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관찰·추천제에 의한 영재교육대상자 선발에서 심사결과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Analysis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lection Results of the Gifted Student by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 Yun, Eunjeong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Gifted Youth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Yuneba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2.10.22
  • 심사 : 2012.12.26
  • 발행 : 2012.12.31

초록

본 연구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관찰 추천제에 의한 선발 및 융합과학전공의 도입 후에 학생 선발과 교육 내용 구성이 어느 정도 타당하게 진행되었는지를 분석해 보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과학영재교육원의 학생 선발과 융합과학 전공 운영을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융합과학전공의 입학사정 결과를 분석해 보고, 입학 성적과 입학 후 융합과학전공에서의 수행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관찰 추천제가 추천자 및 심사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선발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심사자들 사이의 관점이 매우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발과 입학 후 교육이 일관성 있게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for efficient selection with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and efficient operation of Convergence Science class in a Science Institute for Gifted Youth attached in university.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result of entrance exam with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nterance exam score and achievement to perform at the Convergence Science class. As a result, despite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is highly dependent on observers and recommenders, they have very different perspectives each other. In addition it was founded that selection and education process after admission is inconsist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언근, 김윤경 (2009). 우리나라 과학영재교육 관련 논문의 주제 분석. 과학영재교육, 1(2), 63-76.
  2. 김영채 (1984). (교육․심리)측정․평가총론. 파주: 교육과학사.
  3. 박승재, 조희형 (2001). 과학교육연구. 파주: 교육과학사.
  4. 송인섭, 이신동, 김윤수, 서재경, 이인호, 윤부섭, 황광일 (2012). 영재교육대상자 선발방식에 대한 올바른 이해. 교사 관찰․추천제 바로 알기.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자료 CRM 2012-14-7.
  5. 우미란, 김선자, 박종욱 (2012). 관찰.추천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의 교사추천서와 프로그램 수행의 관련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22(1), 173-196. https://doi.org/10.9722/JGTE.2012.22.1.173
  6. 유미현, 강윤희, 예홍진 (2011). 과학영재교육원 관찰․추천 방식의 영재선발 분석. 과학영재교육, 3(2), 27-38.
  7. 이인호, 한기순 (2009).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교사 추천의 효용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19(2), 381-404.
  8. 이효녕, 권혁수, 김용기, 남정철, 박경숙, 서보현, 손동일, 오영재, 오희진, 이성수, 이영은, 정현일, 조현준, 한인기 (2012). 과학탐구와 창의적 설계 기반의 STEM/STEAM 교육의 이해와 적용. 서울: 북스힐.
  9. 정정인, 박종욱 (2011). 관찰추천에 의한 초등과학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나타난 문제점: 교사 추천서 분석을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50(3), 1-12.
  10. 최은주 (2012). 과학영재 관찰․추천 선발에 사용되는 교사추천서와 자기소개서 분석 및 실제 교육 결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11. 최호성, 박후휘, 김 일 (2011). 교사 관찰․추천제를 활용한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식에 대한 부산지역 초등학교 학부모의 인식과 태도. 영재교육연구, 21(2), 407-426.
  12. 한국교육개발원 (2012). 교사 관찰․추천제 바로 알기: 총편.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3. 황정규 (1984).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파주: 교육과학사.
  14. Hungker, S. L., Finley, V. S., & Frank, E. L. (1997). An analysis of teacher nominations and student performance in gifted programs. Gifted Child Quarterly, 41(2), 19-24. https://doi.org/10.1177/001698629704100203
  15. Pintrich, P. R, Smith, D. A. F, Garcia, T., & McKeachie, W. J. (1993). Relia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MSLQ).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3(3), 801-813. https://doi.org/10.1177/0013164493053003024
  16. Siegle, D., & Powel, T. (2004). Exploring teacher biases when nominating students for gifted programs. Gifted Child Quarterly, 48(1), 21-29. https://doi.org/10.1177/00169862040480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