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strument for Measuring Take-out Food Safety Perception

테이크아웃 음식의 안전에 대한 고객인식도 측정을 위한 척도에 관한 연구

  • Kim, Hak-Seon (Depart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Kyungsung University)
  • 김학선 (경성대학교 외식서비스경영학과)
  • Received : 2011.12.16
  • Accepted : 2012.03.17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 take-out food safety perception instrument that could be used by foodservice establishments. A total of 324 responses was collected via online survey, and 299 responses (92.3%)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Data was randomly split into two group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as performed on the first split-half sample (n=150) to identify a factor structure using standar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EFA revealed three dimensions, titled "Consumer food safety perception," "Take-out food handling," and "Elements impacting on purchase decision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performed on the remaining half sample (n=149)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CFA revealed acceptable absolute model fits for three dimensions and excellent comparative model fits for the instrument. These findings propose standardized measures that can be useful in assessing the take-out food safety perception.

외식산업에서 테이크아웃 음식이 대중화 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전략이 꾸준히 수립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고객의 인식을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테이크아웃 음식의 위생에 대한 고객의 인식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324개의 응답을 확보하였고 이중 불성실하게 기입된 응답을 제외하고 299개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데이터는 랜덤하게 2개의 세트 ($n_1$=150, $n_2$=149)로 분할되었고, 1차 데이터는 탐색적 요인분석에 2차 데이터는 확인적요인 분석에 사용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이를 "Consumer food safety perception," "Take-out food handling," and "Elements impacting on purchase decisions." 라고 명명하였다. 이어 실시된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척도가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으며 고객의 위생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적절한 도구임을 보여주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