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의 언어발달지연 유아 선별에 따른 지원 실태와 요구 분석

Analysis on the Present Support Conditions Based on Screening and Need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for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ed

  • 이진경 (동덕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 조윤경 (한국성서대학교 영유아보육학과)
  • 투고 : 2011.06.23
  • 심사 : 2011.11.27
  • 발행 : 2011.12.31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에게 담당하고 있는 유아들 중 또래들에 비해 언어발달이 늦은 유아들이 있는지 물어보고, 이들이 언어발달지연을 보인다고 선별한 유아 30명에 대한 언어와 사회성숙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이들의 선별은 관련 검사 결과 정확하였다.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의뢰한 보육교사의 선별기준과 자녀의 언어발달지연에 대한 부모의 수용 태도, 이를 지원하기 위한 보육교사의 현 대처방안과 지원 요구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서울지역에 있는 보육시설 10개 기관 13명의 보육교사에 대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는 학급 내에서 언어발달지연 유아의 결손을 보이는 언어특성과 부적응 행동에 따라 언어발달이 지연된다고 의뢰하였고, 둘째, 자녀의 언어발달 지연에 대한 부모들의 태도는 무관심과 사전에 인지하고 있어서 교사에게 먼저 자녀의 언어발달지연에 대해 상담하는 등 다양하였다. 셋째, 보육교사는 학급 내에서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넷째,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위하여 전문가와 기관의 지원, 언어발달에 대한 교사교육, 언어발달지연에 대한 자료와 기준의 제시, 낮은 교사 대 아동비율 등의 지원 요구를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creening and its validation of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in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the response of parents with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and the assistance need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for those children. Teacher interview with semi-structural method, transcription and content analysis method were us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 teachers and 30 infants and toddlers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in 10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in Seoul.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screened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in their classes based on their verbal characteristics and maladjusted behavior. Their screenings were turned out correct. Second, as for the response of parents, the parents who had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were indifferent, were aware of the fact in advance or asked the teachers for counseling on their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Third, the teachers couldn't provide the appropriate supports for the children in needs. Fourth, regarding the assistance needs of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they called for assistance from specialists and professional institutions, and wanted to receive education on language development. Besides, they asked for relevant supporting materials and screening criteria, and considered it necessary to reduce the ratio of teacher to childre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