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lan to Reinforce the Resident's Capacity to Build Family-Friendly Community -Focused on Educational Program of Livable Community Building -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주민역량강화 방안 -살기좋은마을만들기를 위한 주민역량강화 프로그램 분석을 기초로 -

  • Cha, Sung-Lan (Dept. of Child Education and Counseling, Daejeon University)
  • 차성란 (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 Received : 2011.06.23
  • Accepted : 2011.08.08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 plan for the residents to have a capacity to build a family-friendly community on their own. As there is not a family-friendly community related program developed for "Resident's Capacity Reinforcement", three programs closely related with family-friendly community program were analyzed instead. Analysis showed that first, the community spirit must be emphasized to maintain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care with social support. Second, educational contents must reflect resident's capacity elements that are necessary for participating in the family friendly community building stages. Third, there is a necessity for systematization of education courses into beginner, intermediate, and specialty course given education is continued. Fourth, there is a necessity for the curriculum that may be used for the family friendly community building to foster human and material resource management ability. Therefore, framework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suggests X-axis and Y-axis presented by person-business and morphogenic-morphostatic as referred to Ulrich(1997),s human resource model.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because educational program of 'livable community building' are analyzed for the plan to reinforce capacity to build family-friendly community. There is a necessity for continuing to improve the program by in depth interview or social survey with residents and leader in community.

Keywords

References

  1. 강용배(2004). 농촌마을공동체의 역량강화 사례연구. 한국정책과학회보, 8(4), 5-26.
  2. 곽동원(2008). 주민주도형 마을만들기와 행정의 역할에 관한 연구-전북 진안군 마을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농업개발대학원 석사논문.
  3. 광주북구청(2010). 광주북구청 2009 워크숍(미간행).
  4. 구자인(2007). 진안군 마을만들기의 경험과 과제. PPT 발표자료(미간행).
  5. 구자인(2007). 현장중심 경영의 강화와 파스(PAS) 모델, 한국농촌공사 사보 흙사랑 물사랑, 7호.
  6. 김선미.김소영(2010), 살기 좋은 마을의 거점에 관한 사례연구: 마을도서관과 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의 가족친화적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1), 73-96.
  7. 김선미.이승미(2010). '가족형' 마을만들기 시범사업 사례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101-126.
  8. 김정흠(2009). 농촌형 거버넌스 구축과 지방의 회의 역할에 관한 연구-'진안구 마을만들기'사업을 중심으로. 전북대 행정대학원 석사논문.
  9. 김종동(2008). 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를 위한 주민교육의 특성에 관한 연구-도시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0. 마상열(2007).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세부추진 전략 수립. 경남발전연구원.
  11. 박경(2007). 마을만들기 리더 육성의 필요성과 추진방안-충청남도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살고싶은 도시만들기 라운드테이블. 살고싶은 도시만들기 지원협의회.
  12. 박경.정재호.유정규.송두범.조수희(2008). 충청남도 농촌지역 리더육성 프로그램 실태 및 개발방안. 충남발전연구원 지역인적자원개발지원센터.
  13. 박은식(2008). 농촌마을 지도자의 리더십역량 향상 교육프로그램. 농촌진흥청.
  14. 박종숙(2001). 살기좋은 우리동네 1: 내집 마당에서 골목으로, 동네로, 지역으로-대구 삼덕동 골목공동체. 국토연구원, 국토 236, 104-108.
  15. 소순열(2007). 주민참여형 지역발전과 주민역량강화. 지역과 농업 2호, 125-146.
  16. 안산시 좋은마을만들기 지원센터(2009). 마을 코디네이터 교육: 주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마을! 그 속에 상상력 더하기. 안산시 좋은마을만들기 지원센터.
  17. 양진영(2007). 한국과 일본의 마을만들기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광주광역시 북구와 동경도 세타가야구를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8. 박소현.최이명.서한림.김효정(2006). 가족친화 마을환경 개념 및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여성가족부.
  19. 우윤석(2008).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과정-주민참여활성화. 경기도 인재개발원.
  20. 유학열.박철히.한상욱.조봉운(2008). 부여읍 주민혁신역량강화 추진 방안. 충남발전연구원.
  21. 이명규(2008). 도시.마을만들기 학습 프로그램의 현황과 발전방향: 순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살고싶은 도시만들기 라운드테이블-시민 참여도시만들기를 위한 학습프로그램: 현황 및 발전방향. 살고싶은도시만들기 지원협의회.
  22. 이삼열(2008).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성공매뉴얼. 경기도인재개발원.
  23. 이송지.김혜장.이경란.곽영선.정영화(2009). 가족친화마을만들기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연구보고서.
  24. 이영아.변필성.류승환.최병남(2008). 시민참여형 도시정비를 위한 시민역량 강화방안. 국토연구원.
  25. 이재혁(2007). 시민사회의 변화와 사회적 자본, 그리고 시민역량. 교육인적자원부.
  26. 정의춘(2007). 마을만들기 운동의 지속화를 위한 광주시의 동단위 네트워크 구성과 주민교육 사례. 도시와빈곤, 84호, 47-54.
  27. 조필규(2009). 일본 마을만들기의 특징과 운영실태. 경기도시공사(미간행)
  28. 진안군(2010). 주민교육 총괄보고서. 진안군(미간행).
  29. 차성란(2010a).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모델 및 핵심요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2), 63-76.
  30. 차성란(2010b). 주민주도적인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기관의 역할-살기좋은마을만들기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77-100.
  31. 최길수(2005). 지방분권시대에 있어서 자치역량개발에 관한 연구 : 종합적 접근.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2(1), 141-165.
  32. 김태영 외(2009). 살기좋은 지역만들기를 위한 삶의 질 향상 매뉴얼. 행정자치부.
  33. 행정자치부(2007).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성공 매뉴얼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도시문제연구소.
  34. 홍승아.김혜영.류연규.소마나오코.조순주.진미정(2007). 가족친화적 지역사회 모형개발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5. 홍영란(2007). 사회적 자본의 정책 의제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인적자원부.
  36. Ballantyne, P., Labelle, R. & Rudgard, S.(2000). Inform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Challenges for capacity builders, Policy Management Brief 11. European Centre for Development Policy Management, Maastricht.
  37. Thomson, D. & Pepperdine, S.(2003). Community Capacity for Riparian Restoration. Discussion Paper. Land and Water Australia, Canberra.
  38. Chaskin Robert J. et al.(2001). Building Community Capacity. New York: Aldine De Cruyter.
  39. 도시포털 (http://city.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