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chedule Computation Method of Two-way Multiple Overlapping Relationships on BDM Technique

BDM 기법에서 양방향 다중 중복관계 일정계산 방법

  • 김선규 (강원대학교 건축공학과) ;
  • 노성범 (강원대학교 건축공학과) ;
  • 이용현 (강원대학교 건축공학과) ;
  • 유영정 (강원대학교 건축공학과) ;
  • 김진봉 (강원대학교 건축공학과) ;
  • 구재오 (강원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11.11.08
  • Accepted : 2012.01.03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oday, most construction projects have been higher, bigger, and more complicated gradually. So the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have been trying to understand overall construction process and relationships between activities, and adopted various management techniques and tools in order to perform a systematic and effective scheduling. However numerous problems have been occurred on the practical applications because most existing scheduling softwares adapt ADM and PDM techniques. One of them, PDM, is so uneffective because it represents the overlapping relationships between two consecutive activities only by the combinations of start and finish points between two activities. In order to supplement the demerit of PDM, Beeline Diagramming Method(BDM) is proposed as a new networking technique, it can represent two-way multiple overlapping relationships between two activities directly. However there are occurring a loop phenomenon on applying two-way multiple overlapping relationships. This research proposes and verifies the schedule computation method of two-way multiple overlapping relationships on the BDM network.

오늘날 대부분의 건설 사업들은 점차 프로젝트의 규모가 고층화, 대형화, 복잡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국내 건설기업들은 전체적인 공사 흐름을 파악하고 공정의 연결 관계를 고려하는 등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공정관리를 위해 여러 가지 관리기법 및 도구들을 개발하여 실무에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공정관리 소프트웨어들은 대부분 ADM, PDM기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실무 적용 시 많은 문제점들을 발생시키고 있다. 그 중 PDM기법은 선 후행 작업의 착수시점과 완료시점 간의 조합만으로 작업 간의 중복관계를 우회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이다. 이러한 기존 CPM기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작업 간 양방향 다중 중복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CPM 공정관리기법인 BDM(Beeline Diagramming Method)기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양방향 다중 중복관계를 표현하고 일정계산을 하게 되면 루프(Loop)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BDM기법의 일정계산 방법에 대해 연구하여 양방향 다중 중복관계에서 루프가 발생했을 때 일정계산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제안 및 검증을 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환외(2004)." CPM Bar Chart 기법을 활용한 일정계획",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 5권, 5호
  2. 김선규 (2010). 공정관리특론, p.110-p.133기문당
  3. 김선규 외 (2011)." BDM 네트워크 공정 및 비용 진도율 통합관리 개념",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4. 신대섭외(2010)." Beeline Diagramming Method(BDM)기법으로 표현된 CPM 공정계획",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 손재진 외 (2003)." 공정관리 소프트웨어 운영실태 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6. 윤병식외(2008)." 국내 건설현장의 공정관리 현황 실태 조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7. 장용석(2010)." 인터넷 기반의 건설 공정관리 도구 활용방안 연구", 학위논문
  8. Kim, S. G. (2011), "An Example of representing Three Level's Schedules within Schedule Hierarchy by BDM Technique,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Sydney, Australia.

Cited by

  1. Estimation of Project Duration by Probabilistic Linkage Evaluation Technique (PLET) vol.15, pp.6,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6.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