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슈퍼마켓의 입지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천안상권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ocational Decision Factors of Discount Stores : The Case of Cheonan

  • 투고 : 2012.02.29
  • 심사 : 2012.05.18
  • 발행 : 2012.05.30

초록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상권과 상업시설의 입지 이론 등을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종합슈퍼마켓 입지 결정에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연구하였다. 종합슈퍼마켓 입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1차적으로 고려된 21개의 변수를 공통요인으로 묶은 결과 종합슈퍼마켓 입지에 미치는 요인으로 5개의 요인이 도출 되었다. 이중에서 잠재적 구매력 수준을 나타내는 인구적 요인이 가장 크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개의 점포들이 위치한 상권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인구적인 요인 이외에도 각각의 독특한 입지적 특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밝혀 낼 수 있었다. 각각의 종합슈퍼마켓들의 입지 요인으로서 그 영향력이 다양하게 나타난 것은, 종합슈퍼마켓의 주변지역이 어떠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가 추가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의 여러 연구에서 상업시설 입지결정요인으로서, 경제적 요인, 인구적 요인, 토지이용 요인, 교통적 요인 등의 4가지로 분류하던 것을 한국 현실에 맞게 재편성하여 더욱 설득력 높은 구체적인 5가지 요인으로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가 있다. 즉 본 연구를 통해 종합슈퍼마켓의 입지결정요인으로서 절대적으로 인구가 많은 곳, 주택이 밀집한 곳, 높은 소득의 주민이 거주하는 곳, 도로 교통이 발달되어 접근이 쉬운 곳, 대중교통이 발달한 곳이 선호된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첫째, 제 1요인으로서 인구적 요인은 종합슈퍼마켓 입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데, 개별소비자보다는 가구수와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제 2요인으로서 종합슈퍼마켓은 주택이 밀집된 곳을 비교적 선호하면서 입지하고 있는데, 이는 소비자의 접근이 양호하기 때문이다. 셋째, 제 3요인으로서는 주민의 소득수준이 높아서 대형승용차를 소유하고 도로교통 여건이 우수한 부유한 곳이 선호된다. 넷째, 제 4요인으로서는 상권 주변의 인접도로가 발달되어서 접근성이 좋을 경우 선호되는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다섯째, 제 5요인으로서 주부 등 여성 소비자들이 종합슈퍼마켓의 가장 중요한 고객임을 고려할 때, 이 계층이 가장 빈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버스 정류장으로부터 종합슈퍼마켓의 거리가 가까운 곳이 입지 요인으로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행태 및 선호도에 관한 변수는 제외시키고 물리적인 공간자료를 통해 종합슈퍼마켓의 입지 요인을 미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앞으로 추가로 진출 할 가능성이 충분한 기타 여러 도시에서 이러한 공간적 특성에 따른 입지 형태를 살펴봄으로써 대형 할인점의 진출 장소를 선택하거나 1차 사업성 분석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대형 유통시설 공간 확보를 위한 공공정책 분야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several factors that affect the locational decision of discount stores by using previous studies on the marketing area and the location of commercial facilities. We selected 21 primary variables that are expected to influence the decision of store location and, by factor analysis, grouped them into five underlying factors. Among these, the demographic factor, which shows the potential purchasing power level,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locational decision for the store. However, we found individual stores positioned according to unique location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e demographic factor. It means that we have to additionally consider if the vicinity of the market is based on any physical properties. Many previous studies proposed four decision factors for store location: the economic factor, the demographic factor, the land utilization factor, and traffic factor. However, the fivefold factors-our distinctive contribution-are more concrete and persuasive according to Korean reality. We show that location preference is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1) the area is densely populated, (2) houses stand close together, (3) residents have a high income level, (4) road traffic is developed and easy to access, and (5) public transportation is well developed. The demographic factor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location of a discount store. The number of households has a greater relevance to the demographic factor than does the individual consumer. Second, discount stores relatively prefer places where houses are located close together because such places offer easy access to the market. Third, a place whose residents have a high income level will be preferred, with its large cars and excellent traffic conditions. Fourth, a location would be highly rated if the roads around commercial facilities are well developed and their accessibility is good. Finally, discount stores must be located close to bus stops because female consumers, including housewives-the most important customers-evaluate stores based on distance. In this research, the variable of consumer attitude and preference was excluded, and the location factors of discount stor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a microscopic view through physical spatial data. In the future, the opening of new discount stores based on the five factors indicated above will require a comparatively shorter time from the first project feasibility analysis. In addition, the result of our study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public policy for constructing and attracting large-scale distribution facilit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