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ey on Multifaceted Role of Shipping Industry and Measures to Improve Public Perception

해운산업의 다면적 역할에 대한 인식조사 및 국민인식 제고방안

  • Received : 2012.08.27
  • Accepted : 2012.09.26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A survey showed that the public perception of the shipping industry's overall image and economic role was relatively positive. The survey revealed that public perception was mixed with respect to the multifaceted role of the shipping industr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this paper proposes three approaches to improving the public perception of the shipping industry. The organization contact approach includes establishing shipping institutes for city people, holding various events targeted at the public, establishing a shipping memorial hall, developing a shipping-related culture and tourism, reinventing the image of the shipping industry through a shipping-culture movement, and creating new views of the shipping industry by conducting formal education. The goods and services contact approach includes building a brand image for shipping services, providing B2C services, utilizing the national image for the shipping industry, and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jects. The text contact approach includes B2B advertising, advertisements focused on the national economic and multifaceted role of the shipping industry, package advertisements for the shipping industry and related industries, the Internet and high-technology media, government-initiated PR activities regarding the multifaceted role of the shipping industry, and funding for advertising the shipping industry.

해운산업의 일반적 이미지, 경제적 역할, 다면적 역할 등에 대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한 결과 해운산업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해운산업의 경제적 역할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운산업의 다면적 역할에 대해서는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이 혼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직업적 매력도와 고용창출에 해서도 낮은 인식을 보임으로써 해운산업을 개인의 체험 속에서 인식하기보다는 막연하게 남의 일(none of my business)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와 함께 해운산업의 이미지가 방송, 신문 등 언론매체를 통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운산업에 대한 인식제고의 방안으로 관계적, 상품 및 서비스, 텍스트 접근법 등 3가지 접근법이 논의되었다. 관계적 전략으로 도시민을 위한 해운체험 교육기관의 설립, 일반인 대상 다양한 행사 실시, 해운기념관 설립, 해운산업과 관련한 문화관광 컨텐츠 개발, 해운문화운동을 통한 해운산업 이미지 재창조, 학교교육을 통한 해운관 조성 등이 제시되었다. 상품 및 서비스 전략으로는 해운서비스에 대한 기업브랜드 부여, B2C 서비스의 제공, 해운서비스에 국가이미지 활용, 해운산업의 대외협력사업 참여 등이 논의되었다. 텍스트 전략으로는 B2B 광고의 전개, 해운산업의 국가경제적 다면적 역할 광고, 해운산업과 연관산업의 융합광고, 첨단매체의 활용, 다면적 역할 홍보에 대한 정부의 주도적 역할, 해운산업의 공고 및 홍보를 위한 기금 신설 등이 검토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종희, "韓國의 海運産業-국가안보를 위한 해운정책 과제를 중심으로",월간해양수산, 제178호, 1999, 5-28.
  2. 김길수.공길영, "한국해운과 경제와의 관계",해운물류연구, 제14호, 1992, 11-31.
  3. 김길수, "한국해운산업의 국민경제적 존재가치에 대한 시계열 연구-산업관련분석을 중심으로", 해운물류연구, 제26호, 1998, 13-35.
  4. 김범중, "북한 항만개발과 남북한 항만교류 협력방안",월간해양수산, 통권 제219호, 2002, 19-39.
  5. 김현용, 한국의 어업과 어촌의 다원적 역할 및 기능에 관한 사례, 수협중앙회, 2003.
  6. 신호창, "국가이미지 실태와 형성과정",국가이미지 제고를 위한 해외홍보 목표와 전략 세미나, 한국언론학회, 2001.
  7. 염성원.오경수, "한국의 국가이미지 제고활동 현황과 인식에 관한 연구",홍보학연구, 제7호, 2003, 98-142.
  8. 오성동․기성래, "해운산업과 관련 산업의 경제적 효과분석",해운물류연구, 제39호, 2003, 29-49.
  9. 옥성신, "해양레저 비즈니스의 문화적 환경에 대한 연구",여가웰니스학회지, 제2권 제2호, 2011, 21-33.
  10. 유재웅, 국가이미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11. 정봉민, "산업연관분석방법에 의한 해운․항만서비스 가격변동의 물가파급효과 추정", 로지스틱스연구, 제12권 2호, 2004, 1-12.
  12. 최재수, "바다와 해운이야기-제1차 세계대전과 국제해운",해양한국, 2006. 1, 148-152.
  1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04.
  14.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항만산업의 국가경제 기여도 분석, 2004.
  15. 황진회, "북한의 해운.항만물류 실태와 남북한 공동발전을 위한 정책과제",해양한국,2008. 2, 94-107.
  16. Moffitt, M. A. "A Cultural studies perspective toward understanding corporate image : A case study of State Farm Insurance",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6(1), 1994, 41-66. https://doi.org/10.1207/s1532754xjprr0601_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