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로공사 환경보전비의 적정 산출 방안

Proper Estimating Method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st in Road Projects

  • 투고 : 2011.03.21
  • 심사 : 2011.11.21
  • 발행 : 2012.03.31

초록

현행 "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의 환경보전비 세부산출기준에 따르면 환경보전비는 표준품셈 등을 이용하여 원가계산에 따라 산출하거나 원가계산이 곤란한 경우에는 공종별로 직접비에 요율을 적용하여 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원가 계산으로 산정할 경우, 현행 표준품셈에 환경보전비에 해당하는 항목이 일부 제한된 항목만 명시되어 있어 다양한 환경오염 방지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사용되는 제반비용을 반영하는 데 현실적인 제약이 있다. 아울러 요율을 적용하여 산정하는 경우에도 공종별로 획일적인 요율을 적용하도록 규정되어 공사현장의 입지여건 등에 따른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공사현장의 효율적인 환경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공사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공사규모, 현장 입지조건, 환경보전비 계상방식 등에 대하여 실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여 이를 토대로 환경보전비의 적정 계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current enforcement regulation of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Act" prescribes calculation standard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st in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is standard,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st is calculated by using the quantity-per-unit costing method or applied fixed rate on direct cost. However, when calculated by using the quantity-per-unit costing method it is few items to put in the budget according to standard of construction estimate and in the case of using the fixed rate on direct cost it is not consider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site. Therefore, it is needed a improvement plan of estimating method and management system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st. In this study, it surveyed the actual state of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st according to magnitude of project, site location, anti-pollution facilities and etc. over 38 road projects. The research reported in this paper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st was variously distributed over construction sites. Thus it needs to estimating method and management system to consider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site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st.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법령정보센터 (2011), 건설기술관리법, 법제처.
  2. 국가법령정보센터 (2011),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법제처.
  3. 국가법령정보센터 (2011), 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법제처
  4. 국가법령정보센터(201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법제처.
  5. 국가법령정보센터(2011),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법제처.
  6. 국가통계포털(2010). 공종별 국내건설수주액, 통계청
  7. 국토해양부 (2011), 건설공사표준품셈, 국토해양부, 과천, pp. 1361.
  8. 김원태 등(2006). 해외 공공 발주자 사업비 관리 및 실적공사비 활용 실태 조사, 건설산업연구원, 서울, pp. 134.
  9. 박우열(2006). 일본의 발주자 사업비 관리 및 실적공사비 활용 실태 조사, 건설산업연구원, pp. 90.
  10. 박찬식, 이재호 (2006)," 공동주택 신축공사 환경관리비 산출방법 개선."건설관리, 제7권, 제3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49-158.
  11. 최민수, 강운산(2005)," 건설공사의환경관리비용 계상 및 운용 실태 분석."건설관리, 제6권, 제5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86-192
  12.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4), 건설공사 환경보전비계상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서울, pp. 82.
  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0), 건설환경관리비의 적정운영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기, pp. 138.
  14. US Army Corps of Engineers(1997). Construction Cost Estimates, Us Army Corps of Engineers.Washington, DC, pp.17-16.
  15. Estimates, Us Army Corps of Engineers.Washington, DC, pp.17-16.
  16. 社團法人日本建設團體連合會(平成20年), 建設工事の環境保全領集,, 社團法人日本建設團體連合會, 東京, pp.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