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앙 일간지의 독자투고 특성 연구: 1997년~2009년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를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Letters-to-the-editor in Korean Newspapers: Content Analysis of Chosun Ilbo, Dong-a Ilbo, Hankyoreh, 1997-2009

  • 조아라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
  • 이건호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 Cho, Ah-Ra (Division of Media Studies, Ewha Womans University) ;
  • Lee, Gun-Ho (Division of Media Studies, Ewha Womans University)
  • 투고 : 2011.05.20
  • 심사 : 2011.07.27
  • 발행 : 2011.08.15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주요 일간지가 오피니언 면을 만든 1990년대 후반부터 약 10년을 분석 기간으로 삼아,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등 3개 중앙 일간지 독자투고의 내용, 투고자 특성, 피드백 기능 유무에 따른 독자투고의 특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독자투고가 단순히 개인적인 불만이나 피해를 토로하는 공간에서 다양한 이슈에 대한 독자들의 의견이 표현되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비록 독자투고에서 거론되는 이슈가 아직 사회와 경제 등 전통적인 내용을 많이 다루기는 하지만 미디어 문화 스포츠 등의 영역으로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었다. 더불어 이 기간 동안 투고자 중 전문가 및 사회단체 소속 독자들이 늘어나고, 특정 기사에 대한 반응을 명기함으로써 피드백 기능을 확실히 한 내용의 투고들이 증가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여론 형성을 위한 공간으로써 독자투고의 질적 측면이 향상되고 있다는 해석을 가능하게 했다. 하지만 투고자의 거주 지역이 수도권에 크게 편중된 것으로 나타나, 독자투고란 운영방침 변화 등 다양한 지역 의견을 확보하기 위한 매체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letters-to-the-edit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tters' writers, featured in three major newspapers, Chosun Ilbo, Dong-a Ilbo and Hankyoreh, in Korea from 1997 to 2009. Additionally, based on whether the letters contained the feedback function or not, it scrutinized the attributes of the letters-to-the-edito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ole of letters-to-the-editor has changed from a space for showing merely personal dissatisfactions or complaints into a space for expressing the reader's opinions about various issues. The study also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writers who have specialized jobs and are members of civic groups steadily increased. It seems to tell that the quality of the letters was improved accordingly, because they could give in-depth opinions about the matters in which the society were interested. The feedback function of the letters was also gradually more activated for those years, and it could be thought as another evidence supporting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letters, which were supposed to form the healthful public opinion. However, the writers' residential districts are heavily concentrated on the region surrounding Seoul, the capital of Korea.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newspapers should develop tools to overcome such defec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