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스키점프 비행 자세에 따른 공력 해석

Aerodynamic Analysis on Ski Jump Flying Postures

  • 손갑식 (한양대학교 기계공학과 대학원) ;
  • 류민형 (한양대학교 기계공학과 대학원) ;
  • 조진수 (한양대학교 기계공학부)
  • 투고 : 2011.09.23
  • 심사 : 2012.01.26
  • 발행 : 2012.03.01

초록

스키점프 공력 특성에 관한 자료 획득을 목적으로 전산 수치 해석을 수행하였다. 한국인의 체형을 고려한 인체 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해석 결과의 검증을 위해 기존 풍동실험 연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다양한 비행 조건에서 공력 계수를 분석하여 최대 양항비를 나타내는 비행 자세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가 대한민국 스키점프 선수들의 비행 자세 교정과 국내 스포츠 과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nume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in order to obtain aerodynamic data of the ski jump. The body modelling of Korean people is used in the numerical simulation and the result is validated by comparing it with the wind tunnel experiment. A flying posture, which provides the maximum lift-to-drag ratio, is found by analyzing the aerodynamic coefficients of various flight conditions.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can be applied to fixing the postures of Korean ski players and is expected to advance the national sports science.

키워드

참고문헌

  1. 최규정, 권영후, "스키점프 경기 기술에 관한 운동학적 연구", 체육과학연구과제종합보고서 제1권, 1997, pp.1-22.
  2. Straumann, R., "Vom Skiweitsprung und seiner Mechanik [Ski Jumping and the mechanics theory]", Jahrbuch des Schweizerischen Skiverbandes, Vol. 22, 1926, pp.34-64.
  3. W. Meile, E. Reisenberger, M. Mayer, B. Schmölzer, W. Müller and G. Brenn, "Aerodynamics of ski jumping: experiments and CFD simulations," Experiments in Fluids, Vol. 41, 2006, pp.949-964. https://doi.org/10.1007/s00348-006-0213-y
  4. K. Seo, I. Watanabe and M. Murakami, "Aerodynamic force data for a V-Style ski jumping flight" ISEA Sports Engineering, Vol. 7, 2004, pp.31-39. https://doi.org/10.1007/BF02843971
  5. B. Schmolzer, W. Muller, "Individual flight styles in ski jumping: results obtained during Olympic Games competitions" Journal of Biomechanics, Vol. 38, 2005, pp.1055-1065. https://doi.org/10.1016/j.jbiomech.2004.05.038
  6. F. R. Menter, "Two-Equation Eddy-Viscosity Turbulence Models for Engineering Applications", AIAA Journal, Vol. 32, 1994, pp. 1598-1605. https://doi.org/10.2514/3.12149
  7. 이보성, 김태윤, 박영희, 이동호, "$\epsilon$-SST 난 류 모델을 적용한 벽면 근처 정사각주 유동장의 수치 해석",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31권 제8호, 2003, pp. 1-7. https://doi.org/10.5139/JKSAS.2003.31.8.001
  8. 김도형, "ANSYS CFX의 난류모델", 유체기계공업학회 유체기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2006, pp.153-156.
  9. E. Reisenberger, W. Meile, G. Brenn and W. Müller, "Aerodynamic behaviour of prismatic bodies with sharp and rounded edges" Experiments in Fluids, Vol. 37, 2004, pp. 547-558. https://doi.org/10.1007/s00348-004-0840-0
  10. 이영숙, "제품설계를 위한 한국남성의 인체 치수 데이타", 새봄출판사, 1999.

피인용 문헌

  1. CFD PREDICTION OF AERODYNAMIC DRAG ACTING ON ALPINE DOWNHILL SKIER vol.21, pp.3, 2016, https://doi.org/10.6112/kscfe.2016.21.3.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