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for analysis of acidity and moisture in paper record by mobile small NIR spectrometer

이동 가능한 소형 근적외선 분광 분석기를 사용한 종이 기록물 내 산성도 및 함수율 분석에 대한 연구

  • 이창영 (국가 기록원 기록관리부) ;
  • 김찬봉 (브러커옵틱스 코리아(주)) ;
  • 이성욱 (브러커옵틱스 코리아(주)) ;
  • 조원보 (브러커옵틱스 코리아(주)) ;
  • 김효진 (브러커옵틱스 코리아(주))
  • Received : 2012.09.18
  • Accepted : 2012.10.12
  • Published : 2012.12.25

Abstract

As for quality evaluation of paper records, it is very important to measure acidity and moisture in paper. In the case important paper records, it should be measured directly in field. But ISO standard analytical method would be limited to measure directly in field for quality evaluation of paper records until now. Therefore it could be to use mobile small NIR spectrometer for being analyzed by direct and non-invasive method in field. The wavelength range of small spectrometer has from 900 to 1700 nm, and the surface of paper could be measured by diffused reflected optical fiber probe. Thus, the acidity and moisture could be analyzed on the paper record with from 1970 to 2003. As the result, it could be confirmed to have each more than 0.9 as the correlation of acidity and moisture. Thus,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e the evaluation system of paper record with mobile small NIR spectrometer and optical fiber by the result.

종이 기록물의 품질 평가에 있어서, 종이 내에 산성도와 함수율이 중요하다. 특히 중요한 종이 기록물에 있어서는 현장에 가서 직접 측정해야 하는데, 현재의 종이 기록물의 품질 평가하는 ISO 표준 분석 방법의 경우에는 파괴적인 방법이면서 현장에서 직접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직접 측정하면서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이동 가능한 소형 비파괴 분석기인 근적외선 분광 분석기를 사용하였다. 소형 분광기의 파장 대역은 900부터 1700 nm 파장 대역을 사용하였으며, 확산 반사형 광화이버를 사용하여 종이의 표면에 측정하였다. 그리고 1970 년대부터 2003년까지의 종이 기록물을 사용하여 산성도와 함수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산성도와 함수율이 각각 0.9 이상으로 두 인자에 대한 높은 상관관계를 확인 하였다. 이로써 소형 근적외선 분광 분석기와 광화이버를 사용하여 이동하면서 종이 기록물의 평가 시스템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Andrew Richard Albanese, Library Journal, USA (2001).
  2. P. Williams and K. Norris,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Inc., Minnesota, USA, 201 (1987).
  3. P. Corti, E. Dreassi, G. Ceramelli, S. Lonardi, R. Viviani and S. Gravina, Analysis, 19(7), 198-204 (1991).
  4. M. Blanco, J. Coello, A. Eustaquio, H. Iturriaga and S. Maspoch, J. Pharm. Sci., 88(5), 551-556 (1999). https://doi.org/10.1021/js980338f
  5. G. Lee, C. Han and Yoon, E. S., Chem. Res., 8037- 8048 (2004).
  6. H. H. Yoon, Y. M. Shin, H. J. Kim, Anal. Sci. Technol., 23(3), 304-311 (2010). https://doi.org/10.5806/AST.2010.23.3.304
  7. P. R. Armstrong, E. B. Maghirang, F. Xie and F. E. Dowell, Appl. Eng. Agric., 22(3), 453-457 (2006). https://doi.org/10.13031/2013.20448
  8. H. M. Antti, Sjostrom, J. Chemom., 10(5-6), 591-603 (1996). https://doi.org/10.1002/(SICI)1099-128X(199609)10:5/6<591::AID-CEM474>3.0.CO;2-L
  9. H. Y. Cen and Y. He, Food Sci. Technol., 18, 72-83 (2007). https://doi.org/10.1016/j.tifs.2006.09.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