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화단층촬영검사와 일반촬영검사의 방사선 선량에 대한 인식도 조사

The Survey for Awareness of Radiation Dose of CT and General X-ray Examination

  • 주영철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
  • 임청환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 정홍량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 유인규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 조한별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
  • 양오남 (강릉아산병원) ;
  • 김민철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 윤준 (동남보건대학교 방사선과)
  • Joo, Young-Cheol (Dept. of Dignostic Radiology, Samsung Medical Center) ;
  • Lim, Cheong-Hwan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Hanseo University) ;
  • Jung, Hong-Ryang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Hanseo University) ;
  • You, In-Gyu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Hanseo University) ;
  • Cho, Han-Byul (Dept. of Dignostic Radiology, Samsung Medical Center) ;
  • Yang, Oh-Nam (Dept. of Radiation Oncology, Gangneung Asan Hosptal) ;
  • Kim, Min-Cheol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Hanseo University) ;
  • Yoon, Joon (Dept. of Radiotechnology, Dongnam Health College)
  • 투고 : 2012.01.31
  • 심사 : 2012.03.19
  • 발행 : 2012.03.30

초록

서울소재 'S'병원에서 근무중인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병원 근무경력 및 CT검사실 근무 경험 유 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방사선 선원의 종류에 따른 CT검사와 일반촬영검사의 방사선 선량과 위험성에 관한 인식도 조사를 통해 CT검사의 위험성에 대한 각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영상의학과에 근무하는 방사선사 중 13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연구가설 검정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설문문항의 Cronbach @계수는0.825988과0.767161로 나타났으며, p-value의 기각률은<0.05로 하였다. 연구가설검정을 위해 SAS 9.1(SAS Institute Inc., Cary, NC, USA.)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Mann-Whitney test와 Kruskai-Wallis test, Two sample T-test, Two sample T-test with Bonferroni's Correction, One-way ANOVA 통계분석방법 등을 이용하였다. CT검사와 일반촬영의 선량에 관한 가설의 각 p-value 값은 0.2291~0.9663의 범위로 나타났고, CT검사와 일반촬영검사의 위험성에 관한 가설의 각 p-value 값은 0.1924~1.0000의 범위로 나타났다. 모든 연구가설의 p-value값이 기각률(<0.05)을 상위하여 나타났으며, 현재 'S'병원에 근무중인 방사선사들은 근무경력 및 CT검사실 근무경력 유무, 현재 사용하는 방사선 선원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반촬영 보다 CT검사가 선량이 많으며, 위험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waken about risk occurred by CT examination. For radio-technologists working at 'S medical center' located in Seoul, we investigated a recognition about dose and risk CT and normal X-ray examination according by working experience in hospital, experience about CT examination and radiation source. For subjects of investigation, radio-technologists working at 'S medical center' located in Seoul helped us. We collected 131 questionnaires for a test of hypothesis. Cronbach @ coefficients of questionnaires were 0.825988 and 0.767161 and a rejection rate of p-value was below 0.05. SAS 9.1(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statistic package was used for hypothesis test. We used Mann-Whitney test, Kruskai-Wallis test, Two sample T-test, Two sample T-test with Bonferroni's Correction and One-way ANOVA methods. P-values of hypothesis about dose of CT and normal X-ray examination were 0.2291 ~ 0.9663. p-values of hypothesis about risk were 0.1924 ~ 1.0000. All of hypothesis is over rejection rate(<0.05). This study shows that radio-technologists of S medical center recognized that CT has higher dose and risk than general X-ray examin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임청환 : 전산화단층촬영의 방사선피폭에 위한 위험도 추정,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 2004
  2. David J. Brenner, DScCarl D : Estimated Radiation Risks Potentially Associated with Full-Body CT Screening, Radiology, 735, 2004
  3. 이홍, 김문찬, 신상보 : CT검사 시 목적장기 이외 부위의 차폐를 통한 피폭선량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2009 : 11(1), 132
  4. Nickoloff EL, Alderson PO : Radiation exposure to patient from CT: Reality, public perception and policy, AJR, 177, 285-291, 2001 https://doi.org/10.2214/ajr.177.2.1770285
  5. Aaron Sodickson, Pieter F. Baeyens, Katherine P. Andriole et al. : Recurrent CT, Cumulative Radiation Exposure, and Associated Radiation-induced Cancer Risks from CT of Adults, Radiology, 251(1), 176, 2009
  6. 고경남 : 전산화단층촬영 환자에서 조영제 사용에 다른 부작용의 역학적 특성, 충남대학교 보건.바이오산업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2007
  7. 보건복지가족부 : CT엑스선검사에서의 환자선량 권고량 가이드,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8-9, 2009
  8. S J Golding, P C Shrimpton : Radiation Dose in CT : are we meeting the challenge?, BJR: 75, 1, 2002 https://doi.org/10.1259/bjr.75.889.750001
  9. 임청환 : 전산화단층촬영의 방사선피폭에 위한 위험도 추정,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2004
  10. 이재기 : ICRP 보조지침 2 방사선과 당신의 환자: 의료인을 위한 지침, 1, 2006
  11. 김문찬, 한동균 : CT검사의 방사선 피폭에 관한 연구, 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8(1), 25-36, 2006
  12. 신상보, 신설경, 이대규, 김문찬: 소아 CT 검사시 적정 노출조건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9(1), 59, 2007
  13. 김문찬 : 64채널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한 관상동맥검사의 선량 : 검사 프로토콜 다변화에 따른 환자선량 감소, 방사선기술과학: 32(3), 300, 2009
  14. Wakeford R, Little MP : Risk coefficients for childhood cancer after intrauterine irradiation: a review, Int J Radiat Biol: 79, 293-309, 2003 https://doi.org/10.1080/0955300031000114729
  15. Correspondence : Computed Tomography and Radiation Exposur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8(8), 851-852, 2008
  16. 유흥준, 권성옥 : CT검사 시 촬영조건에 따른 Image quality와 Dose에 관한 연구, 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10(1), p.8, 2008
  17. Christoph I. Lee, Andrew H. Haims, Edward P. Monico al. : Diagnostic CT Scans: Assessment of Patient, Physician, and Radiologist Awareness of Radiation Dose and Possible Risks, Radiology: 231, 393-398, 2004 https://doi.org/10.1148/radiol.2312030767
  18. 김순근: 성인의 신체조건 및 생활습관에 따른 골밀도 변화에 대한 연구, 방사선기술과학회지, 29(3), 177-184, 2006
  19. 주명숙, 남상륜.: 골다공증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류마티스 건강학회지, 6(1), 37-50, 1999
  20. 이운정: 성인여성의 식생활 습관 및 영양소 섭취와 골밀도 관계. 계명대학교, 2005
  21. 이광성, 권인선, 조영채: 성인여성의 월경력 및 산과적 요인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3(1), 1-11, 2009
  22. 김려화: 일부 농촌 주민들의 골다공증 유병률과 그 관련요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6
  23. 박선주, 안윤진, 민해숙: 지역사회 코호트 여성의 요골과 경골에서의 골다공증 유병률과 관련 요인 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0(4), 536-545, 2005
  24. 김순분. 김기진: 40대 중년여성의 12주간 댄스스포츠 수행이 건강관련 체력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1(1), 493-501, 2002
  25. 정혜원, 김승철: 폐경기 여성의 요추 골밀도와 혈청 지질농도의 관계: 이화의대지. 18(2), 117-123, 1995
  26. Bess D. H.: The role of Calcium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NH Consenensus Development Conference on Osteoporosis Prevention, Diagnosis and Therapy. 2000
  27. 승정자, 최선혜, 김미현 등: 농촌지역 폐경 여성의 골밀도에 따른 영양섭취상태와 모성요인 생활주기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6(2), 192-204, 2001
  28. Holbrook TL, Barrett-Connor E.: A Prospective study of alcohol consump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BMJ, 306, 1506-1509, 1993 https://doi.org/10.1136/bmj.306.6891.1506
  29. University of Sheffield Medical School: WHO Scientific Group Technical Report: Assessment of Osteoporosis at the Primary Health Care Level,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