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 Analysis on Port Security Operation using a DACUM Method

데이컴 기법을 활용한 항만안전운영에 관한 직무분석

  • Received : 2012.08.10
  • Accepted : 2012.09.26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is study is to develop a job model through job analysis on port security operation using a DACUM Method. Total 8 duties and 59 tasks are drawn through job analysis on port security operation. DACUM committee evaluated the degree of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execution by each work with ABC rankings. In dosing so, job analysis model on port security operation by completing a DACUM research chart including job, duty and task in the field of port security operation is concluded. Such a Job model development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and information for developing a short and long-run education programme in the field of port security operation.

우리나라 무역항만은 국제물류의 99% 이상을 처리하는 물류거점으로서 국가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 선박의 초대형화와 각종 항만 장비의 고도화에 따라 항만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항만안전운영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도외시 되고 있는 있다. 2010년 기준, 항만하역업 재해율은 0.98로 전 산업 평균인 0.69보다 40%이상 높게 나타남에 따라 항만안전운영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컴 기법을 활용하여 항만안전운영에 관해 직무분석을 수행하여 직무모형을 개발하였다. 항만안전운영 직무분석 결과 총 8개의 임무와 각 임무를 구성하는 59개의 세부 작업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각 작업에 대해 중요도와 난이도 및 수행 빈도를 조사하고 항만안전운영 분야의 기초 작업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직무분석 결과를 구조화 하여 데이컴 리서치 차트를 완성함으로써 항만안전운영 분야의 직무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직무모형을 통해 항만안전운영에서 요구하는 직무와 수행되는 진행과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항만안전운영 분야의 단기 교육과정과 정식교육과정 및 임무별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항만안전에 관한 운영 범위가 지나치게 광범위하여 항만과 관련 업종에 종사하는 관리자 및 실무자 전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지 못하여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차후 연구에서는 항만안전 분야의 현장실무자와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와 설문조사 등 보다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실증분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남영우, 이창호, "인천항 항만하역 재해분석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2005. 5, pp. 592-598.
  2. 박두진, 김현덕,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항만물류분야 재직자 교육과정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8집 제2호, 2012, pp. 61-74.
  3. 박성종, "Duty, Task, Step 분석을 통한 전기 컴퓨터 분야의 DACUM 활용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연구 제6권 2호, 2003.
  4. 서창교 외 1인,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pp. 7-8.
  5. 이용순 외 2인,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2, pp. 8-9.
  6. 주인중 외 3인,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지침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pp. 7-8.
  7. 최영순, "데이컴(DACUM) 직무분석방법 고찰", 고용노동부 간행물, 2002. 9, pp. 119-140.
  8. 최재준, "항만하역분야 안전기준 마련 연구 - 일반(비전용선)작업, 컨테이너 전용선작업, 컨테이너터미널작업" 한국산업안전공단, 2007, pp. 2-8.
  9. 채종화, "직무분석에 의한 전문대학의 물류전공교육과정 연구", 한국세무회계학회, 2009, pp. 82-83.
  10. Castetter, W. B., The Personnel Function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6.
  11. Cascio, W. F. Applied Psychology in Personnel Management, Prentice-Hall, Inc. 1987.
  12. Gilbreth, F. B., Motion Study. New York: Van Nostrand, 1991.
  13. Norton, R. E, DACUM Handbook, 2nded. The Ohio State. 1997.
  14. Taylor, F. W, The Principles of Scientific Management. New York: Harper.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