있었고, 가장 빈곤한 가구유형이었다. 사적이전소득과 공적이전소득의 총 빈곤감소 효과를 본 결과, 이전소득이 추가된 후 10가구 중 약 4가구가 빈곤에서 탈출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조손가구는 독거노인가구에 비해 공적이전소득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반면, 독거노인가구는 조손가구에 비해 사적이전소득의 빈곤감소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이전소득의 빈곤감소효과가 2004년에 비해 2006년의 경우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공적이전소득보장에 대한 기능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간 노인빈곤가구로 독거노인가구가 대표되어 왔으나, 조손가구도 독거노인가구만큼 빈곤한 상황이라는 것은 노인빈곤 이슈에서 조손가구가 배제되지 않아야 하며, 독거노인가구처럼 조손가구를 위한 맞춤형 소득보장 정책이 절실히 요청됨을 시사한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조손가족 조모가 경험하는 손자녀 양육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박화옥;임정원;김민정
    • 한국노년학
    • /
    • 제41권4호
    • /
    • pp.587-609
    • /
    • 2021
  • 본 연구는 개별 심층면접을 통해 조손가족 조모의 손자녀 양육에 대한 경험을 확인하고, 양육자의 관점에서 어떠한 신체-심리-사회적 이슈들을 당면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에서 조모와 손자녀가 경험하는 다양한 이슈와 변화 및 어려움을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동거가족 내 부모세대 없이 6개월 이상 손자녀를 전담 양육하는 7명의 조모이고, 자료수집은 반 구조화된 심층 면접을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1) 손자녀 양육에 대한 나의 느낌, 걱정, 그리고 대처, 2) 손자녀 양육의 현실에서 부딪히는 어려움과 장애, 3) 자라면서 변화하는 손자녀와의 갈등 그리고 대처, 4) 조부모, 부모, 손자녀 그들 간의 관계와 감정, 5) 서비스 및 자원에 대한 욕구와 바람이라는 5개의 주요 범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들 범주에서는 총 16개의 주제어와 60개의 하위주제어가 도출되었다. 전반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조모는 손자녀 양육에 대해 양가감정(보람과 부담감)을 갖고 있었고, 공통적으로 경제적 어려움과 건강의 한계, 손자녀와의 소통 단절에 대한 어려움을 언급하였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손자녀가 조모와의 대화 없이 하루 종일 집에서 컴퓨터와 게임에 몰입하면서 세대 간 갈등이 더욱 심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조모의 서비스 욕구는 손자녀를 위한 학습지원과 정서적·관계적 지원, 그리고 경제적 지원에 우선순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조손가족 지원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할머니의 양육경험 이야기 : 자녀 세대와 손자녀 세대 양육을 중심으로 (The Story of Grandmothers' Experience Raising Children)

  • 김윤숙;전연우;조희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85-208
    • /
    • 2012
  • 본 연구는 할머니의 양육경험을 자녀 세대와 손자녀 세대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녀 세대와 손자녀 세대의 양육을 경험한 세 할머니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할머니의 양육경험은 양육 환경의 변화, 양육 문화의 변화, 양육가치관의 변화로 크게 3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양육 환경의 변화는 '혼자 하는 양육에서 성인 자녀와 함께 하는 양육으로', '체력으로 이겨낸 양육에서 체력이 달리는 양육으로' 으로 나타났다. 양육문화의 변화에서는 '전통을 답습하는 양육에서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는 양육으로', '보편적인 양육에서 차별화된 양육으로', '계획되지 않은 양육에서 계획된 양육으로' 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양육가치관의 변화에서는 '무조건적 사랑의 양육에서 사랑과 훈육이 조화된 양육으로', '학습최우선의 양육에서 건강최우선의 양육으로', '조바심 내는 양육에서 기다려주는 양육으로'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양육 환경, 양육 문화, 양육 가치관에 따라 과거와 현재를 양육하는 할머니의 양육경험이 변화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3대동거가족의 세대별 침실공유실태와 노인주거에 관한 의식 및 동거만족도 비교 (differences in the Housing Norms and Satisfactions among the three Generations of the Extended Families)

  • 김은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03-31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with sharing a bedroom among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and the differences in the housing norms and satisfactions among the three generations of the extended families in Cheong-Ju city. Each three generations of the 50 extended families was interviewed with the questionnaire designed for each generation. The respondent family had at lest one child aged from 10 to 14 years old. The results showed that 40.0% of the elderly parents and 76.0% of the grandchildren shared a bedroom with someone beside a spouse, while about 90.0% of married couples had their own bedrooms. However, sharing a bedroom did not reduce the housing satisfaction of the grandparent(s) and the grandchild. The living arrangement of coresidence was mostly preferred by the grandparents, followed by the parents. The younger generations reported the more alternatives in living arrangement for the elderly. The number of bedroom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be considered with coresidence of three generations but the most inadequat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housing to coreside.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elderly housing norms and coresidence housing satisfactions among the three generations. The grandparents were most satisfied with coresidence living arragement, followed by the grandchildren and the daughters-in-law.

  • PDF

손자녀 양육지원을 거부한 조모의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Grandmothers Who Refused to Support Childcare)

  • 김은정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62호
    • /
    • pp.71-102
    • /
    • 2018
  • 본 연구는 손자녀 양육지원을 거부한 조모의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손자녀 양육을 지원하고 있는 가족 및 노년기 여성에 대한 이해를 풍부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족 내에서돌봄 역할을 주로 맡아온 조모를 대상으로 이들이 손자녀 양육을 수용하지 않은 계기와 맥락, 이를 둘러싼 가족관계 경험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 현상학적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손자녀 양육지원을 '거부한' 경험이 있는 노년기 여성 7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이들은 손자녀 양육에서 오는 부담감과 연장된 어머니 역할에 대한 거부감, 가족 간 갈등발생 우려로 손자녀를 돌보지 않기로 하였으나, 성인자녀의 요청을 거절한 것에 대해 미안함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이들의 돌봄지원 거부 결정은 가족 구성원의 다양한역동을 야기했으나 이들은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면서도 나름의 방식으로 성인자녀들의 요구에 대응하며 자신의 결정을 관철하고 있었다. 셋째, 노년기 여성들은 손자녀 양육을 성인자녀들의 과업 혹은 사회가 책임져야 할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족과 사회가 여성 노인에게돌봄 책임을 전가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돌봄 및 가족관계에 대해 과거 노인세대와 다른 관점을 가진 여성 노인들이 등장했다는 점, 전통적인 젠더 인식과 가족돌봄 규범에 균열과 변화가 발생했다는 점을 확인해준다. 이는 돌봄지원 정책에 수립 시 이들의 관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손자녀 양육을 지원하고 있는 가족 및 노년기 여성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역할특성과 생성감이 노년기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andparenting Roles and Generativity on Depression among Grandmothers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 송승민;차승은;최영희;정윤경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87-403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grandparenting roles, elderly generativity, and depressive symptoms. Data were collected from 129 grandmothers who helped raise grandchildren attending daycare centers. Grandparenting roles were assessed as generational transferers, caretakers, emotional supporters, and educators. Elderly generativity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Loyola Generativity Scale and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on Depression Scale), respectively.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methods. According to the results, grandmothers were most likely to play a role as caretakers, and there were differences across factors correlated with grandparenting roles. More specifically, daily hours spent on grandparenting and years of grandparenting were related to the caretaker role, and a high level of education was related to the educator role. Poor health was correlated with the generational initiator role. According t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grandmothers who had access to more economic resources and who served as educators, emotional supporters, or generation initiators were more likely to show generativity. In addition, the higher the generativity, the less likely the depressive symptom was. Thes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rograms that can help grandparents raise preschool-aged grandchildren and suggest some interesting avenues for future research.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ree Generation Family-Madang Program' (Three Generational Integrative Program)

  • Chung, Ock-Boon;Chung, Soon-Hwa;Kim, Kyoung-Eun;Park, Youn-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8권2호
    • /
    • pp.85-97
    • /
    • 2007
  • The two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the 'Three Generation Family-Madang Program'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enhancing family functioning and strengthening family relationships. The 'Three Generation Family-Madang Program' consisted of six sessions, each of which included various types of activities and educational materials to evoke interests of the three-generation family member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 triples, consisting of mothers and their family members, each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Mean, Standard Deviation, MANCOVA,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the data analyse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 Generation Family-Madang Program' was effective in enhancing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relationships. Our program focused on the parent generation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and a more positive perspective toward other family members, which would enhance family functioning and family relationships. Our program also received positive feedback from the grandparent and grandchildren generation participants.

한국 노인의 조부모역할 유형과 손자녀를 위한 소비행동 (Grandparenting Style and Consumption Behavior of Elderly Consumers for Grandchildren)

  • 홍승우;최혜경
    • 한국노년학
    • /
    • 제32권4호
    • /
    • pp.1163-1180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 노인들의 조부모역할 유형은 어떻게 분류되며, 각 유형별로 손자녀를 위한 소비행동은 어떻게 다른지를 세대 간 자원이전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손자녀를 둔 60대 이상의 노인 461명을 대상으로 손자녀와의 관계, 손자녀를 위한 지출명목, 지출형태 및 지출액, 제품과 서비스의 구매 등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노인들은 밀착형, 공식형, 소극형의 세 가지 조부모역할 유형으로 구분되며, 조부모역할 유형에 따라 손자녀를 위한 소비행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착형 조부모들은 손자녀와의 관계에서 양육자이자 친구로서 손자녀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자원이전의 측면에서 적극적인 소비행동을 보였다. 공식형 조부모들은 양육에 크게 관여하지 않지만 밀착형 다음으로 적극적인 소비행동을 보였고 주로 현금을 주는 식으로 경제적 지원역할을 수행하였다. 소극형 조부모들은 밀착형보다 양육자나 친구로서의 관계가 약하고 세 유형 중에서 가장 소극적인 소비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물리적 자원이전 견지에서 조부모역할 유형에 따라 손자녀를 위한 소비가 각기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여성 베이비부머의 부양지원 제공과 우울 (Providing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Focussing on babyboom women)

  • 이여봉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1-74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observes how providing family support - financial, emotional, and instrumental - is related to depression in babyboom women. Method: I analysed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5th wave, collected by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egression, t-test, Chi-square test, frequency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Financial support for grown-up children, either married or unmarried, increases depression in babyboom women. In the dimension of instrumental support, caring for grandchildren reduces babyboom women's depression. It implies that contact with grandchildren is perceived as an emotional support rather than a physical burd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how that babyboom women are comforted by living with their own parents, but not by living with parents-in-law. The most impressive observation, however, is in the dimension of emotional support, which showed that the conversation with elderly parents reduces baby-boom women's depression, but that the conversation with married children increases it. The opposite directions in the effects seem to be related to the subjects of the conversations. The subjects of the conversation with children are mostly about problems and agenda of the children, while those with elderly parents are mainly about parents' health and care for each other.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uggest that babyboom women should become less involved with their grown-up children's lives. It also calls for the societal efforts to be put into building up the support system, especially for eco-boom generation, to reduce babyboomer's burden of supporting the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