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the Universal Design Project on Geonjisan Forest Trail Jeonju City, South Korea

전주시 건지산 숲길 Universal Design 사업 이용후 평가

  • Park, Sun-A (Division of Architecture, Civil & Landscape, Jeonbuk Science College) ;
  • Lee, Myung-W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박선아 (전북과학대학교 건축토목조경계열) ;
  • 이명우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2.08.17
  • Accepted : 2012.10.29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e project on Geonjisan Universal Design Forest Trail in Jeonju City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by an NGO called 'Jeonbuk Forest for Life' which was a winner for the '2008 Open Competition by the 'Committee for Greening Society' established in Korea Land Corpo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esign satisfaction of UD forest trail. Post Occupancy Evaluation (POE) method was applied to measure the user satisfaction and the total number of users. The main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major users of the Geonjisan UD forest trail were people aged over 60 years old(37%) and the main purpose of trail usage were to 'walk and rest'(51.5%) and to 'exercise and rehabilitation' (40.6%). Furthermore, the overall user rating for the UD forest trail design was "satisfied"(3.91 point in 5-point Likert Scale). The three most influencing factors of the overall user satisfaction were facility management, user conflict, and trail width and slope. About forty-five people were found to be End-user in the UD forest trail while six people were found as End-user in non-UD trails. Most importantly, the number of End-user observed on the UD forest trail was greater than the number found in non-UD forest trail. The result implies that the UD forest trail attracts more End-users and provides opportunity for gathering and interaction with the other users. Moreover, the satisfaction rate for the UD forest trail landscape is found to be high in Likert scale, which we can assume that the well-grown existing trees and topographic features as well as appropriately designed wood-paths influence the high satisfaction rate of the users. The POE of UD forest trail revealed the importance of universal design concept due to its convenient uses of the handicapped, old, weak, pregnant woman or children.

전주시 건지산 UD 숲길은 2008년 한국토지공사 초록사회 만들기 공모사업의 일환으로 전북생명의 숲이 주관하여 설계 및 시공이 추진되었다. 이 연구는 이용자 만족도, 이용자 수 조사의 이용후 평가를 통해 UD 숲길 설계의 적정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건지산 UD 숲길의 주이용자는 60대 이상의 지역주민이 전체이용자의 37%를 차지하며, 이용목적은 산책과 휴식 51.5%, 운동 및 재활치료 40.6%로 나타났다. UD 숲길 만족도는 5점 리커트 척도에서 3.91로 나타났고,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는 관리, 이용충돌, 폭과 경사에 대한 만족도 순서로 나타났다. 이용자수 조사에서 교통약자는 UD 숲길 45명, 기존 숲길 6명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건지산 UD 숲길은 교통약자의 이용을 유도하고, 일반인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UD 숲길 주변의 높은 경관만족도는 기존지형과 수목을 가능한 보존하고, 목재 데크를 설치함으로써 기존 자연경관이 잘 유지된 점을 나타냈다. 건지산 UD 숲길의 이용후 평가는 도시숲길 조성시 장애인, 노인, 약자, 임산부, 어린이 등 다양한 신체조건의 이용자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의 도입 필요성을 나타내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태호, 유기준, 김동욱(2005) 숲길의 바람직한 정비방안을 위한 이용객 인식조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pp.96-99.
  2. 김유일, 노경아, 이성학(1995) 용인 자연농원 장미원의 이용후 평가에 관한 연구. 생명자원과학연구 2(1): 37-48.
  3. 남궁윤재(2011) 유니버설 디자인 연구 분석을 통한 개념 재정립. 한국디자인포럼 31: 389-390.
  4. 노희경, 오도교, 김세빈(2010) 도시수목원의 이용후평가에 관한 연구: 대전시둔산대공원내 한밭수목원을 대상으로. 농업과학연구 37(1): 27-35.
  5. 서혜옥, 박순옥(2009)유니버설디자인을 고려한 도시환경에서의 편의시설물에 대한 연구. 커뮤니테이션디자인학연구 (29): 55-65.
  6. 이영환(2010) 장애인 및 노약자의 특성을 고려한 무장애 자연휴양림 계획방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여리(2010) 지역환경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연구. 숙명디자인학연구 14: 66-77.
  8. 이호승(2007) 유니버설디자인의 인지도와 가치판단에 대한 조사, 디자인학연구 20(5): 43-154.
  9. 이효창, 조유정, 권소영, 하미경(2007) 아파트 단지 외부 커뮤니티 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4): 101-110.
  10. 임승빈, 주신하(2010) 조경계획․설계. 보문당. pp.299-321.
  11. 장동수(1997) 이용후평가 방법론에 관한 연구. 안성산업대학교 논문집 29(2): 223-235.
  12. 조규남, 문헌식(2009) 지리산국립공원 자연관찰로 이용행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농업생명과학연구 43(1): 9-16.
  13. 조우, 유기준, 최송현(2009)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숲길 보행시설에 대한 이용객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1): 78-89.
  14. 최석준(2010) 유니버설디자인 개념 적용의 공공시설물디자인 사례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6(2): 466-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