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Strengthening Method Using the Vacuum Impregnation in RC Members

진공함침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에서의 보강공법 개발

  • 이성태 (인하공업전문대학 토목환경과) ;
  • 송영선 (인하공업전문대학 항공지리정보과)
  • Received : 2012.04.12
  • Accepted : 2012.05.21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Deterioration and weakening is advanced in compliance with flowing of time and the change of environment in RC structures. Consequently, strength and serviceability decreases, finally, the life of infrastructure shortens and safety characteristics decreases. Accordingly, in this study, a new method to develop a strengthening method using the vacuum impregnation, which increases durability of the infrastructure occurred the safety reduction due to the performance degradation and increases the life of infrastructure by improving the durability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was planned. For flexural tests, the maximum strength was a low-end order from high order as follows: (1) vacuum impregnation with 2 fold reinforcement, (2) fiber sheet 2 fold reinforcement, (3) vacuum impregnation with 1 fold reinforcement, (4) fiber sheet 1 fold reinforcement, and (5) nothing. Also, for confirmation results about durability, when the fiber reinforcement is being exposed to the inferior environment, the remaining tensile strength exceeded of 90% or more for all environments. This is because the reinforcement used in this research shows the excellent resistance in severe environment.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간의 흐름과 환경의 변화에 의하여 노후화 및 부실화가 진행된다. 따라서 강도와 사용성이 저하되고, 결국에는 구조물 수명의 단축은 물론, 안전성도 줄어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능저하로 안전성이 떨어진 구조물의 내하력을 증진시키고, 기존 공법보다 내구성을 향상시켜서 구조물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보강공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강재 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고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과 보강재를 일체화시킴으로서 하중재하 시에 보강재와 기존 콘크리트가 같이 거동할 수 있도록 진공함침을 이용하는 보강공법을 개발하였다. 휨 실험의 경우, 진공함침으로 2겹에 해당하는 보강, 섬유시트 2겹 보강, 진공함침으로 1겹 에 해당하는 보강, 섬유시트 1겹 보강, 무보강한 실험체의 순으로 최대강도를 보였다. 또한, 섬유보강재가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의 내구성에 대한 확인결과, 모든 환경에 대한 잔류 인장강도가 90% 이상을 상회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 사용된 섬유보강재가 열악한 환경에 대해 저항성이 우수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양인환, 조창빈, 강수태, 김병석, "강섬유로 보강된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휨 거동에 대한 실험 연구",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제21권 6호, 2009, pp.737-744. https://doi.org/10.4334/JKCI.2009.21.6.737
  2. 오병환, 조재열, 강동옥, "강판 휨보강된 철근콘크리트보의 구조적 거동",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제9권 5호, 1997, pp.233-244.
  3. 오홍섭, 심종성, 이차돈, 최완철, 홍기섭, 신영수, "단면증설된 R/C보의 보수⋅보강 효과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1996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제8권 2호, 1996, pp.416-424.
  4. 오홍섭, 심종성, 주민관, 이기홍, "CFRP 플레이트 적용 스터럽 부분절단형 표면매립공법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에 대한 실험적 평가",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제20권 6호, 2008, pp.671-679. https://doi.org/10.4334/JKCI.2008.20.6.671
  5. 장준환, 김성도, 조백순, 정진환, "유리섬유-강판 복합재료 (GSP)로 보강된 RC 보의 전단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구조물진단학회 논문집, 제11권 1호, 2007, pp.130-140.
  6. 한만엽, 신재우, 강태헌, 진경석, 강상훈, "외부강선을 이용한 연속교 보강공법의 실험적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제18권 2호, 2006, pp.117-120.
  7. 황진석, "탄소섬유쉬트 보강 보의 실험 및 해석적 연구", 한국구조물진단학회 논문집, 제2권 4호, 1998, pp.177-185.
  8. 황현복, 이정윤, "FRP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유효 변형률 예측에 대한 실험적 연구",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제19권 2호, 2007, pp.145-151. https://doi.org/10.4334/JKCI.2007.19.2.145
  9. Nanni, A., Micelli, F.,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FRP rods", CIES 00-22,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Missouri-Rolla, U.S.A.,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