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Fuel Consumption Depending on The Use of Lift Axle

가변축 사용여부에 따른 연료소모량 비교 연구

  • 오주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기반시설연구본부 첨단교통연구실) ;
  • 어효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기반시설연구본부 첨단교통연구실)
  • Received : 2011.07.21
  • Accepted : 2011.08.23
  • Published : 2011.09.15

Abstract

As a Lift axle is an additional axle installed mostly in heavy freight truck, It"s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cost saving, such as logistics, fuel, tire wear and prevention of the pavement damage. However, the Effects of a lift axle are anecdotal and they have occurred often that a lift axle is used improperly by expectations of some drivers.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conducts a field experiment in order to identifying the change rate of fuel consumption due to an a Lift axle using, develops the fuel consumption model of field data, and then compares the effects of a Lift axle using through application of the model. As a result, fuel consumption decreased in loading conditions that are both empty and full when not using a lift axle.

가변축은 대형화물자동차에 주로 장착되는 보조차축으로써, 물류비용 절감과 도로포장면 파손방지, 유류비 등의 차량운행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유류비절감 측면에 대한 가변축의 사용효과가 실증적 실험을 통해 입증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일부 운전자들의 막연한 기대심리로 인한 잘못된 가변축 활용사례가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변축 사용 여부에 따른 연료소모량 변화를 확인하고자 실제 도로주행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연료소모원단위 모형을 개발 및 적용하여 가변축 사용여부별 연료소모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가변축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 연료소모량 감소가 예상되었으며, 수치상으로 공차주행 시 -0.83%, 만차주행 시 -2.15%를 나타내었다. 공차주행 시 절감율은 제도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수치로써, 금액으로 환산 시 약 300억 원에 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통개발연구원(1998), 차량운행비의 산정
  2. 국가교통DB센터(2010), 2009 국가주요교통통계
  3. 국토연구원(1999), 도로사업 투자분석 기법정립
  4. 국토해양부(2010), 도로업무편람
  5. 국토해양통계누리(2010), 적재중량별 화물자동차 등록현황
  6. 변은아, 김영찬, 안소영, 고광덕, 윤수영(2009), 신호교차로의 차량운행비용 특성을 고려한 경제성분석 모형개발, 대한교통학회 학회지 제27권 제2호, pp.199-206.
  7. 이정기, 용기중, 이종현, 이광범, 홍윤석, 이현우, 정혁, 임종순(2005), "승용차의 중량변화에 따른 연비 연구", 추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자동차공학회, pp.1861-1866
  8. 이태우, 길지훈, 전상진, 박준홍, 이종태, 홍지형(2011), "소형화물 차량의 적재량이 가속 주행 시의 연비 및 오염물질 배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동차공학회 논문집 제19권, 제2호, pp.133-141
  9. 장수은, 정규화(2007), "(예비)타당성조사의 차량운행비용 절감편익 산정방안 보완 연구", 제57회 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교통학회, pp.97-103.
  10. 한국개발연구원(2008), 도로.철도 부분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표준지침 수정.보완 연구(제5판)
  11. An Evaluation of The Lift Axle Regulation (Final Technical Report), Washington DOT, 1994
  12. Gary Barnes, Peter Langworthy, The Per-mile Cost of Operating Automobiles and Truck(Final Report), Minnesota DOT, 2003
  13. Kenworth Truck Company(2008), White Paper on Fuel Economy
  14. Kyoung ho, Ahn(1998), "Microscopic Fuel Consumption and Emission(Master Thesis)",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15. Michael coyle(2007), Effects of Payload on The Fuel Consumption of Trucks, Department for Transport UK
  16. Nils-Olof Nylund, Kimmo Erkkila(2005), "Heavy -Duty Truck Emission and Fuel Consumption Simulating Real-World Driving in Laboratory Conditions", VTT Technical Research Centre of Finland
  17. Susumu Sato(2008), Fuel Economy Test Proce- dure for Heavy-Duty Vehicles : Japanese Test Procedures, Nation Traffic Safety and Environment Laboratory of Japan
  18. Tony sandberg(2001), "Heavy Truck Modeling for Fuel Consumption Simulations and Measurements", Science and Technology Thesis in Linkopi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