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해양레저용 플로팅 건축물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te Selection for Marine Recreational Floating Architecture

  • 이한석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간건축학과) ;
  • 조형장 (메종건축사사무소) ;
  • 강영훈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해양건축공학과)
  • Lee, Han-Seok (Department of Architecture & Ocean Space, Korea Maritime University) ;
  • Cho, Hyung-Jang (Masion Architecture Studio.) ;
  • Kang, Young-Hun (Department of Oceanic Architectural Eng., Graduate School, Korea Maritime University)
  • 투고 : 2011.11.11
  • 심사 : 2012.01.12
  • 발행 : 2012.02.28

초록

레저용 플로팅 건축물은 구조물 안전성, 건축물 용도, 건설 및 관리 경제성, 주변 지역이나 도시와 개발 연계성, 해양환경에의 영향 등을 고려할 때 입지선정에 대한 체계적 지침과 합리적 기준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는 레저용 플로팅 건축물이 많이 계획되고 설치되는 시점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나 지침이 전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레저용 플로팅 건축물의 입지선정을 위해 체계적 입지선정프로세스. 합리적 입지선정기준 및 입지평가지침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나 민간 기업에서 레저용 플로팅 건축물을 계획할 경우 체계적이고 합리적 입지선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입지선정과정, 입지선정기준, 입지평가항목 및 요인을 그림과 표로 알기 쉽게 제시하였다.

The systematic criteria and rational standard for site selection of marine recreational floating architecture are in urgently need in respect of structural safety, use of facilities, economics of construction and management,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areas or cities and impact on marine environment. Nevertheless, at present, there is not any study nor guideline for site selection of marine recreational floating architecture which is now being planned and elected at many places of a body of water such as river or coastal area all over the country. Therefore this study is to propose a systematic process and a rational criteria and guideline for site selection of marine recreational floating architecture. Especially the results are suggested in forms of diagrams and tables in order to be utilized so easily by related local governments and individual enterpris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해양부고시 제2007-74호(2007), 제1차(2007-2016)항만재개발기본계획
  2.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41호(2010), 제1차(2010-2019) 마리나항만기본계획
  3. 김성귀(2007), 해양관광론, 현학사
  4. 일본건축센터(1990), 해양건축물안전성평가지침
  5. 일본건축학회(1987), 해양건축물구조설계지침(부유식)
  6. 일본건축학회(1988), 해양건축계획지침
  7. 일본건축학회(1991), 해양건축과환경
  8. 일본연안개발연구센터(1990), 부체구조물기술매뉴얼
  9. 지삼업(2008), 마리나 조성계획과 실제, 대경북스
  10. 한국항만협회(2005),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11. 한국해양수산개발원(1999), 제주해양수산종합과학관 건립 사업 입지선정 결과보고서
  12. 해양산업발전협의회(2009), 플로팅 아일랜드 리조트 개발을 위한 기획연구
  13. 해양수산부고시 제2007-160호(2008), 해역 수질환경기준
  14. 畔柳昭雄 編著, 김남형․이한석 공역(1999), 해양성레크 레이션시설: 계획과 디자인, 도서출판 과학기술
  15. 小林理市 著, 이한석, 송화철 역(2000), 알기 쉬운 해양건축물 설계
  16. 染谷昭夫, 藤森泰明, 森繁 著(1990), マリ-ナの計劃, 第2章 マリ-ナ計劃論, 鹿島出版會
  17. Floating Home Association Pacific Canada, Hichhiker's Guide to the Float Home Standards, http://www.floathomepacific.com/standards.htm
  18. PIANC(국제상설항해협회: Permanent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Navigation Congresses)(1980), 항로, PIANC Rule

피인용 문헌

  1. The Evaluation of Location Competitiveness for International Logistics Center: Case of Northeast Asia vol.39, pp.5, 2015, https://doi.org/10.5394/KINPR.2015.39.5.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