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ison of Perfectionism, Academic stress and Learning flow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학업스트레스 및 학습몰입 비교

  • Received : 2012.02.11
  • Accepted : 2012.03.29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 of perfectionism, academic stress, learning flow, analyzed the perfectionism impact on academic stress and learning flow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0 fifth grade gifted students and 100 ordinary students who showe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ame lev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han general students. Both gifted and general students, the high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he more increased academic stress increased. And the higher self-oriented perfectionism, the more increased learning flow. Gifted and general student's learning flow is high wh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is low and academic stress.

본 연구는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와 학업스트레스 및 학습몰입의 차이를 비교하고,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가 학업스트레스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완벽주의와 학업스트레스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5학년 영재학생 100명과 일반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영재학생은 자기지향 및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이 일반학생보다 높았다.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모두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도 증가했으며, 자기지향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학습몰입이 높아졌다.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몰입은 자기지향적 완벽주의가 높고, 학업스트레스가 낮을수록 높았으며, 이중 학업스트레스에 의해 가장 영향을 받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주 (2011).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완벽주의 성향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초등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 김순희 (2006). 영재아와 일반아의 완벽주의 성향과 창의적 성격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3. 김예숙 (2004). 영재아동의 완벽주의 성향과 성취동기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4. 김은정, 양연숙 (2011). 영재아와 일반아의 시험불안, 학업스트레스 및 학업효능감 비교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10(1), 123-142.
  5. 김정아 (2005). 초등정보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성취동기,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비교.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6. 김혜숙 (2007). 영재아와 일반아의 완벽주의 성향과 학교적응. 석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7. 모혜연 (2000). 청소년기 스트레스 요인과 완벽주의 성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8. 박성옥, 이진숙 (2003). 영재와 일반아동의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 비교연구. 미래유아교육 학회, 10(3), 225-245.
  9. 박성희 (2006). 아동의 학교학업 스트레스 및 과외학업 스트레스와 무력감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0. 박종욱 (2010). 초등학생의 학습몰입과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1. 박하진 (2011). 초등 수학영재의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창의적 성향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2. 박혜진 (2001). 영재 청소년의 완벽주의 성향, 심리적 적응, 자아 존중감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3. 배미란 (2002). 5요인 인성모형에 기초한 과학영재들의 성격 연구. 연세교육연구, 15(1), 55-75.
  14. 석임복, 강이철 (2007). Csikszentmihalyi의 몰입 요소에 근거한 학습 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공학연구, 23(1), 121-154.
  15. 송경애 (2001). 중학교 과학영재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6. 송진숙, 이영관 (2008). 대전지역 중학생의 여가활동유형과 생활스트레스 및 학습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0(4), 43-57.
  17. 심혜원 (1994). 완벽주의 성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8. 염시창, 박현주 (2005). 일반계 여고생의 완벽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시험불안의 관계 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2(1), 19-35.
  19. 오미향, 천성문 (199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요인 및 증상 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 훈련의 효과. 인간이해, 15, 63-96.
  20. 용정현 (2011). 대학생의 완벽성향과 학습몰입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21. 유성은 (1997). 완벽주의적 성향,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이 중년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22. 윤여홍 (2000). 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정서발달을 위한 상담. 한국심리학회지, 19(1). 5-10.
  23. 윤초희, 윤여홍, 김홍원 (2004). 지적으로 우수한 초등 영재아의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2), 177-196.
  24. 이미순, Greene, M. (2010). 영재상담. 서울: 한국교총 영재교육원.
  25. 이미화 (2001). 완벽주의 성향의 순기능과 역기능: 성취목표,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우울과 관련하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6. 이미화, 류진혜 (2002). 완벽주의 성향의 순기능과 역기능. 청소년학연구, 9(3), 293-316.
  27. 이상희 (2004).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차이: 성취목표,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및 학교생활적응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8. 이은정 (2002). 대학생의 학업적 지연행동과 완벽주의 및 통제소재와의 상관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9. 이재연 (2004). 아동의 완벽주의 성향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분노표현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30. 이정림 (2005). 초등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31. 정순진 (2007).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성격유형과 학습양식 비교.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32. 조연미 (2003). 청소년의 완벽주의 성향 및 자기효능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33. 천민필 (1994).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4. 최원혜 (1999). 중등학생의 시험스트레스 상황에서 완벽주의의 특성에 따른 시험불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35. 최원혜, 문은식 (2004). 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에 따른 시험불안의 차이. 교육심리연구, 18(1), 23-35.
  36. 최은정 (2010). 초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학업꾸물거림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37. 허창재 (2002). 영재아동의 스트레스요인과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38. 현진원 (1992). 완벽주의 성향과 평가수준이 과제수행이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39. 홍종호 (2002). 완벽주의 성향이 시험불안자의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40. 홍혜영 (1995).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41. Burns, D. D. (1980). The perfectionist's script for self-defeat. Psychology Today, Novem, 34-52.
  42. Csikszentmihalyi, M. (2004).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나다. [최인수, 역]. 서울: 한울림. (원본출간년도: 1990)
  43. Flett, G. L., Hewitt, P. L., Boucher, D. J., Davidson, L. A., & Munro, Y. (2000). The Child and Adolescent Perfectionism scale: Development, validation, and association with adjustment.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44. Freeman, J. (1985). Emotional aspects of giftedness. In J. Freeman (ED.), The psychology of gifted children (pp. 247-264). Hoboken, NJ: John Wiley & Sons.
  45. Hewitt, P. L., & Flett, G. L. (1991).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al Psychology, 60, 456-470. https://doi.org/10.1037/0022-3514.60.3.456
  46. Pacht, A. R. (1984). Reflections on Perfection. American Psychologist, 39, 386-390. https://doi.org/10.1037/0003-066X.39.4.386
  47. Renzulli, J. S., & Reis, S. M. (2003). 학교전체 심화학습 모형 [김홍원, 역]. 서울: 문음사. (원본출간년도: 1985)
  48. Rice, K. G., & Slaney, R. B. (2002). Cluster of perfectionists: Two study of emotiona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35, 35-38.
  49. Rogers, K. (1986). Do the gifted think and learn differently? A review of recent research and its implication.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0, 17-39. https://doi.org/10.1177/016235328601000103
  50. Webb, J., Meckstroth, E., & Tolan, S. (1982). Guiding the gifted child: A practical source for parents and teachers. Columbus, OH: Ohio Psychology Publishing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