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Instructions Using Analogies in Learning the Concept of Saturated Solution by Analogy Presentation Types and Verbal Learning Styles

포화 용액 개념 학습에서 비유 표현 방식과 언어적 학습 양식에 따른 비유 사용 수업의 효과

  • Received : 2012.03.02
  • Accepted : 2012.03.29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instructions using analogies in learning the concept of saturated solution by the analogy presentation types and the verbal learning styles upon the mapping understanding, the mapping errors, and the perceptions of the instruction. Fifth graders (N=123) at an elementary school were selected and assigned to VA (n=63) and VPA (n=60) groups. As a pretest, a test on the verbal learning style was administered. The students in the VA group learned the target concept with a verbal analogy, while those in the VPA group learned it with a verbal/pictorial analogy. After the students learned it, a mapping understanding test was administered. The students in the VPA group also administered the test on the perceptions of the instruction and some of them were interviewed in depth.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cores of the students with strong verbal learning preference in the VPA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VA group in the mapping understanding test. However, the scores of the students with weak verbal learning preferen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Five types of mapping errors were identified: failure to map, mismapping, rash mapping, impossible mapping, and mapping of a surficial feature. According to students' verbal learning style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frequencies of mapping errors in the two groups. Many students in the VPA group, regardless of their verbal learning styles, had positive perceptions of the instruction in various cognitive and motivational aspects. However, some of them also pointed out a few difficulties of the instruc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포화 용액 개념 학습에서 비유 표현방식과 언어적 학습 양식에 따른 비유 사용 수업의 효과를 대응 관계 이해도, 대응 오류, 수업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조사했다. 1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23명을 선정하여 VA 집단(n=63)과 VPA 집단(n=60)으로 배치했다. 사전 검사로 언어적 학습 양식 검사를 실시했다. VA 집단의 학생들은 글로만 표현된 비유로 목표 개념을 학습했고, VPA 집단의 학생들은 글과 그림으로 표현된 비유로 목표 개념을 학습했다. 목표 개념 학습 후, 대응 관계 이해도 검사를 실시했다. VPA 집단 학생들에게는 수업에 대한 인식 검사도 실시했으며,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언어적 학습 선호 학생들의 경우 VPA 집단의 점수가 VA 집단의 점수보다 낮았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반면, 언어적 학습 비선호 학생들의 경우에는 두 집단 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대응 불이행, 부적절한 대응, 무분별한 대응, 불가능한 대응, 표면적 속성 대응의 다섯 가지 대응 오류 유형이 나타났다. 언어적 학습양식에 따라 두 집단의 대응 오류 유형별 발생 빈도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언어적 학습 양식에 관계없이 VPA 집단의 많은 학생들이 글과 그림으로 표현된 비유를 통해 학습하는 것에 대해 다양한 인지적 동기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했으나, 일부 학생들은 몇 가지 어려움을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훈식 (2006). 중학교 화학 수업에서 외적 표상의 유형 변환을 촉진하는 그리기와 쓰기의 효과 및 활용 방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훈식 (2011). 포화 용액 개념에 대해 초등학교 교사와 일반 학생 및 과학영재 학생들이 만든 비유의 특성 비교. 초등과학교육, 30(3), 305-314.
  3. 강훈식, 김유정, 노태희 (2008a). 다중 표상을 활용한 화학 개념 학습에서 학생들의 연계 오류 감소를 위한 처방적인 교수 전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75-684.
  4. 강훈식, 신석진, 노태희 (2008b). 다중 표상을 활용한 보일과 샤를의 법칙 개념 학습에서 유발되는 학생들의 연계 오류의 원인 탐색. 대한화학회지, 52(5), 550-560.
  5. 강훈식, 이종현, 노태희 (2008c). 다중 표상을 활용한 화학 개념 학습에서 학생들의 장독립성-장의존성에 따른 연계 오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471-481.
  6. 권혁순, 최은규, 노태희 (2004). 화학 교육에서 사용되는 비유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및 비유 사용의 제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287-297.
  7. 김경순, 변지선, 신은주, 노태희 (2007). 비유를 사용한 물질의 세 가지 상태 개념 학습에서 대응 오류 분석 활동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778-786.
  8. 김경순, 변지선, 이선우, 강훈식, 노태희 (2008). 비유를 사용한 반응 속도 개념 학습에서 유발되는 대응 오류에 대한 분석과 비유 표현 방식에 따른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340-349.
  9. 김경순, 신은주, 변순화, 노태희 (2006a). 비유를 사용한 화학 개념 학습에서 유발되는 학생들의 대응 오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92-600.
  10. 김경순, 신은주, 한재영, 노태희 (2006b). 비유를 사용한 화학 개념 학습에서 유발되는 대응 오류와 개념 이해도의 관계. 대한화학회지, 50(6), 486-493.
  11. 김영민, 박희숙 (2000).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물리 개념 설명에 사용된 비유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411-420.
  12. 노태희, 양찬호, 강훈식 (2009). 포화 용액 개념에 대해 초등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들이 만든 비유의 특성과 대응 관계 이해도 및 대응 오류. 초등과학교육, 28(3), 292-303.
  13. 문선모 (2010). 교육심리학의 이해. 서울: 양서원.
  14. 박성익, 손지영 (2003). 멀티미디어 활용 학습에서 시각∙청각 정보의 제시원리 탐색. 서울대학교 사대논총, 67, 105-120.
  15. 박아청 (1999). 교육심리학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16. 임창재 (1996). 학습양식. 서울: 형설출판사.
  17. 조경자, 한광희 (2002).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인지양식이 학습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실험 및 인지, 14(3), 165-185.
  18. 차정호, 변순화, 노태희 (2004). 제7차 중등 과학 교과서의 화학 영역에 사용된 비유 분석. 대한화학회지, 48(6), 629-637.
  19. 최경희, 이영애, 류수경 (2003).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비유 분석 및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65-175.
  20. 최선영 (2006). 제6차와 7차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비유 비교분석. 초등과학교육, 25(2), 149-158.
  21. Ainsworth, S. (2006). DeFT: A conceptual framework for considering learning with multiple representations. Learning and Instruction, 16(3), 183-198. https://doi.org/10.1016/j.learninstruc.2006.03.001
  22. Dunn, R., & Dunn, K. (1999). The complete guide to the learning styles inservice system. Boston, MA: Allyn & Bacon.
  23. Dunn, R., Griggs, S. A., Olson, J., Beasley, M., & Gorman, B. S. (1995). A meta-analytic validation of the Dunn and Dunn model of learning-style preferenc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8(6), 353-362. https://doi.org/10.1080/00220671.1995.9941181
  24. Donnelly, C. M., & McDaniel, M. A. (1993). Use of analogy in learning scientific concept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19(4), 975-987.
  25. Else, M. J., Clement, J., & Ramirez, M. A. (2003). Should different types of analogies be treated differently in instruction? Observations from a middle-school life science curriculum.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Philadelphia, PA.
  26. Ginns, P. (2005). Meta-analysis of the modality effect. Learning and Instruction, 15(4), 313-331. https://doi.org/10.1016/j.learninstruc.2005.07.001
  27. Huann-shyang, L., Bih-ruh, S., & Frances, L. (1996).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science with pictorial analogie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4), 495-511. https://doi.org/10.1007/BF02357457
  28. Kirby, J. R., Moore, P. J., & Schofield, N. J. (1988). Verbal and visual learning style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3(2), 169-184. https://doi.org/10.1016/0361-476X(88)90017-3
  29. Lovelace, M. K. (2005). Meta-analysis of experimental research based on the Dunn and Dunn model.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8(3), 176-183. https://doi.org/10.3200/JOER.98.3.176-183
  30. Mayer, R. E. (2003). The promise of multimedia learning: Using the same instructional design methods across different media. Learning and Instruction, 13(2), 125-139. https://doi.org/10.1016/S0959-4752(02)00016-6
  31. Sparks, P. R. (1996). Improving problem solving with illustrations and analogies: Novice mental models of the internet (verbal analogie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7(07), 2861A. (University Microfilms No. AAG96-36753)
  32. Taber, K. S. (2001). When the analogy breaks down: Modelling the atom on the solar system. Physics Education, 36(3), 222-226. https://doi.org/10.1088/0031-9120/36/3/308
  33. Thiele, R. B., & Treagust, D. F. (1994). An interpretive examination of high school chemistry teachers' analogical explana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3), 227-242. https://doi.org/10.1002/tea.3660310304

Cited by

  1. An Analysis of Analogies in Chemistry Content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High School Chemistry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vol.57, pp.6, 2013, https://doi.org/10.5012/jkcs.2013.57.6.801
  2. Analysis on the Trends of Science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Students' Science Learning in Korea vol.35, pp.4,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4.0751
  3. 과학적 문제해결을 위한 소집단 논의 과정에서 나타난 비유적 추론의 생성 수준과 설명적 모델 생성의 관계 분석 vol.33, pp.2,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