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Audience's Subjectivity about Preference of Documentaries on TV

TV방송 다큐멘터리 선호도에 대한 수용자의 주관성 연구

  • 현승훈 (목원대학교 영화영상학부)
  • Received : 2011.08.26
  • Accepted : 2011.09.29
  • Published : 2011.10.28

Abstract

This is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audiences about preference of documentaries on TV. Accordingly, Q-methodology was used for this study. As a result, audiences' various characteristics by preference types were able to be fou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into three styles: an entertainment-oriented style pursuing enjoyment, public and society interest-oriented style pursuing public purpose, and culture-oriented style pursuing artistic value of documentaries in order. It could be inferred from the classification of preference styles that unlike the past, the choice of TV broadcasting of audiences was shifting from the passive and media-dependent form to positive form. Therefore,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ontent delivery and production in the multi-media and multi-channel digital broadcasting era should be focused on not only the content itself but also an audience-centered service development model reflecting audiences' desire and hope.

본 연구는 TV 다큐멘터리 장르 선호도에 과한 수용자의 주관성 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의 방법론으로써 Q방법론(Q-methodology)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TV 다큐멘터리에 대해 수용자들의 다양한 선호유형별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각 유형별 특징은 먼저 즐거움과 재미를 추구하는 오락적 가치 지향형, 공익과 교육적 목적을 추구하는 공익, 사회적 가치 지향형,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큐멘터리의 문화적 가치를 지향하는 문화, 예술적 가치 지향형 등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와 같은 선호유형의 구분을 통해 추론할 수 있었던 것은 과거와 다르게 수용자들의 TV방송 선택이 수동적이고 매체 의존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다매체, 다채널 디지털 방송의 시대에서 콘텐츠 유통과 생산에 대한 연구 개발의 초점은 콘텐츠 자체는 물론 수용자 욕구와 희망을 반영한 수용자 중심의 서비스개발 모델에 그 방향을 맞추어 나아가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유화, "디지털시대 공영방송의 정체성에 관한 수용자 인식 연구",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2. J. G. Webster and J. J Wakshlag, "A theory of television program choice," Communication Research, Vol.10, No.4, pp.430-446, 1983. https://doi.org/10.1177/009365083010004002
  3. 심미선, "융합매체환경 하에서의 장르이용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 연구, 통권 제65호, pp175-220, 2007.
  4. J. W. Jeffres, D. Atkin, and K. Neuendorf, "The impact of new and traditional media on college student leisure preferences," World Communication, Vol.24, No.2, pp67-73, 1995.
  5. G. J. Webster, "Audience behavior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Journal of Communication, Vol36, pp77-91, 1986. https://doi.org/10.1111/j.1460-2466.1986.tb01439.x
  6. J. Cohen, "Television viewing preferences: Programs, schedules, and the structure of viewing choices made by Israeli adult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6, No.2, pp.204-221, 2002.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602_3
  7. M. Barrett, "The relationship of network affiliation change to prime time program rating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3, No.1, pp.98-109, 1999. https://doi.org/10.1080/08838159909364477
  8. D. A. erguson and E. M. Perse, "The World Wide as a functional alternative to televis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4, No.2, pp.155-174, 2000.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402_1
  9. A. B. Albarran and D. Umphrey, "An examination of television motivations and program preferences by Hispanics, nlacks, and white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37, No.1, pp.95-103, 1993. https://doi.org/10.1080/08838159309364206
  10. R. Cooper, "An expanded, integrated model for determining audience exposure to televis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37, No.4, pp.401-418, 1993.
  11. R. Cooper and T. Tang, "Predicting Audience Exposure to Television in Today's Media Environment: An Empirical Integration of Active-Audience and Structural Theorie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3, No.3, pp.401-408, 2009.
  12. 김흥규, Q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서강대언론문화연구소, 1992.
  13. 김혜성, "대학생의 광고인식 유형에 대한 Q 방법론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4호, pp170-207, 2009.
  14. 김흥규, "Q 방법론의 유용성 연구", 주관성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통권 제1호, pp15-33, 1996.
  15. 김흥규, Q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16. 김승환, "TV 뉴스 콘텐츠의 채널 선택 유형에 따른 수용자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6호, pp99-106, 2007. https://doi.org/10.5392/JKCA.2007.7.6.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