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formance Based Pay and Pay Dispersion within Firm: The Korean case

한국기업의 연봉제가 기업내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김재구 (명지대학교 경영학과) ;
  • 김동배 (인천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Received : 2011.04.04
  • Accepted : 2011.05.31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Using occupational wage structure survey(1996-2006) by Korean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we explored the effect of performance based pay on the pay dispersion within firm. Pay dispersion is defined as the within-firm variance of wage residuals after controll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 labor market. The results show that introduction of performance-based pay system increases the level of pay dispersion significantly. However, The relationship of employees' ratio who receive performance-based pay and the level of pay dispersion is an inverted U-shaped($\bigcap$).

본고는 1990년대 후반 이후 한국기업에 급속히 도입되어 온 연봉제가 실제로 성과에 따른 임금격차를 가져왔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노동부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1996년부터 2006년까지 100인 이상 기업 대졸 사무직에 대한 자료를 활용하였고, 기업내 임금격차 변수로는 개인 속성에 대한 영향을 배제할 수 있도록 임금함수를 추정하고 잔차의 분산을 기업수준의 변수로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봉제의 도입은 기업내 임금격차를 확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봉제 적용 비중과 임금격차 간의 관계는 비선형관계($\bigcap$)임을 시사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