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사상에서의 물에 대한 관점과 한강의 시원에 관한 전통인식 고찰 II - 불교사상을 중심으로 -

Consideration II of Traditional Recognition on Origin of the Han River and Oriental View Point of Water - Centering on Buddhist Idea -

  • 투고 : 2011.01.05
  • 심사 : 2011.02.15
  • 발행 : 2011.03.31

초록

전통적으로 한강의 시원으로 인식되던 곳은 우통수(于筒水)와 금강연(金剛淵)이다. 그런데 이는 공히 문수성지(文殊聖地)인 오대산(五臺山)에 위치하고 있어 우리로 하여금 불교적인 영향의 개연성을 상정케 한다. 즉, 한강의 시원인식에는 불교적인 영향력이 작용하고 있을 수가 있는 것이다. 한강의 시원인식에 대한 불교적인 이해에 있어서 먼저 주목해 볼 수 있는 것은 '불교의 물에 대한 인식'과 '인도문화에서의 강에 대한 시원인식'이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서 우리는 한강의 시원인식에 불교적인 영향이 존재한다면, 그것이 어떠한 입각점에 의해서 존재하게 되는지에 대한 관점을 수립해 보게 된다. 이와 같은 불교와 인도문화적인 관점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필자는 한강의 시원으로 인식되는 우통수와 금강연에 대해서 보다 명확한 정리를 개진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우통수와 금강연에 대한 관념들에 대한 불교와 인도문화적인 영향관계를 파악해 볼 수가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인도문화에 있어서 강의 시원인식과 관련해서 주목되는 것은 아뇩달지이다. 그런데 이러한 아누달지에는 8공덕수(功德水)라는 물에 의한 신성성이 기록되어 있다. 이는 우통수에 "색과 맛이 보통 물보다 뛰어나고 그 무게 역시 그러하다. ${\cdots}$ 한강을 흘러도 색과 맛이 변하지 않는다"는 신성한 특징과 대비될 수 있는 질료적인 신성함이다. 또한 아뇩달지와 우통수에는 최고의 용왕(龍王)과 신용(神龍)이 산다는 용에 의한 상징성이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두 가지 강의 시원인식에서 발견되는 구조적인 유사도는 한강의 시원인식에 있어서 불교적인 영향이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한강의 시원인식은 전통적인 문화배경에 기초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 속에 불교문화가 녹아 있다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고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중국문화적인 관점 역시도 존재하고 있다고 하겠다. 즉, 우리의 한강에 대한 전통적인 시원인식에는 인도문화와 중국문화에 의한 다양성과 복합성이 공존하며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Traditionally, the origin of the Han River has been thought as Utongsu(于筒水) and Geumgangyeon(金剛淵). As both of these places are located in Odaesan(五臺山) the $Ma{\tilde{n}}ju{\acute{s}}ri$(文殊) Holy Place, we can well assume the possibility of Buddhist influence on them. In the Buddhist understanding on the origin of the Han River, what we should first notice are 'the recognition on the water of Buddhism' and 'the recognition on the river in Indian culture.' With the reviews, we may come to see by what standpoint these could become existed, if there were Buddhist influences on the recognition of Han River's origin. Based on these Buddhist and Indo-cultural view points, the author tries to make more dearly the definition of Utongsu and Geumgangyeon that are recognized as the origin of the Han River. Through it, we can check the relation of Buddhism and Indian culture in their influence on the concepts of Utongsu and Geumgangyeon. In Indian culture, what is noticed in relation with the origin of the river is Anavatapta, in which the sacredness of the water named the 8 virtuous waters is recorded. It is the materialistic sacredness which can be compared with the sacred feature of Utongsu that "its color and taste are far greater than other waters, and so is its weight. ${\cdots}$ Its color and taste do not change even after it flows into the Han River." Furthermore, both of Anavatapta and Utongsu have the same symbolism of dragon that the highest dragon king and a divine dragon were told to live in respective lakes. This similar structure found in the recognition of two rivers' origin may become an evidence of Buddhist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of the Han River's origin. The recognition of the Han River's origin is based on the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it may be natural that there is the Buddhist culture in it. At the same time, some viewpoints of Chinese culture can be found in it. So, the traditional recognition on the Han River's origin comprises diversity and complexity of Indian and Chinese cultures togeth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