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장애학생의 게임세계 경험과 또래상호작용 탐구: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The Study on the Game World Experience and Peer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 With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 유두한 (전북대학교병원 작업치료실) ;
  • 전병진 (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홍덕기 (원광대학교 전주한방병원 작업치료실)
  • Yoo, Doo-Ha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Jeon, Byoung-J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angwon University) ;
  • Hong, Deok-Gi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Wonkwang University Jeonju Oriental medical Hospital)
  • 투고 : 2012.10.31
  • 심사 : 2012.11.23
  • 발행 : 2012.11.30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장애학생의 게임세계에 대한 경험을 통해 또래상호작용을 탐구하여 그들이 겪는 여가활동의 경험에 대한 보다 풍부한 이해를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2명의 지역사회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게임세계에 대한 경험과 또래상호작용을 탐구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심층면담으로 연구 참여자의 상황과 맥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3회 이상 면담횟수를 설정하였고, 가급적 새로운 자료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과정은 Giorgi가 제시한 과학적 현상학에서 따라야 하는 4가지 구체적 단계들을 통해 전체적 인식을 바탕으로 의미단위를 구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 장애학생은 신체적 제한과 소외감으로 집에서 대부분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시간적이며 공간적인 접근성의 제한은 편중된 여가활동의 원인이 되었다. 장애학생은 컴퓨터를 이용한 게임에 재미를 느끼며 소외감을 극복하고 있었지만 게임으로 인한 신체적 고통도 느끼고 있었다. 게임을 통한 또래와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고, 대화는 주로 가족과 이루어졌다. 장애학생은 재미에 이끌려 무분별적으로 게임을 하고 있어, 시간 사용에 대한 올바른 사고가 필요하였다. 결론 : 지역사회 장애학생은 신체적이고 심리적인 제한점들로 인해 게임을 접하게 되었고, 몰입을 통한 재미로 즐거움을 느끼고 있었다. 지역사회 장애학생은 게임의 시간 사용에 대한 올바른 교육과 사고가 필요하며, 무분별한 게임 이용과 같은 문제점에 대한 대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game world experience and peer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Method : In this study,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to understand the game world experience and peer interaction of tw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The data collection about the situation and the context of the subjects was conducted over three times of interviews, until no new data. Meaning units through the four steps for Giorgi's scientific phenomenology were analyzed in the context of the overall data. Result : Tw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had to spend time at home with physical limitation and alienation, and their leisure activities was mainly using the computer and television. Restrictions of leisure activities wad the cause of difficulties of social accessibility, and they need the correct thinking and self-control in the use of the time. Due to the game for fun, they have no interact with peers. On the other hand, most of conversation about the game were with families. Conclusion :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d a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were feeling pleasure through the game. They need the correct thinking and self-control in the use of the time, and need an alternative solution for a reckless game us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