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Behavior of Curve Section of Reinforced Retaining Wall by Model Test

모형실험을 통한 보강토 옹벽 곡선부 거동특성

  • 기정서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류우현 (쌍용양회 기술연구소) ;
  • 김선곤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천병식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2.03.19
  • Accepted : 2012.08.21
  • Published : 2012.11.15

Abstract

The reinforced earth method is financially viable. Furthermore, it overcomes environmental limitations and is therefore employed in retaining walls, slopes, foundations, roads, embankments, and other structures. However, in some cases, reinforced retaining walls are not strong enough in the curved sections and can collapse. Such mishaps are believed to occur because of an unsatisfactory analysis of the curved sections of a reinforced retaining wall. Accordingly, with the aim of investigating the workability and structural safety of curved sections of various typ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the estimated horizontal displacements of curved sections of various types and subsequently uses this information to study and analyze preliminary data so that appropriate measures can be taken to resolve alignment issues.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reveal that when a load is applied to curved sections of both concave and convex types, the largest horizontal displacement occurs at the center of the section. In the concave form, the earth pressure force is directed inward, whereas in the convex form, this force is directed outward. As a result, the horizontal displacement in convex forms is larger than that in concave forms. Convex reinforced earth structures are subjected to earth pressures as well as lateral earth pressure, therefore horizontal displacements in convex curved sections is larger than that of concave curved sections.

보강토 공법은 경제적으로 유리하고 환경적인 제약을 극복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에 옹벽, 사면, 기초, 도로, 제방 등의 구조물에 실용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곡선구간에서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한 보강토 옹벽의 붕괴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보강토 옹벽 곡선구간에 대한 분석이 정립되지 않은데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곡선구간 형태별 시공성 및 구조적인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평변위 측정을 통해 곡선 형태별 수평변위 차이점을 규명하고, 이를 이용하여 곡선구간과 직선구간의 문제점 분석 및 대책강구를 위한 기초자료 연구에 목적을 두고 있다. 실험결과 하중 재하시 오목형과 볼록형 모두 곡선 중앙에서 최대 수평변위가 발생 하였으며, 오목형의 경우 토압을 받는 힘의 방향이 안쪽으로 작용하는 반면에 블록형의 경우는 힘의 방향이 바깥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볼록형의 경우가 오목형에 비해 수평변위가 더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볼록형의 경우 보강토체의 주동토압 뿐만 아니라 측면토압이 추가로 발생되어 곡선구간에서의 볼록형의 수평변위가 오목형에 비해 더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명(2008) 보강토 옹벽의 시공실패사례분석을 통한 효율적 시공방법에 대한 연구, 공학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2. 김진만(2001) 블록형 보강토 옹벽에서 전면블록의 마찰특성 및 안정성 평가, 건설기술정보 207, pp. 10-15.
  3. 김진만, 이대영, 마상준(2006) 지오그리드 보강토 옹벽의 계측평가, 한국구조물진단학회지, 학국구조물진단학회, 제10권 제1호, pp. 106-114.
  4. 김홍택, 방윤경, 박준용, 최두호, 이형규, 윤기웅(1998) GRS-RW 보강토벽체 공법의 준3차원 안정해석, 한국지반공학회지, 한국지반공학회, 제14권 제4호, pp. 177-201.
  5. 유충식, 김주석(2000) 기초지반의 강성이 블럭식 보강토 옹벽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18권 제4호, pp. 7-19.
  6. 유충식(2002) 다단식 보강토옹벽의 설계 - 사례연구, 한국토목섬유학회논문집, 한국토목섬유학회, 제1권 제1호, pp. 31-41.
  7. 정혁상(2004) 실대형 실험을 통한 계단식 보강토 옹벽의 거동 특성, 공학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8. 한중근, 조삼덕, 정상섬, 이광우, 김지선(2005) 시공환경을 고려한 블록식 보강토옹벽의 붕괴요인 분석 및 대책 방안 사례연구, 한국토목섬유학회논문집, 한국토목섬유학회, 제4권 제3호, pp. 35-43.
  9. Han, J.K., Cho, S.D. Joung, S.S., Lee, K.W., and Hong, K.K. (2006) Case Study on the Clobal Slope Failure with Geogrid Reinforced Soil Wall, Proceedings of 8th ICG, Yokohama, pp. 1141-1144.
  10. Wong, K.S., B.B. Broms (1994) Failure modes at model tests of a geotextile reinforced wall, Geotextile and Geomembranes, vol. 13, No. 6, pp. 475-493. https://doi.org/10.1016/0266-1144(94)90009-4
  11. Ali Porbaha (2000) Upper bound estimate of scaled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s, Geotextile and Geomembranes, Vol. 18, No. 6, pp. 403-413. https://doi.org/10.1016/S0266-1144(99)00036-9
  12. Christopher, B.R, Bonczkiewicz, C., Holtz, R.D. (1994) Design, Construction and Monitoring of Full Scale Test of Reinforced Soil Walls and Slopes, Recent Case Histories of Permanent Geosynthetic -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s, Balkema, Proceedings of Seiken Symposium, No. 11, Tokyo, Japan, November 1992, pp. 45-59.
  13. FHWA (2001)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s and Reinforced Soil Slopes, Design and Construction Guidelines,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Publication No. FHWA-NHI-00-043. pp. 12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