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g Sang-soo in Deleuzean theater

들뢰즈 극장의 홍상수

  • Received : 2011.01.09
  • Accepted : 2011.02.15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In this paper, I suggest a discourse on some delicate relations between the philosophy and the cinema, or between the visualizing philosophical reflection and the contemplating cinematic imagination. In this context, G. Deleuze is not a simple philosopher and Director Hong, not a director. Each is a kind of metonymy. Deleuzean style of philosophizing asks for Hong's nomadic style of producing cinema. and of course in the same manner, the latter asks for the former. The latter visualizes the speculative empiricism of the former, the former crystalizes the visual esthetics of the latter. To speak with Deleuzean vocabularies, it is not possible for the State Apparatus to capture the diverse works of director Hong. Because each of them is a kind of War Machine which always slips from every tackle of State Apparatus. Deleuzean key word 'genetic becomming' is a main concept of Hong's works. The point is not to dispose the theses 'becomming' of his works in the line of series but to release them in the line of rupture. My paper would show the sharp ridicules director Hong had poured on the conservative circle of the cinema in the context of Deleuzean nomadology.

큰 틀에서 이 글은 철학적 성찰이 비쥬얼로 무대화되는 극장(劇場 movie theater)과 영화적 상상력이 개념으로 결정(結晶)되는 극장(極場 extreme field)에 관한 담론이다. 들뢰즈와 홍상수는 이 극장의 환유들이다. 이 환유들은 서로 긴밀하게 내통한다. 홍상수의 영화는 들뢰즈의 경험론을 이미지로 전시해주고, 들뢰즈의 유목론은 홍상수의 카메라를 이론으로 갈무리한다. 들뢰즈의 어휘로 말하자면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에서 <하하하>에 이르는 10편의 필모그래피를 채운 홍상수의 작품들은 어떤 국가장치로도 포획될 수 없는 전쟁기계들이다. 그것들은 영화관 내부에서만이 아니라 외부에까지 '되기'(becomming)의 생성을 확장해나간다. 우리의 관심사는 그 작품들의 '되기'를 계열선 위에 배치하는 게 아니라 탈주선 위로 방면하는 것이다. 차이, 되기, 놀기 등으로 유쾌하고 발랄하게 전개되는 홍상수의 영상들이 기존의 영화문법에 보내는 통렬한 야유를 들뢰즈 유목론의 맥락에서 조명해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부산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