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합성 PC부재에 의한 그린 프레임의 철근물량 산출 자동화 알고리즘

Automatic Algorithms of Rebar Quantity Take-Off of Green Frame by Composite Precast Concrete Members

  • 이성호 (경희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김선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이군재 (경희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김선국 (경희대학교 건축공학과) ;
  • 주진규 (신동아건설)
  • 투고 : 2011.08.25
  • 심사 : 2011.10.31
  • 발행 : 2012.01.31

초록

1980년대 이후 국내 아파트에서 적용되어온 벽식구조는 리모델링 시 많은 문제점을 유발시켜 정부에서는 법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무량판 및 라멘구조를 장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골조의 문제점을 개선한 친환경 라멘조인 그린 프레임이 개발되어 구조적 안전성 뿐 아니라 시공성, 친환경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졌다. 그린프레임의 경우 설계단계에서 작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 부재 정보를 이용하여 물량 산출 및 철근 가공도(bar bending schedule) 등을 자동으로 작성하면 인력저감 뿐 아니라 철근 손율(loss)을 줄이는 철근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합성 PC부재에 의해 설계된 그린 프레임의 철근물량 산출 자동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철근물량 산출자동화 알고리즘은 구조 설계정보, 시방정보, 합성PC의 철골정보 등을 이용하여 작성한 후 사례현장 적용을 통하여 개발된 알고리즘의 효용성을 증명한다. 개발된 알고리즘에 의해 저장된 정보는 철근가공조립도, 철근 재단 리스트(bar cutting list)작성 자동화 뿐 아니라 철근 손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조합과 주문물량 산출 자동화에도 활용될 것이다. 또한 공사관리인력 저감 뿐 아니라 철근 손율 최소화 관리에 따른 공사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s the bearing wall structure, which has been widely applied to domestic apartment buildings since the 1980s, cause many problems during remodeling of buildings, the government encourages constructors to adopt flat plate or rahmen structure through legal incentives. In line with such a trend, the green frame, an eco-friendly rahmen structure that has removed the shortcomings of previous structures, was developed to enhance structural safety, constructability, and eco-friendliness. The construction of green frame can reduce the labor cost and facilitate the composition of iron bars to reduce rebar loss through calculating the quality and establishing the bar bending schedule automatically on the precast concrete member data collected over the design pha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lgorithm to automate the calculation of iron bar volume for the green frame designed on composite precast concrete members. Automated algorithm to calculate concrete structural design information and design information. Practices through the application site should prove efficacy. The database established by the developed algorithm will automate the establishment of iron bar processing map and bar cutting list and the calculation of optimal composition and order volume to minimize the rebar loss. This will also reduce the expenses on management staff and overall construction cost through the minimization of rebar los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광희, 박우열, 강경인 (2002), 국내 건축물 철근공사 품질.원가 개선을 위한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8권 5호, pp 121-128
  2. 김동진, 김욱종 (1991), 철근공사 공장가공 합리화 방안,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4권 1호, pp 419-422
  3. 2004김선국, 김문한, 철근 손율을 줄이기 위한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7권 3호, pp 385-391
  4. 박우열, 김광희, 강경인 (2004), 국내 철근공사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논문집, 제4권 3호, pp 83-91
  5. 박현용, 이승현, 강태경, 이유섭 (2008), 설치 위치 정보를 포함한 배근시공상세도 작성 및 가공철근 자동 물량산출 시스템 개발, 한국건축시공학회논문집, 제8권 2호, pp 63-70,
  6. 이승근, 저탄소 장수명 (2009), 공동주택의 공법 개발 및 타당성 분석,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조훈희, 박우열, 강태경, 박현용, 윤석현, 허영기 (2007), 철근 공사의 공장가공 현황분석과 활성화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8권 1호, pp 57-65
  8. 홍원기, 김선국, 김형근, 윤태호, 윤대영, 김승일 (2010), 저탄소 및 장수명 공동주택 구현을 위한 Green Frame(GF)의 타당성 분석,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10권 1호, pp 57-63
  9. SH공사 (2010), 100년 가는 장수명주택을 위한 Green Frame 설계매뉴얼

피인용 문헌

  1. Automatic Rebar Estimation Algorithms for Integrated Project Delivery vol.15, pp.3, 2016, https://doi.org/10.3130/jaabe.15.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