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MEA 기법을 활용한 공동주택 골조공사의 건설실패 핵심관리요인 분석

An Analysis of Critical Management Factors for Construction Failure on the Apartment Structural Framework using FMEA

  • 투고 : 2011.12.19
  • 심사 : 2012.02.02
  • 발행 : 2012.05.31

초록

국내의 건설실패 관련 연구는 체계화된 실패정보 분류체계 및 실패정보의 활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건설현장의 한정된 관리자가 건설실패를 유발하는 다양한 원인에 대한 예방대책을 수립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건설실패 예방활동이 이루지기 위해서는 많은 실패원인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통해 우선순위를 정하여 효율적인 예방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정량적인 평가를 통해 실패를 유발하는 핵심관리요인을 도출 할 수 있도록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기법을 활용한 건설실패 핵심관리요인 선정방법을 제시하고, 공동주택 골조공사를 대상으로 핵심관리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FMEA 기법의 위험도를 실패 위험성과 예방성으로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핵심관리요인 평가방법은 건설실패의 사전예방대책을 효율적으로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유사한 연구를 통해 프로젝트 수행 단계별 혹은 다양한 시설 및 공종에 대한 핵심관리요인을 도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revious construction failure researches were focused on the utilization plan based on failure information and development of failure classification. However, it has limitation to set up the plan for prevention of construction failure due to the lack of the number of on-site staffs. In order to prevent effectively construction failure, a prevention plan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quantitative evaluation of failure cau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ssessment method for selection Critical Management Factor(CMF) and to analyze the CMF on the apartment structural framework using FMEA(Failure Mode and Effective Analysis) which is one of the methods of quantitative evaluation. The element of risk evaluation separated degree of failure risk and prevention respectively. The assessment method for selection of CMF can be utilized for planning proactive solutions on the failure, and it can be also selected critical factors about each project phases, type of facility and construction work.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인석.김창학.곽중민 (2001). "건설공사단계별 리스크 인자 중요도에 관한 현황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7권 제8 호, pp.103-110
  2. 고성석.송혁.이한민 (2005)." 재해사례와 위험도 지수를 활용한 건축공사 안전정보 시스템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1권 제6호, pp.113-120
  3. 김윤성(2002)." 건설업에서의 시공FMEA 적용 방안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271-274
  4. 김진대 (2005). 실패 매커니즘 분석을 활용한 건설실패 조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김호기 (2011). "U-City 사업 계획단계에서의 핵심 리스크 요인 도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2권 제4호, pp.139-148
  6. 박용성.오치돈.전용석.박찬식(2008)." 사례기반추론을 이용한 웹 기반 건설실패사례 정보시스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9권 제6호, pp.257-267
  7. 박찬식.전용석.신영환.장내천(2003)." 건설실패정보 분류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4권 제1 호, pp.97-105
  8. 박창욱 (2007). 구조체 공사의 실패사례 분석을 통한 지속적인 시공 프로세스 개선방안,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유정호.송지원.김창덕 (2008). "FMEA를 활용한 중점안전관리 항목 도출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9권 제6호, pp.185-193
  10. 신규호.김재준 (2002). "국내개발사업 사전기획단계에서의 효율적 리스크 관리를 위한 리스크 인자 중요도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3권 제2호, pp.75-86
  11. 이현철.신석배.홍주현.고성석 (2009)." VE기반 공동주택 개발사업 리스크 평가에 관한 연구."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0권 제4호, pp.14-25
  12. 이현철.이건.여상구.고성석 (2009). "위험도 기반 건설경영 리스크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0 권 제3호, pp.82-91
  13. 장내천(2002). 건설실패 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전용석.김진대.박찬식 (2005). "건설실패의 발생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5권 제1 호, pp.507-510
  15. 전용석.박찬식 (2005)." 건설실패정보를 활용한 프로세스의 지속적 개선모델의 개념적 틀에 관한 연구."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6권 제1호, pp.195-204
  16. 정지덕 (2011), FMEA 기법을 이용한 병원프로젝트 설계변경 주요 요인 위험도 분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홍영탁(2004)," FMEA를 이용한 초고층건축시공의 공기영향요인 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0권 제10호, pp.183-192
  18. Bell, Glenn R (1985). "Failure Information Needs in Civil Engineering." Reducing Failures of Engineered Facilities, ASCE, pp.44-65
  19. Carper, Kenneth L (1987). "Structural Failures during Construction."Journal of Performance of Construction Facilities, ASCE, 1(3), pp.132-144 https://doi.org/10.1061/(ASCE)0887-3828(1987)1:3(132)
  20. FitzSimon, Neal (1985). "Notes on Statistics of Failures of Constructed Works." Reducing Failures of Engineered Facilities, ASCE, pp.11-13, 1985
  21. FitzSimon, Neal (1986). "Facing Failures: Alleged or Actual." Management Lessons from Engineering Failures, ASCE, pp.1-5
  22. Hadpriono, Fabin (1985). "Analysis of Events in Recent Structural Failure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111(7), pp.1468-1481 https://doi.org/10.1061/(ASCE)0733-9445(1985)111:7(1468)
  23. Kaminetzky, D (1991). Design and Construction Failures- Lessons from Forensic Investigations, McGraw-Hill
  24. Stamatis, D. H. (1997). TQM Engineering Handbook, McGraw-Hill, pp.590-600
  25. Thornton, C, H (1985). "Failures Statistics Categorized by Cause and Generic Class." Reducing Failures of Engineered Facilities, ASCE, pp. 14-23
  26. The Technical Council on Forensic Engineering of ASCE (1989). Guidelines for Failure Investigation, ASCE
  27. Wardhana, Fabin (2003)." Study of Recent Building Failures in the Unite States."Joural of Performance of Constructed Facilites, ASCE, 17(3), pp.151-158 https://doi.org/10.1061/(ASCE)0887-3828(2003)17:3(151)
  28. 중앙대학교 건설실패연구회(http://www.contil.org)

피인용 문헌

  1. Priority analysis of dispute factors in overseas construction based on FIDIC contract conditions vol.20, pp.6, 2016, https://doi.org/10.1007/s12205-015-0174-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