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아동의 자아개념형성과 자아발달 촉진을 위한 집단모래놀이치료 효과

The Effect of Group Sandplay Therapy for Children's Self-concept Construction and Ego-development Enhancement

  • You, Seung-Eun (Developmen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studies (Child Psychology), Myongji University) ;
  • Park, Boo-Jin (Developmen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studies (Child Psychology), Myongji University)
  • 투고 : 2011.02.28
  • 심사 : 2011.05.24
  • 발행 : 2011.06.30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quire into the impact of children's self-concept construction and ego-development enhancement during Group Sandplay Therapy. The Group Sandplay Therapy sessions were held once week, for a total of 20 weeks. The Group Sandplay Therapy Process consisted of playing with sand and creating a sand tray in groups. There were two group in total. Each group had 4 children of the same sex aged from six to seven years old. In order to study the self-concept and ego-development, we used a self-concept test and ego-development as a research tool. In addition, the present research analyzed any changes which tool place by dividing each aspect in each sand tray of the therapy process into a positive subject and a negative subject, and analyzed the changing patterns seen in the sand tray worldas it unfolded. It was proven that an efficient treatment in changing the sand tray world and children's action, had an effect on rearranging the children's mental schemas. In terms of the progress of the sandplay journey, it was seen that negative elements decreased dramatically and positive elements were observed to have increas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Group Sandplay Therapy had a number of positive effects in the construction of children's self-concept and in terms of the enhancement of children ego-develop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대기(2002).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자아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미영(2010). 아동발달. 서울: 정민사.
  3. 김보애(1994). 환각제 흡입 청소년 재활을 위한 모래 상자놀이치료 활용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보애(2005). 모래놀이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5. 김보애(2007). 만남의 신비. 서울: 가톨릭출판사.
  6. 김보애(2008). 모래놀이여행. 서울: 가톨릭출판사.
  7. 김영옥(2003).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척도 개발연구. 아동학회지, 24(5), 105-118.
  8. 김유숙(1996). 유치원 아동의 심리치료과정을 통한 모래상자놀이의 치료적 의의. 사회과학논총, 2, 291-305.
  9. 김유숙․야마나카 야스히로(2005). 모래놀이치료의 본질. 서울: 학지사.
  10. 박경은(1997). 프로젝트 접근법에 의한 자아개념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긍정적 자아개념형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박외순(2000).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언어통제 유형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박지연(2008). 우울․불안과 위축행동을 보이는 유아에 대한 모래놀이치료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지영(2011). 집단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사회불안과 자아강도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배영란(2003). 알코올중독자 자녀 심리재활을 위한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한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석혜선(2005). 모래놀이치료가 신체학대 받은 아동의 공격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성영혜(2000). 치료 놀이(I). 형설출판사.
  17. 성영혜․김광웅․이재연․서영숙․이소희(2001). 아동심리학.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18. 신진원(2010). ADHD경향 아동의 공감능력 및 또래관계의 질에 대한 집단모래놀이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오세선(2009). 부부모래놀이치료가 부부 조망수용 증진에 미치는 효과. 상명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우종태(1993). 간질 아동의 모래상자놀이치료. 한국놀이치료연구, 1(1).
  21. 유승은(2010). 집단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불안감소와 자아탄력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아동심리재활학회. 놀이치료연구, 14(1), 67-88.
  22. 윤진․김도환(1995). 군복무 경험이 청년초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의 심리, 사회적 발달을 중심으로 한 탐색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995권 [1995] pp. 185-197.
  23. 이경화․고진영(2003) 학령기 아동의 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2(2).
  24. 이순정(2006). 모래놀이치료를 통한 시설아동의 자존감 향상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효선(2010). 집단모래놀이치료가 이혼가정 아동의 또래관계기술 증진과 행동문제 감소에 미치는 효과. 남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정옥분(2002).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27. 조윤하(1999). 학습부진아의 증정적 자아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천은영(2005). 모래놀이 활동에서 교사개입과 보조 자료 활용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최경숙․박영아(2005). 아동발달. 서울: 창지사.
  30. 최영숙(2010). 모래놀이치료가 시설아동의 공격성,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모래놀이치료연구, 6(1).
  31. 최진아(2008). 우울한 모를 둔 여아의 자아발달을 위 한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6(3).
  32. 한지혜(2008).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 아동의 분노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Barbara A. Turner (2009). The Handbook of Sandplay Therapy. 모래놀이치료핸드북(김태련․강우선․ 김도연․김은정․김현정․박랑규․방희정․ 신문자․신민섭․이계원․이규미․이정숙․ 이종숙․장은진․조성원․조숙자 공역). 서울: 학지사.
  34. Berk, L. E (2005).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MA:Prentice-Hall.
  35. Bolger, H., & L. Fisher. (1947). Personality Projection in th World Test.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
  36. Buhler, C. (1950). The World Test. Los Angels:the Auther.
  37. Constantinople, A. (1969). An Eriksonian measure of personality development in college students. Developmental Psychology, 4, 357-372.
  38.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francisco. W. H. Freeman.
  39. Corey, G., & Corey, M. S. (2008). I Never Knew I Had A Choice:Explorations in Personal Growth. Monterey:Brooks Cole
  40. Daniel S. Sweeney & Linda E. Homeyer (2009). The Handbook of Group play therapy. 집단놀이치료 핸드북. 유미숙․유재령․우주영․전정미. 서울: 시그마프레스.
  41. Green, J. D., & Sedikides, C. (2001). When do selfschemas shape social perception? The role of descriptive ambiguity. Motivation and Emotion, 25, 67-83. https://doi.org/10.1023/A:1010611922816
  42. Kalff, D. M. (1980). Sandplay A Psychotherapeutic Approach to the psyche. Boston. Siego Press.
  43. Kalff, D. M. (1993). Twenty points to be considered in the interpretation of a snadplay. Journal of Sandplay Therapy, 2(2),17-35.
  44. Kalff, D. M. (2003). Sandplay:A psychotherapeutic approach to the psyche. Cloverdale, CA:Temenos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80).
  45. Lamberton, L. H., & Minor-Evans, Leslie (2007). Human Relations. New York:McGraw-HillCollege.
  46. Mischel, W., & Morf, C. C. (2003). The self as a psycho-social dynamic processing system:A meta-perspective on a century of the self in psychology. In M. R. Leary &J. P. Tangney (Eds.), Handbook of self and identity (pp. 15-43). New York:Guilford
  47. Purkey, W. W. (1970). Self-concept and school achievement. Englewood Cliffs, NJ:Prentice Hall.
  48. Shelley D. L. (2010).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ontexts. Boston, MA:Allyn & Bacon.
  49. Stern, S. (1995). Estimating Family Long-Term Care Decisions in the Presence of Endogenous Child Characteristics. Journal of Human Resources, 30(3), 551-580. https://doi.org/10.2307/146035
  50. Wayne Weiten & Margaret A. Lloyd (2009). Psychology Applied to Modern Life:Adjustment in the 21st Century. 생활과 심리학. 강혜자․이상빈․김정희. 서울: 시그마프레스.
  51. Wessman, A. E., & Ricks, D. F. (1966). Mood and personality. New York:Holt, Rinehart & Wins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