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urrent Situation of Otter (Lutra lutra) Inhabitation and Conservation Measures in the Bukhan River

북한강수계 수달(Lutra lutra)의 서식실태 및 보호방안

  • Received : 2011.04.04
  • Accepted : 2011.06.14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otter inhabitation and conservation and to collect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appropriate policies. We conducted the study around the Bukhan river from April to October 2009, mostly focusing on otter distribution, feeding habits, threats, and conservation measures. We divided the study area into 2 sectors: the dam area and the stream. We found 39 spraint sites in the dam area and 70 in the stream area.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number of spraint sites between the upper stream and the lower stream. To evaluate the feeding habit,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frequency and bulk occurrence of the spraints. Among the prey items, fish were the most numerous (36.99%) followed by amphibians (17.22%). Fish showed the highest bulk occurrence in the dam area, and the bulk occurrence of amphibians and insects seemed to increase in the stream area. However, the bulk occurrence in the dam area seemed to be lower than that in the stream area (ANOVA, F = 3.99, p < 0.05). Fyke nets and abandoned fishing nets were found to be the most threatening factors. Further research on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otters and the use of stop grids is required for better conservation of otters.

본 연구는 수달의 서식실태와 보존 및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2009년 4월부터 10월 까지 북한강수계를 대상으로 분포, 식이습성, 위협요인 등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였다. 분포는 크게 댐호수와 하천구간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고, 댐호수에 39개소의 수달 배설물 지점이 발견되었으며, 하천상류에는 48개소, 하천하류에는 22개소의 수달 배설물 지점을 발견하여 하천상류에서 많은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습성을 알아보기 위해 현장조사에서 수집된 배설물을 이용하여 출현빈도와 출현부피를 분석한 결과 어류가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고(36.99%), 그 다음이 양서류(17.22%), 곤충(15.85%) 순으로 나타났다. 수달 배설물에서 출현된 먹이종의 지역 간 분류군별 출현부피는 댐호수 구간에서는 어류가 높았고, 하천 구간에서는 양서류와 곤충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그러나 댐호수 구간의 출현부피는 하천 구간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ANOVA, F = 3.99, p < 0.05). 북한강수계의 수달서식에 위협이 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무분별하게 설치되는 정치어망과 버려진 폐그물로, 체계적인 관리와 수달의 익사방지를 위한 수달보호격자의 설치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