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어머니가 인식한 '좋은 영아교사'의 의미탐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Mothers of Double-Income Families with Infants about a Good Teacher for Infants

  • 강소영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 전숙영 (나사렛대학교 아동학과)
  • 투고 : 2011.09.27
  • 심사 : 2011.12.16
  • 발행 : 2011.12.31

초록

본 연구는 영아교사와 어머니의 직 간접적인 관계를 통해 맞벌이 어머니의 시각에서 바라본 '좋은 영아교사'란 무엇인지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한 N어린이집과 S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어머니 6명이며 2011년 2월 26일부터 2011년 3월 13일까지 총 2회의 개별적인 만남을 통한 심층면담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녹음, 현장노트, 활동자료집을 이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귀납적 범주 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아이와의 관계에서 맞벌이 어머니가 인식하는 '좋은 영아교사'는 '엄마 같은 교사', '아이가 성장하고 변화함에 노력하는 교사', '신나게 놀아주는 교사'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엄마와의 관계에서 맞벌이 어머니가 인식하는 '좋은 영아교사'는 '엄마의 정서적 지지자로서의 교사', '양육적인 지식에 도움을 주는 교사'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자신의 측면에서 맞벌이 어머니가 인식하는 '좋은 영아교사'는 '한결같은 교사', '진실성을 지닌 교사', '전문성을 지닌 교사', '상호 협력적인 교사'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 good teacher of infants from the perspective of working mothers from double-income families in light of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between working mothers and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ix working mothers from double-income families that had infants who attended N and S daycare centers in the city of Chunan. An in-depth interview was implemented individuall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looks of a good teacher in terms of teacher-infant relationships, the working mothers perceived that a good teacher of infants should be like a mother, try to step up the growth and change of infants and play with them with pleasure. Second, concerning the looks of a good teacher of infants in terms of teacher-mother relationships, the working mothers felt that a good teacher should serve as an emotional supporter for mothers and as one who could help mothers acquire more child rearing knowledge. Third, regarding the looks of a good teacher in terms of an educator, the mothers perceived that a good teacher of infants should be steady, genuine, professional and cooperativ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