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th Teaching Method and Classroom Environment Preferred b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고등학교 영재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학 수업형태와 수업환경

  • Received : 2012.02.20
  • Accepted : 2012.03.23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more satisfactory and efficient teaching strategy for the gifted by comparing teaching type and learning environment preferred by the gifted with that preferred by normal students.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are obtained. First, while the normal class students show higher preference for clarification and organization, gifted students prefer for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Second, with the respect to the gender-related forms of mathematics classroom environment, the overall female preference and the average score are higher, indicating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is only a psychological domain. Third, compared to the regular classroom, the gifted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preference for teaching method, classroom and teachers' attitude between in the gifted class and regular clas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영재 학생이 선호하는 수학 수업형태와 수업환경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영재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높이고 효과적인 영재 수업전략을 구상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수학 수업형태 하위 영역 중 다양화와 특성화는 영재 학생의 선호도가 높았고, 명료화는 일반 학생이 선호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영재 학생 및 일반 학생의 성별에 따른 수학 수업형태와 수업환경 선호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여학생의 평균점과 선호도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심리 영역에서만 나타났다. 셋째, 영재 학생들은 수업방법, 교실과 교사태도 영역에서 영재 학급과 일반 학급에서 유의미한 선호 차이가 나타났다(p<.05).

Keywords

References

  1. 강대현 (2002).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I). 사회과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 곽영순, 김주훈 (2003). 좋은 수업에 대한 질적 연구: 중등 과학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44-154.
  3. 고창규 (2006). 초등학교 '좋은' 수업의 특성 연구: 담화행위, 유도행위, 교수행동요소, 바로 잡기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14(1), 25-49.
  4. 권성연 (2010). '좋은 수업'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분석 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26(1), 185-215.
  5. 김경미 (1999). 여학생들에게 친근한 과학학습 내용 및 방법을 적용한 수업이 여학생들의 과학 학습태도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6. 김재춘, 변종효 (2005). '좋은 수업'의 의미에 대한 비판적 검토. 수산해양교육연구, 17(3), 373-382.
  7. 김주훈, 최승현, 강대현, 곽영순, 유정애, 양종모, 이주섭, 최원윤, 김영애 (2003).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좋은 수업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열린교육연구, 11(1), 43-61.
  8. 민경아, 유미현, 고호경 (2011). 수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14(3), 389-413.
  9. 동효관, 홍준의, 신영준, 김경호, 이길재 (2003). 과학영재가 선호하는 수업형태와 수업환경 조사를 통한 수업 전략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1), 16-23.
  10. 박수경 (2004).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사고양식에 따른 지구과학 개념 비교. 한국지구과학회지, 25(8), 708-718.
  11. 박민정 (2008). 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 다시 듣고 싶은 수업 에세이 분석. 인문학연구, 75, 229-253.
  12. 서경혜(2004).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 연구. 교육과정연구, 22(4), 165-187.
  13. 신영준 (2000). 과학 학습 배경의 성차 분석에 근거한 여학생 친화적 과학 수업 전략개발.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4. 송상헌 (2003). 수학 영재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초등 영재교육교사(수학과정) 직무연수 교재. 서교 2003-초등-II-7. 서울특별시교육연수원.
  15. 이용숙 (2001). 대학교 수업의 개선을 위한 문화기술적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4(3), 227-253.
  16. 이중권, 한우람 (2009). 중학교 학생, 수학교사, 학부모의 수학과 수업형태에 대한 선호도 연구. 고려대학교 교과교육연구, 2(1), 1-18.
  17. 조난심, 양종모, 유정애, 정미경, 장연자, 김수천 (2001).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학교교육과정과 수업운영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조성신, 유미현, 여상인 (2011). 영재 학생의 일반학급 및 영재교육기관에서의 생활만족도. 영재교육연구, 21(2), 465-484.
  19. 조석희, 오영주 (1998). 영재교육정책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 조윤정 (1998). 학습자가 지향하는 학습목적 유형과 교실학습 환경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1. Colleen, W. (1994). Strategies for individualizing instruction in regular classrooms. Roeper Review, 17(1), 43-45. https://doi.org/10.1080/02783199409553616
  22. Diaz, E. I. (1998). Perceived factors influencing the academic underachievement of talented students of Puerto Rican descent. Gifted Child Quarterly, 42(2), 105-122. https://doi.org/10.1177/001698629804200205
  23. Fraser, B. J. (1994). Research on classroom and school climate. In D. L. Gable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 493-541).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24. Gavin, K. (1996). The development of math talent: Influences on student at a women's college.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7(4), 476-487. https://doi.org/10.1177/1932202X9600700406
  25. Maker, C. J., & Nielson, A. B. (1995). Teaching Models in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nd ed.). Austin, TX: PRO-ED.
  26. Maker, C. J. (1982).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gifted. London: Aspen Systems Corporation.
  27. Rayneri, L. J., Gerber, B. L., & Wiley, L. P.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room environment and the learning style preferences of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impact on levels of performance. Gifted Child Quarterly, 50(2), 104-118. https://doi.org/10.1177/001698620605000203
  28. Redding, R. E. (1990). Learning preferences and skill patterns among underachieving gifted adolescents. Gifted Child Quarterly, 34(1), 72-75. https://doi.org/10.1177/001698629003400204
  29. Renzulli, J. S. (1997). The enrichment triad model: Aguide for developing defensible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30. Whitmore, J. R. (1986). Understanding a lack of motivation to excel. Gifted Child Quarterly, 30(1), 66-69. https://doi.org/10.1177/00169862860300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