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교과서 활용 학교 교사의 테크놀로지 리더십 인식수준 분석

Assessing Technology Leadership Perception of Teachers in Digital Textbook Utilizing Schools

  • 투고 : 2010.12.22
  • 심사 : 2011.01.27
  • 발행 : 2011.01.30

초록

이 연구는 디지털교과서(Digital Textbook; DT) 활용 학교 교사의 테크놀로지 리더십에 대한 요구 및 수준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2009년도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에서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97명(남 40명, 여57명) 이었다. 요구분석조사를 위한 도구는 기존의 테크놀로지 리더십 역량을 디지털교과서 환경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보리치(Borich) 공식을 이용하여 요구도를 산출 및 해석 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교사들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영역은 교사 '본인의 교수 학습방법'이었으며, 현 수준이 가장 낮다고 인식하는 영역은 '학교지원'인것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로 개선필요성이 가장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테크놀로지 리더십 항목들은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대한 구성원 간 역할 분담', '창의성을 배양할 수 있는 디지털교과서 교수 학습 방법', '디지털교과서 문제 발생 시 대처 능력', '디지털교과서 문제 발생 시 보조 인력 지원', '디지털교과서 효과 측정을 위한 다양한 평가도구 개발', '장애 학생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자원 지원'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교과서의 성공적인 학교 도입을 위해 테크놀로지 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teachers' perception for technology leadership when utilizing the Digital Textbook (D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7 elementary school teachers (40 males and 57 females) working in digital textbook research schools that implemented digital textbooks in 2009. Needs assessment instrument was revised based on previous instruments. Perception was calculated using Borich formula. According to the results, teachers of digital textbook research schools recognized 'teachers' instructional methods' as the most important area, while the least recognized area was 'support by the school'. The highest technology leadership needs by categories included 'role setting between members when implementing digital textbooks', 'instructional methods to cultivate creativity when using digital textbooks', 'troubleshooting digital textbook problems', 'additional staff support in case of problems', 'development of various assessment tools for measuring the effect of the digital textbook', and 'support of digital textbook resour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d specific methods to enhance technology leadership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digital textbooks in school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