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an Occupational Therapeutic Intervention Program using Horticultural Therapy on Cognition and Daily Living Performanc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원예치료를 적용한 작업치료적 중재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Kim, Myong-Hwa (Center for Mental health, Gwangju Jangsan Elementary School) ;
  • Kim, Jung-Mi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wangju Women's University)
  • 김명화 (광주장산초등학교 상담지원센터) ;
  • 김정미 (광주여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12.05.20
  • Accepted : 2012.06.18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an occupational therapeutic intervention program including horticultural therapy on cognition and daily living performanc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Methods : For the purpose, the study measured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argeting sixteen women with dementia who were living in nursery facilities. We used MMSE-K to analyse the cognition, and evaluated daily living performance using K-MBI(p<.05).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as follows: 1. To identify changes of MMSE-K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between the control and test groups.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MMSE-K of the control group was $16.25{\pm}1.38$ before the therapy and $16.00{\pm}.92$ after the therapy, which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ut MMSE-K of the test group was $16.00{\pm}1.51$ before the therapy and $17.87{\pm}1.35$ after the therapy,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2. To identify changes in daily living performance(K-MBI) between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and it was discovered that scores of the control group were $74.00{\pm}1.30$ before the therapy and $74.25{\pm}1.16$ after the therapy, whic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ose of the test group were $73.75{\pm}1.28$ before the therapy and $76.37{\pm}1.30$ after the therapy,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an occupational therapeutic intervention program including horticultural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cognition and daily living performance of elderly women with dementia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linical interv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목적 : 본 연구는 원예치료를 포함한 작업치료적 중재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치매노인 16명을 대상으로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확률 할당하여 실험전과 후에 측정하였다. 인지기능은 한국형 간이치매 사정도구(MMSE-K)을 사용하였고 한국판 수정 바델지수(K-MBI)를 이용하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 작업치료적 중재프로그램 전과 후에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작업치료적 원예치료의 적용 전 후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를 Wilcoxon Signed Rank Test 실시하였고, 실험 전, 후의 군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Mann-Whitney test를 사용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 ${\alpha}=0.05$로 하였다. 연구결과 : 1. 대조군과 실험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인지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한 결과 대조군은 실험전 $16.25{\pm}1.38$점에서 실험후 $16.00{\pm}.92$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군은 실험전 $16.00{\pm}1.51$점에서 실험후 $17.87{\pm}1.3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각 측정 시기별 군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Mann-Whitney test를 실시한 결과 실험 전에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 후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2. 대조군과 실험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한 결과 대조군은 실험전 $74.00{\pm}1.30$점에서 실험후 $74.25{\pm}1.16$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군은 실험 전 $73.75{\pm}1.28$점에서 실험후 $76.37{\pm}1.3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각 측정 시기별 군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Mann-Whitney test를 실시한 결과 실험전에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 후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 이상의 결과를 통해 원예치료를 포함한 작업치료적 중재프로그램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임상에서 치매노인 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