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뉴스룸 도입 이후 뉴스생산 노동과정의 변화: CBS 통합뉴스룸 사례연구

Changes in News-Production Labor Process Since The Introduction of Convergent Newsroom : A Case Study on The CBS Convergent Newsroom

  • 윤익한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김균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Yoon, Ik-Han (School of Communication, Sogang University) ;
  • Kim, Kyun (School of Communication, Sogang University)
  • 투고 : 2011.05.31
  • 심사 : 2011.07.26
  • 발행 : 2011.08.15

초록

디지털 컨버전스의 기술 혁신은 언론 부문에서 핵심적인 노동이라고 할 수 있는 기자노동에도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노동과정론에 따르면,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에서 기술혁신으로 인해 노동자들은 노동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해가면서 탈숙련화의 과정을 겪어 왔고, 경영진들은 억압적인 노동조건을 은폐하고 노동자들을 더욱 효율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이데올로기적, 정치적 장치들을 도입해 왔다. 이러한 문제의식 위에서 본 연구는 뉴스룸 통합의 기술혁신이 기자노동의 숙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또 경영진들이 기자들을 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이 무엇인지를 CBS 통합뉴스룸의 사례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통합뉴스룸 도입으로 인해 기자들은 숙련노동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해가면서 탈숙련화되고 있었다. 또한, 경영진들은 새로운 뉴스생산관행, 가족주의 노사문화에 대한 노동자들의 동의를 획득해 나갔으며, 내부노동시장 분절화를 통해 기업권력의 강화와 노동사회의 고립화 전략을 취하고 있었다.

Technology innovation of digital convergence in recent years of the media sector has produced a series of significant changes in journalist labor. This study analyzes how recent introduction of convergent newsroom changed the nature of journalist labor and what strategy the management used to control journalists within the technologically innovated working condition with case of CBS. As the labor process theory tells us, the analysis found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newsroom has encouraged a couple of aspects regarding labor process. First, losing control over their own labor journalists have undergone the process of significant deskilling. Second, the management have made a constant effort to introduce ideological and political apparatuses with twofold purposes, effective control over workers on one hand and concealing oppressive labor conditions on the other. The effort generated journalists' acceptance of new news-making routine and their consent on labor-management culture founded upon naive familism, which at last resulted in reinforcement of corporate power and isolation of labor society by separating internal labor marke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