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심수륜 묘 출토복식에서 발견되는 백색 결정의 동정 및 생성 요인

Identification and Formation Factor of White Crystals on the Excavated Costumes from Shim Su-Ryun's Tomb

  • 이영은 (경기도박물관 보존과학실) ;
  • 최석찬 (중앙대학교 문화재과학과)
  • Lee, Young Eun (Lab. of Conservation Science, Gyeonggi Provincial Museum) ;
  • Choi, Seokchan (Dept. of Science of Cultural Properties, Chung-Ang University)
  • 투고 : 2012.09.07
  • 심사 : 2012.10.24
  • 발행 : 2012.12.10

초록

심수륜(沈秀崙, 1534 ~ 1589)묘 출토복식에서 발견되는 백색 결정의 특징과 분포양상을 조사하고, 그 중 7점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성분과 결정구조를 분석하였다. 총 46점 중 36점에서 경도와 형태가 조금씩 다른 백색 결정이 관찰되었는데, 결정의 생성은 직물소재나 복식용도와는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다만, 복식의 앞부분보다는 뒷부분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염습 흔적이 있는 곳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는 양상을 보였다. 결정의 성분은 전자현미분석기(EPMA)로 분석하였으며, 결정 구조는 X-선회절분석기(XRD)를 이용하였다. 퓨리어변환적외선분광기(FT-IR)를 이용하여 다른 유기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백색 결정은 마그네슘 인산염 무기결정인 스트러바이트와 뉴베리아이트로 동정되었다. 스트러바이트 결정의 생성은 Mg2+, NH4+, PO43- 이온의 농도, pH, 그리고 온도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부터 영향을 받는다. 스트러바이트의 구성물질인 마그네슘, 인산, 암모니아는 인체 분해 생성물로 피장자의 인체에서 기인했을 가능성이 있다. 마그네슘의 높은 농도는 회곽에서도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이며, 또한 관 내부의 혐기성 미생물과 약염기성 환경도 생성의 요인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과적으로 조선시대의 독특한 무덤양식인 회곽묘는 심수륜 묘 출토복식에서 발견되는 마그네슘 인산염의 생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White crystals on 46 costumes excavated from Shim Su-Ryun(1534 - 1589)'s tomb were examined their characterization and distribution. In 36 of such samples, white crystals with different shape and hardness were found. The formation of crystals did not correlated with a kind and use of textiles. However, crystals were found in the back side than the front of costume, specially around the marks of shrouding dead body. White crystals from 7 textiles were investigated by EPMA, XRD, or FT-IR. The composition of white crystal was analysed by EPMA and the structure characterization of crystals was used by X-ray diffraction. FT-IR spectroscopy was applied to check if non-crystalline compounds were also present. Mg and P were detected as the main element of white crystals and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a struvite and newberyite, the inorganic mineral magnesium ammonium phosphates. Struvite precipitation are influenced by many factors including concentration of Mg2+, NH4+, and PO43- ions, pH, and temperatures. It is assumed that magnesium, phosphorous, ammonia, a base material of struvite comes from decomposition product of human body. Tomb covered with lime, a unique triple-structure in Joseon period offering the basic condition, an anaerobe in a coffin, and high magnesium concentration of outer coffin with lime can be inferred as important factor for precipitation of crystal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