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st-Benefit Analysis of Oxy-Combustion Demonstration Project

순산소발전 실증사업의 비용-편익 분석

  • Jin, Se-Jun (Department of Energy Policy,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 Yoo, Seung-Hoon (Department of Energy Policy,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진세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
  •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 Received : 2012.04.17
  • Accepted : 2012.06.08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A climate change by increase of greenhouse gas is coming to the front by a large issue, and oxy-combustion demonstration project is coming to the attention to one plans for the reduction of carbon dioxide in power generation sector that used a fossil energy in points of time. This paper estimates benefit of electric generation, benefit of greenhouse gas reduction, benefit of environmental pollutant decreasing and domestic and foreign market value-added benefit caused by oxy-combustion demonstration project. Furthermore, this paper attempts to cost-benefit analysis, using NPV, B/C ratio, IRR techniques for oxy-combustion demonstration project. The results indicate that NPV is 681,620million KRW, B/C ratio 1.69 and IRR 21.4%. Accordingly, oxy-combustion demonstration project ensures economic feasibility that the three indicators have exceeded 0, 1.0 and 5.5%. Moreover, uses of the result is useful for the reduction of carbon dioxide in thermal power generation sector of policy decision.

온실가스의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가 큰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순산소발전 실증사업은 화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부문의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순산소발전 실증사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력공급 편익, 온실가스 저감 편익, 환경오염 물질 배출저감 편익, 국내외 시장 진출로 인한 부가가치 창출편익을 추정한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내부수익률, 편익/비용 비율, 순현재가치의 기준을 이용하여 순산소발전 실증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순산소발전 실증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순산소발전 실증사업의 순현재가치, 편익/비용 비율, 내부수익률은 각각 681,620백만원, 1.69, 21.4%로 분석되었다. 이 분석결과들은 각각 0, 1.0, 5.5%를 초과하므로, 3가지 경제성 판단 지표 모두 본 사업이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화력발전부문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정책결정에 있어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References

  1. 서상일(2011),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순산소 연소를 통 한 이산화탄소 회수 기술", NICE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제29권 제5호, 590-594.
  2. 엄희문, 김성철(2009), "순산소 연소기술에 의한 CO2 회수기술", 공업화학전망, Volume 12. No. 1, 43-49.
  3. 유승훈, 곽승준, 김태유(1998), "온실가스 저감정책의 편익추정 ; 최소절대편차법", 환경정책, Vol.6, No.1, 91-109.
  4. 유승훈, 황석원, 곽소윤(2010), "고에너지 양성자가속기 사업의 비시장적 편익 추정", 산업경제연구, Vol.23, No.1, 15-33.
  5. 정군오, 정영근(2004), "경제성장과 이산화탄소 배출에 관한 다국가 비교분석", 산업경제연구, Vol.17, No.4, 1077-1098.
  6. 국토해양부, CO2 해양처리기술개발사업의 경제성 평가 연구(2011)
  7. 산업자원부, 청정화력발전기술과 연계한 온실가스 처리 시스템 구축(2007)
  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청정화력발전기술과 연계한 온실가스 처리 시스템 구축사업 기획(2007)
  9. 한국개발연구원, 한국형 300MW급 IGCC 실증플랜트 기술개발 사업(2010)
  10. 한국개발연구원, 도로?철도 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수정?보완 연구(5판)(2008)
  11. 한국은행, 2008년 산업연관표(2010)
  12. Gale, J., Davison, J.,(2004), Transmission of CO2-safety and economic considerations, Enery 29, pp.1319-1328. https://doi.org/10.1016/j.energy.2004.03.090
  13. Lee, J. S., Yoo, S. H., and Kwak S. J. (2010), "Public's willingness to pay for preventing climate change", Applied Economics Letters, 17(6), May, 619-622. https://doi.org/10.1080/13504850802277113
  14. Yoo, S. H., Kwak S. J., and Kim T. Y. (2001), "Assessing Benefits from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Policy: A Pilot Case Study of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 and Pollution, 15(5), 553-567. https://doi.org/10.1504/IJEP.2001.004932
  15. Han, S. Y., Yoo, S. H., and Kwak S. J. (2004),""The Role of Four Electric Power Sectors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Energy Policy, 32(13), pp. 1531-1543. https://doi.org/10.1016/S0301-4215(03)00125-3
  16. Yoo, S. H. (2005), Electricity Consumption and Economic Growth: Evidence from Korea, Energy Policy, 33(12), August, pp. 1627-1632. https://doi.org/10.1016/j.enpol.2004.02.002
  17. Yoo, S. H., and Lee, J. S. (2008), Electricity Consumption and Economic Growth: a cross-country analysis, Energy Policy, 38(1), January, 622-625.
  18. McKinsey & Company, Carbon Capture & Storage: Assessing the Economics. (2008)
  19. Intenational Energy Agency, "Energy Technology Perspectives" (2010)
  20. IPCC,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ambridge Univ. Press. (2007)
  21. IPCC, Climate Change 2007: Migitgation(Pre-Copy), Cambridge Univ. Press. (2007)
  22. Pike research's report, "Carbon Capture and Sequestration."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