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al Directions for Family Rites: Female Undergraduates' Understanding and Practice

가정의례에 대한 여대생의 공감과 적용을 토대로 한 가정의례교육 방향

  • Ju, Young-Ae (Dept. of Living Culture & Consumer Science, Sungshin Woman's Univ.)
  • 주영애 (성신여자대학교 생활문화소비자학과)
  • Received : 2011.06.27
  • Accepted : 2011.08.04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data on family rite education, as well a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family rites by surveying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and the practice of family rites among female undergraduates, who will be the future leaders of our society. General proclivity toward, and differences between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family rites, as well as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these differences, were further verified with a one-way ANOVA, a t-test, and 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is study had two main findings. First, the gap between understanding and practice in family rites, ordered from largest to smallest by sub-sphere, was found to be: coming-of-age ceremonies, birthday rituals, ancestral rituals, funeral rites, and wedding ceremonies. Second, as f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family rites in female undergraduat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among a total of 18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wn religion, brother's rank, mother's religion, father's religion, mother's job, place where the individual grew up, having experienced family rites, education. place of residence, and monthly income. In the face of a changing era and environment, the basic spirit of family rites has not changed. However, a new harmony between tradition and modem times is needed.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uitable form of rites for the present age, while taking on a modem acceptance of the significance traditionally associated with these rites.

Keywords

References

  1. 구숙회.최배영(2011). 서울시 중년기 주부의 추모의례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2), 23-44
  2. 계선자.이정우.박미석.김연화(2005). 성년례 프로그램 모형개발 및 성년례 참여자 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학술대회논문집, 76.
  3. 김득중(2005). 실천예절개론. 서울: 교문사.
  4. 김득중(2007). 지향가정의례. 서울: 중화서원.
  5. 김순진(2003). 성년례의 활성화를 위한 모형개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신연(2001). 전통생활예절. 서울: 민속원.
  7. 김인옥(1997). 전통제례에 관한 생활문화적 고찰과 현행제례의 실태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인옥(2007). 가정의례연구. 서울: 한국학술정보.
  9. 김인옥.안혜숙(2003). 제례에 대한 대학생의 의식 및 수행에 관한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3), 113-129.
  10. 김인옥.안혜숙.주영애(2006). 수연례에 대한 대학생의 의식조사. 한국전통생활문화학회지 9(2), 65-74.
  11. 김인옥(2008). 예식업종사자의 전통혼례에 대한 의식과 태도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6), 1181-1195.
  12. 문옥표(1997). 가정의례에 나타난 한국인의 예절: 전통관혼상제를 중심으로. 인문과학 76.77합집, 153-180.
  13. 문종필(2007). 초등 사회과 관혼상제 관련내용 및 학생인식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혜인(2001). 가정의례의 변화와 21세기의 지향 모색. 한족가족복지학, 6(1), 31-54.
  15. 박명옥.최배영(2004). 테마가 있는 예절이야기. 서울: 새로운 사람들.
  16. 송재용(2010). 한국의례의 연구. 서울 : 박문사.
  17. 심 영 (2006). 속담에 나타난 소비가치를 중심으로 한국 전통소비문화 연구. 소비자학연구, 17(2), 85-113.
  18. 안혜숙.주영애.김인옥(2002). 한국가정의 의례와 세시풍속. 서울 : 신정.
  19. 오원경(2003). 혼례, 상제례속의 다례속. 중국사연구, 22, 129-159.
  20. 오재환(2001). 한국의 근대화 의례 연구:박정희시대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옥선화.진미정(2011). 가족가치관과 생활문화의 세대비교 : 가족의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9(4), 67-76.
  22. 유덕선(2009). 한국인의 관혼상제. 서울: 홍문관.
  23. 이기숙(2004). 낙동강 남부지역의 상례문화 실태조사 : 부산의 교사집단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7-11.
  24. 이길표(2000). 전통가례. 서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5. 이동필(2004). 울산시 고교생들의 예절 및 관혼상제 인식에 대한 조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승연(2008). 초.중등학교 전통예절교육에 관한 소고: 제례에 대한 학생들의 연식을 중심으로. 초등도덕교육, 28, 216-240.
  27. 이정우.김명나(1990). 도시주부의 혼.제례에 대한 의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8(1), 105-124.
  28. 이정우.김명나(1993). 주부의 가정의례에 대한 의식.행동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결혼식.제사 및 회갑연을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지, 8, 23-50.
  29. 이지영(1998). 전통사회 혼인에 관한 대학생의 의식 조사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희재(2007). 한국의 전통의례. 서울: 한국학술정보.
  31. 장상옥(2004). 여대생 가정의 가정행사 수행 및 사회화와 행사의식 변화 : 최근 10년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53-264.
  32. 정은선(2005). 미혼남녀의 가정생활관과 가정의례문화인식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주영애(1997). 바람직한 조문예절의 모색. 한국여성교양학회지, 4, 224-245.
  34. 주영애(2002). 경로연에 관한 현대적 재조명. 한국여성교양학회지, 10, 195-211.
  35. 주영애a(2010). 한국전통혼례문화의 계승을 위한 혼례절차에 대한 미혼남녀의 인식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1), 57-77.
  36. 주영애b(2010). 가족행사로서 성년례 정착을 위한 방안연구-어머니들의 성년례에 대한 인식과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1-20.
  37. 최배영(1999). 가례서를 통해 본 혼례관 연구 : 가례, 가례집람, 사례편람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최배영.최경희.이경란(2010). 조선시대 첫돌 의례문화. 서울:이담.
  39. 홍나영.이은진.박선희(2000). 20세기 한국의 혼례 문화 변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11), 141-156.
  40. 홍현주(1986). 조상제사에 대한 가치관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황인실(1988). 대학생의 가정생활에 대한 가치의식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