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문화와 콘텐츠 산업: 사회자본 관점에서의 신한류 현상 분석

Culture and Content Industry: An Analysis on New Korean Wave based on Social Capital Perspective

  • 김인설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
  • 이종석 (한림대학교 경영학부, 한림경영연구소)
  • 발행 : 2012.12.30

초록

드라마 위주의 방송을 매체로 한 이전의 한류와 달리, 케이팝을 중심으로 한 신한류의 확산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이러한 확산 방식의 차이가 사회자본 관점에서 한류의 수용층과 수용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콘텐츠 산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신한류의 수용자들은 자발적으로 케이팝을 찾아 공유하고 자신들의 의사를 표출하는 젊은 열성 팬들로 구성된다. 유튜브나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기업들은 이들을 결속형에서 교량형 사회자본으로 변화시켜, 음원제공 사이트에서 케이팝의 판매를 촉진하는 정보제공자의 역할을 한다. 통신사와 광고주는 이러한 시장에 제3자로 참여하여 미디어가 소비자들 사이에서 유통될 수 있도록 자금을 지원한다. 이처럼 서로가 서로를 지원하는 다면시장에서 생태계의 변화를 유도하는 플랫폼의 확보 없이는 신한류의 파급효과를 극대화하는 연계형 사회자본 형성은 어려울 것이다.

Unlike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Wave (Hallyu 1.0), which mainly refers to the exports of Korean TV dramas via broadcasting systems, the New Korean Wave (Hallyu 2.0) era has been brought by K-pop (Korean popular music) via the rapid growth of social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is significant shift in media on global fans and their way of adopting Korean cultural goods from a social capital perspective, in order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Korean content industries. Most global fans of K-pop are young and use social media to access digital content and share their opinions spontaneously. SNS providers such as YouTube and Facebook not only act as information providers to usher the fans to online music retailers; but also function as links between these fans and cultural producers by turning bonding social capital into bridging social capital. Telecommunication and advertising companies participate in this market as a third party by providing funds for supporting digital circulation and distribution. In this multi-sided market with the interdependent agents,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secure a platform that leads the evolution of its business ecology. Without owning the platform, there is also a very little chance to produce linking social capital as a means to maximize the impact of New Korean Wav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수정(2012), "민족'과 '경제' 렌즈 빼고 제대 로 들여다 보자: 문화 탈중심화 사건으로서의 한류",신문과 방송, 498(6), 6-11.
  2. 백지은(2012), 기부+봉사활동' 팬덤 나눔문화 확산 왜?, 조선일보, 2011년. 3.30일자
  3. 손승혜(2012), "한류 수용의 로컬 콘텍스트와 글로벌 팬덤의 특성: 코리안 커넥션 사례분석", 미디어 경제와 문화 , 10(1), 45-85.
  4. 안철경(2010), 소셜미디어의 확산과 보험회사에의 시사점, KIRI Weekly, 2010. 10.4일자
  5. 이기원(2012), "新韓流K-pop의 國際去來硏究 : 디지털 음악의 해외유통과 Youtube-social media의 역할",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6. 이동원, 정갑영, 박 준, 채승병, 한준 (2010), 제3의 자본: 사회적 자본은 어떻게 증진되는가?, 삼성경제연구소.
  7. 채지영(2011), "신한류 발전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8. 한국콘텐츠진흥원(2010), 2010 음악산업백서
  9. 황성빈(2012). 케이팝 팬층은 확대, 세대교체는 아직: 일본 내 한류의 현재 점검. '신문과 방송', 신문과 방송 , 498(6), 16-19.
  10. Cohen, S. S., & Fields, G. (1999), "Social capital and capital gains in Silicon Valley,"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41, 108-130. https://doi.org/10.2307/41165989
  11. Cook, K., Lin, N., & Burt, R. S. (2006), Social Capital Theory and Research. New Brunswick: Aldine Transaction.
  12. Fukuyama, F.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London, U.K.: Hamish Hamilton.
  13. Gawer, A., and Cusumano, M. A. (2002), Platform Leadership: How Intel, Microsoft, and Cisco Drive Industry Innovation, Boston, MA: Harvard Business Press.
  14. Nye, J. (2004), Soft Power: The Means to Success in World Politics, Thousand Oaks, CA: Sage.
  15. Putnam, R. D. (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Y : Simon & Schuster
  16. Woolcock, M. (2001), "The place of social capital in understanding social and economic outcomes," Isuma: Canadian Journal of Policy Research, 2(1), 1-17.
  17. Yoffie, D. B. (1997), Competing in the Age of Digital Convergence,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