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the Regional Festival

사회자본이 지역축제의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2.11.12
  • Accepted : 2012.12.06
  • Published : 2012.12.28

Abstract

This study verifies a simple research question such as how the core factors of social capital impact the citizen's participation in the regional festival and suggests some agenda related to this issu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e necessity of some effective policy to help regional festival operating more citizen-oriented way which could lead citizen more corporative to the festival. Also Strengthening regional social capital could be the core factor to establish sustainability of regional society. Well-established social capital make regional festival more successful and regional economy more affluence. So Local Government have to make her various efforts to establish and activate social capital in regional level.

본 연구는 사회자본의 핵심요인들이 지역주민들의 지역축제 참여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의 사회자본 증진 방안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축제는 지역민의 공감과 협조를 통한 최선의 지역축제가 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의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자본의 형성이나 지역사회자본의 강화는 궁극적으로 지역사회의 내부적 자생력과 이를 지속하게 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요소임을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역사회자본의 형성은 지역주민들이 지역행사의 인지도 및 찬성도를 제고할 뿐 아니라, 지역축제의 참여로 연결되어 지역사회의 다양한 발전과 연결이 가능하다고 본다. 결국 지역사회자본의 형성은 지역경제 발전의 기초로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지방정부에서는 지역사회의 사회자본 형성을 위해서 다양한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은 지방정부가 직접 나서서 할 수도 있고 일부는 시민단체나 지역의 교육단체를 지원하는 형태로 사회자본을 형성할 수도 있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유광민, "농촌관광마을에서 사회자본과 리더십 : 사례연구", 관광연구논총, 제18권, pp.177-199, 2006.
  2. 김남선, "사회자본의 연구동향과 측정방법의 탐색",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제26권, 제2호, pp.27-45, 2001.
  3. 최창수, "사회적 자본의 형성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 지방행정연구, 제48권, 2000.
  4. 소진광, "사회적 자본형성을 위한 지역사회개발 논리", 지역사회개발연구, 제24권, 제1호, 1999.
  5. 김남선, 김만희, "지역공동체와 사회자본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제10권, 제2호, pp.1-30, 2000.
  6. 김혜란, 사회자본과 여성정책, 한국행정학회 하계 학술세미나 발표논문집, 2001.
  7. 오철호, "정보통신기술, 사회자본 그리고 전자민주주의: 하나의 연결 설계", 한국행정학회, 2001.
  8. 서순탁, "사회자본 접근방법의 정책적 함의: 도시 계획을 중심으로", 2001년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세미나, 2001.
  9. 장수찬, 우리나라 사회자본의 특성과 경제발전, 한국정치학회춘계학술대회논문집, 2001.
  10. 박희봉, 김명환, "지역사회자본과 거버넌스능력", 한국행정학보, 제34권, 제4호, 2000.
  11. 박희봉, "사회자본과 지방정부 경쟁력", 2001년 한국행정학회 학술세미나논문집, 2001.
  12. 임정호, 사회자본과 지방자치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대전대대학원, 2001.
  13. 박찬웅, 신뢰의 위기와 사회적 자본, 한국사회학회 발표논문집, 1998.
  14. 박상필, "이익집단 갈등과 사회자본: 경실련의 한약분쟁 조정사례연구", 한국행정학보, 제34권, 제2호, pp.121-138, 2000.
  15. 장수찬, 사회적 수준에서 살펴본 신뢰와 민주주의, 한국NGO학회 춘계 학술대회논문집, 2002a.
  16. 장수찬, "한국에 나타난 악순환의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제36권, 제1호, 2002b.
  17. 박희봉, "사회자본이론의 논점과 연구경향",정부학연구, 제8권, 제1호, p.5, 2002.
  18. 유재원, 사회자본과 자발적 결사체, 2000년 한국행정학회세미나 발표논문집, 2000.
  19. 김상묵, 박희봉, 강제상, 지적자본 형성 및 효과, 2001년 한국행정학회 학술세미나 발표논문집, 2001.
  20. 곽현근, "동네 관련 사회자본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4권, 제3호, pp.259-285.
  21. 백명자, 사회자본의 영향요인 분석, 대전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22. R. D. Putnam, "The Prosperous Commi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Vol.13, Spring, 1993.
  23. J. Coleman,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4, Supplement, 1988.
  24. 박희봉, 김명환, "지역사회자본과 거버넌스능력", 한국행정학보, 제34권, 제4호, 2000.
  25. 재원, 사회자본과 자발적 결사체, 2000년 한국행정학회세미나 발표논문집.
  26. Seragedin and Grootaert,. Defining Scocial Capital: An Intergrating View. In Partha Dasgupta & Ismail Seragedin, eds., Social Capital: A Multifaceted Perspective, 40-58. Washington, D.C: The World Bank, 2000.
  27. R. D. Putnam,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a.
  28. 박희봉, 사회자본과 지방정부 경쟁력, 2001년 한국행정학회 학술세미나논문집, 2001.
  29. 최영출, "지역의 사회자본측정지표 설정", 지방정부연구, 제8권, 제3호, pp.119-144, 2004.
  30. 김형곤, 고성태, "농촌관광을 통한 사회자본 형성 연구: 마을지도자들 인식조사", 한국관광레져학회, Vol.20, No.2, pp.29-49, 2008.
  31. 윤유식, 박덕병, "농촌관광마을 지역주민의 사회 자본이 농촌관광개발효과 인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관관학회, Vol.32, No.2, pp.193-211, 2008.
  32. 박희봉, 사회자본, 서울: 조명문화사, 2009.
  33. 박종관, "지역공동체형성전략", 한국콘텐츠학회, 제12권, 제7호, 2012.

Cited by

  1. Effects of B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on Psycological Adaptation vol.13, pp.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