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아동.청소년의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 자기효능감,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

Children's and Adolescents' Achievement Level in Online Game, Sense of Self-efficacy,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 김태연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이순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Kim, Tae-Yeon (Dept. of Child Development & Family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i, Soon-Hyung (Dept. of Child Development & Family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07.12
  • 심사 : 2011.08.05
  • 발행 : 2011.08.20

초록

이 연구는 아동 청소년의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가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서울시 초등, 중학생 1004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온라인게임 사용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온라인 게임을 통한 성취는 자기효능감,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와 학교적응의 관계, 그리고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온라인게임에 대한 과몰입의 부정적 영향을 간과할 수는 없지만, 이 연구는 아동, 청소년의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가 그들의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effect of children's and adolescents' achievement through the online game on their self-efficacy,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their online game playing. In heavy user group, children's and adolescents' achievement through the internet game had positive effect on their self-efficacy,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Also their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chievement through the online game and school adjustment, achievement through the online game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 that children's and adolescents' achievement through the online game affects their real life and found out positive possibility of the online game.

키워드

참고문헌

  1. Colwell, J. & Payne, J., "Negative correlates of computer game play in adolescent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vol. 91, no. 3, pp295-313, 2000. https://doi.org/10.1348/000712600161844
  2. 이소영, 권정혜, "인터넷 게임의 중독적 이용이 청소년의 문제해결 능력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권 1호, pp67-80, 2001.
  3. 심정우, 이재무, "초등학생들의 게임요소에 대한 선호도와 게임 중독과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9권 2호, pp51-58, 2009.
  4. 김용래, 유효현,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 간의 관계", 인문과학, 10권, pp93-115, 2002.
  5. Diener, E.,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Progress and opportuni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 31, pp103-157, 1994. https://doi.org/10.1007/BF01207052
  6.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 84, no. 2, pp191-215, 1977.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7. Stajkovic, A. D. & Luthans, F., "Self-efficacy and work-related performance: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 124, no. 2, pp240-261. 1998. https://doi.org/10.1037/0033-2909.124.2.240
  8. Bandura, A,,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Prentice-Hall, pp355-453, 1986.
  9. 주영아, 정현희, "복교생의 학교적응을 위한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청소년상담연구, 10권 1호, pp127-146, 2002.
  10. 어기준, "청소년의 컴퓨터 중독 유형과 제반 문제점". 제19회 특수상담사례 연구발표회 발표논문, 한국청소년상담원, 2000.
  11. 송원영,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이 인터넷의 중독적 이용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12. 이송선, "청소년의 컴퓨터 게임중독과 정서적 특성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3. 유승호, 정의준, "게임이용이 청소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게임 '중'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12권 2호, pp35-63, 2001.
  14. Bandura, A., & Schunk, D. H.,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41, pp586-598, 1981. https://doi.org/10.1037/0022-3514.41.3.586
  15. Heyne, D., King, N., Tonge, B., Rollings, S., Pritchard, M., Young, D., & Myerson, N., "The self-efficacy questionnaire for school situation: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Behavior Change, vol. 15, no. 1, pp31-40, 1998. https://doi.org/10.1017/S081348390000588X
  16. 박영신, 곽금주, 김의철, "한국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 형성요인", 한국심리학회지:건강, 3권 1호, pp79-101, 1998.
  17. Sherer, M., Maddo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vol. 51, pp663-671, 1982.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18. 김용래, "학교학습동기척도와 학교적응척도의 타당화 및 두 척도 변인간의 관계분석", 교육연구논총, 17권, pp3-37, 2000.
  19. Diener, E.,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Progress and opportuni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 31, pp103-157, 1994. https://doi.org/10.1007/BF01207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