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4G 무선가입자망 구축 동향 및 고도화 방안

Trends and Analysis of 4G Wireless User Access Networks Issues

  • 황호영 (한성대학교 멀티미디어공학과) ;
  • 홍정완 (한성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 김승천 (한성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 노광현 (한성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투고 : 2011.07.04
  • 심사 : 2011.08.09
  • 발행 : 2011.08.31

초록

최근 스마트폰 사용의 급속한 확산은 국내외 무선망 사업자들에게 기회와 과제를 동시에 제시하고 있다. 기존의 음성 통신 시장의 정체라는 문제를 무선 데이터 시장의 확대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중요한 기회와 함께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거대한 데이터 트래픽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고효율 무선가입자망을 새로 구축해야하는 도전 과제를 맞고 있는 것이다. 본격적인 네트워크 경쟁 시대를 맞아 무선망 사업자들 간에는 LTE 주도의 4G 네트워크 조기 구축 전략과 3G 및 4G 혼합형 망고도화 전략간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사업자의 미래 네트워크 전략으로 LTE 조기도입에 따른 4G 단일 망 위주의 전략이 성공적일지 HSPA+, WiFi, 클라우드 컴퓨팅 등 대체 망을 통한 복합적 망고도화 전략이 성공적일지에 대한 판단이 중요한 시점이다. 향후 현 시점에서의 판단과는 다른 의외의 결과가 나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국내외 통신산업의 망고도화 동향과 추이를 살펴보고 다양한 망고도화 이행 전략을 비교 분석하여 앞으로의 4G 네트워크 경쟁에 대한 전망과 효율적 운영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Recently, the rapidly increased use of smartphone devices provides both opportunity and problems at the same time to the telecom companies in domestic and world wide. It provides a great opportunity to overcome the market stagnation of the existing voice- centric communications, and also problems of building a highly efficient new wireless access networks to accommodate huge volume of data traffic among smart devices. Facing with the age of keen competition, telecom companies have two kinds of strategies for network transition; a strategy of building uniform LTE -based 4G networks as fast as possible, and a hybrid network enhancement strategy compounding 3G and 4G networks using HSP A+, WiFi, cloud computing, etc. It is difficult to predict which strategy will have more successful outcome in the near future. This paper studies the trends and issues of network enhancement policies and transition strategies to the 4G network era, and tries to draw appropriate and efficient ways for network enhancement and operation.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성대학교

참고문헌

  1. ATLAS 리서치앤컨설팅, 이동통신, 주요 트렌드와 정책 이슈, 2011.
  2. 김욱준, "Capex 절감, LTE 도입을 서두르지 않는 이유",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동향, 제23권, 제5호, pp. 46-53, 2011.
  3. 김태한, 장재혁, 성기훈, "Smart Korea와 Smart Life를 위한 전파자원 이용정책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6권, 제2호, 2011.
  4. 김현경, 김석인, 김상국, "네트워크 고도화 경쟁, 승자는 누구인가?", KT경제경영연구소, http://www.digieco.co.kr, 2010.
  5. 방송통신망 고도화 추진협의회, "KT의 무선망 고도화 추진방향 및 전략", 2010.
  6. 방송통신망 고도화 추진협의회, "SK텔레콤 통신망 고도화 추진 전략", 2010.
  7. 방송통신망 고도화 추진협의회, "LGU+ 방송통신망 고도화 추진 전략", 2010.
  8. 방송통신망 고도화 추진협의회, "케이블 방송통신망 고도화 추진 전략", 2010.
  9. 방송통신위원회, "2011년 방송통신 핵심 과제", 2010.
  10. 여재현, 박동욱, "이동통신 네트워크 고도화 전망 및 정책방향-LTE를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Premium Report, 2010.
  11. 이용석, 조상섭, 강신원, "차세대 통신서비스 환경에서 3GPP LTE-advanced 도입과 와이브로(WiBro) 활성화 요인 분석", 정보화정책, 제18권, 제1호, pp. 45-54, 2011.
  12. 허정욱, "무선 네트워크 미래 전략 동향 및 시사점", KT경제경영연구소, 2010.
  13. Aircon International, LTE not the only option for mobile operators today, http://www.aircominternational.com, 2010.
  14. FCC, http://www.fcc.gov/Daily_Releases/Daily_Business/2010/db0923/DOC-301650A1.pdf, 2010.
  15. Lee, Eunyoung, "Plans and Strategies for UBcN Networks and Services,"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Vol. 6, No. 3, pp. 323-334, 2010. https://doi.org/10.3745/JIPS.2010.6.3.323
  16. Walker, M. and Belgaonkar, A. "Service Provider revenue and capex forecastglobal," Ovum, 2010.

피인용 문헌

  1. Study on the energy saving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using a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vol.18, pp.8, 2014, https://doi.org/10.6109/jkiice.2014.18.8.1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