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the Basic Properties of Materials for Application of Functional Plaster Mortar

기능성 미장 모르타르의 현장 적용을 위한 재료별 기초 물성에 관한 평가

  • Cho, Do-Young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Technical Center, Hanil Cement) ;
  • Kim, Gyu-Yong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Miyauchi, Hiroyuki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7.28
  • Accepted : 2012.02.21
  • Published : 2012.04.20

Abstract

The development of building must be accompanied with construction technology and performance of materials. In particular, wet processes have a high level of dependence on manpower and a low level of diversification of materials used.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various materials for wet process, mechanized construction and eco-friendly building materials through a comparison with dry premixed morta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resin plaster and gypsum plaster's strength is lower than that of dry cement mortar, but their mechanization application, construction simplification, smoothness and bond strength are higher than that of dry cement mortar. And estimate that is valid as workability, bonding strength, eco-friendly building material in occasion of gypsum plaster.

건축공사의 선진화는 시공기술과 함께 재료의 성능향상이 동반되어야 한다. 특히 습식공사의 경우 인력에 의한 의존도가 높고, 재료 사용의 다양화가 미진한 대표적인 공정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감 모르타르 공사에서 품질 및 시공의 선진화를 위한 다양한 모르타르 재료에 대한 물리적 특성 시험을 통하여 비교·확인함으로 향후 습식 미장공사의 다양한 재료 적용과 기계화 시공을 넘어 친환경 기능성 재료의 사용까지 발전될 수 있도록 제안해 보았다. 특히 공장생산 제품인 건조시멘트 모르타르 제품을 기준으로 기계화 시공이 가능한 수지플라스터와 친환경 석고플라스터의 사용 확대를 위한 각 재료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 마감 모르타르 공사의 다양화와 선진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압축강도의 경우 시멘트를 기본으로 하는 재료에서는 초기 양생조건이 품질 확보에 가장 중요한 관리 항목임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으며, 마감 모르타르의 작업 후 균열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길이변화의 경우 석고플라스터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최종 응결이 빠르게 나타남으로 후속 공정을 보다 빨리 진행할 수 있어 공기단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Hanil Cement. [Remitar Resin Plaster Technical]. Hanil Cement Report; 2005 Jan, p. 3-9. Korean.
  2. Kim MH, Shin HS, Kim MH. [Architecture Material]. 1st ed. Seoul: Munundang; 2006. Chapter 10, Plastering material; p. 333-9. Korean
  3.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 L 5220 Dry Ready Mixed Cement Mortar]. KSA(Korea); 2007. Korean.
  4. Cho JH, Kim PJ, Lee HB, Kim BJ, Jung SO, Lee TU, Hong JS, Joo JH. [Architecture Material]. 1st ed. Seoul (Korea): Kimoondang; 2003. Chapter 10, Plastering material; p. 212-4.
  5. Hanil Cement. [Remitar Gypsum Plaster Technical]. Hanil Cement Report. 2007 Jan, p. 2-6. Korean.
  6.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 F 3507 Gypsum Plaster]. KSA(Korea); 2007. Korean.
  7.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 L 5111 Flow Table for Use in Tests of Hydraulic Cement]. KSA(Korea); 2007. Korean.
  8.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 L 2409 Standard test method for unit weight and air content of fresh concrete]. KSA(Korea); 2010. Korean.
  9.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 L ISO 679 Methods of Testing Cements-Determination of Strength]. KSA (Korea); 2006. Korean.
  10.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 L 3136 Testing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Hydraulic Cement Mortar].KSA(Korea); 2005. Korean.
  11. Yim GH, Kang IC, Jang HI, Kil JW. [Architecture Interiors Material]. 1st ed. Seoul (Korea): Sewoo; 2009. Chapter 9, Architecture Interiors Material; p. 122-9. Korean.
  12.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 L 5109 Testing Method for Mechanical Mixing of Hydraulic Cement Pastes and Mortars of Plastic Consistency].KSA (Korea); 2001.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