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spective Comparing Study of Autologous Hamstring Tendon grafts with Autologous Bone-Patella Tendon-Bone Grafts fo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자가 슬괵건과 자가 슬개골건골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전향적 비교

  • Ahn, Gil-Yeo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Nam, Il-Hy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Moon, Gi-Hyu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Lee, Yeong-Hyeo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Kim, Ki-Choul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Kim, Jung-Hy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안길영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 ;
  • 남일현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 ;
  • 문기혁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 ;
  • 이영현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 ;
  • 김기철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 ;
  • 김정현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
  • Received : 2010.11.29
  • Accepted : 2011.02.11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rospective study is to compare the results of arthroscopic reconstruction of ACL using autologous hamstring tendon (Group 1) and autologous bone patella tendon bone (Group 2).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 2004 to Dec. 2007, fifty patient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A single surgeon performed the ACL reconstruction with autologous hamstring tendon (25 patients) and autologous bone patella tendon bone (25 patients) alternatively each other. The mean follow up period of two groups was 38 months (range 25~58 months). We evaluated the result of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as a physical examination and Lysholm score, Tagner activity scale as patients' satisfaction and functional status and Telometer for anterior instability of each groups at the time of final follow up. Results: In final results, negative or mild positive findings on Lachman test were 24 out of 25 cases (equally) in each groups.) Twenty two cases in the Group 1 and 21 cases in the Group 2 were negative on Pivot shift test. Lysholm scores mark 94.6 points in group 1 and 92.3 points in group 2 at the final follow up and Tegner activity scales mark 8.5 points (Group 1) and 8.1 points (Group 2) at the time of last follow up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tatistically. The numbers of patients who have less than 5 mm of anterior translation of tibia under telometer at 20 degrees of knee flexion are 24 cases in group 1 and 23 cases in group 2. Conclusion: The overall improvements of clinical scores (Lysholm scores and Tegner Activity scales) of the group 1 were a little bit superior to those of the group 2,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목적: 자가 슬괵건 또는 자가 슬개골건골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전향적으로 시술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총 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연구하였으며, 한 명의 시술자에 의해 자가 슬괵건과 자가 슬개골건골을 각각 순차적으로 교대로 사용하여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추시 기간은 양 군 모두 평균 38개월(범위 25~58개월) 이었다. 술전과 최종 추시 시에 Lachman 검사 및 Pivot shift 검사를 실시 하였고, 환자의 주관적 기능은 Lysholm 점수와 Tegner 활동도 점수를 조사하였으며, 전방 안정성은 Telometer를 사용하여 전방 전위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자가 슬괵건을 사용한 군(1군)과 자가 슬개골건골을 사용한 군(2군) 간의 비교에서 Lachman 검사는 음성 또는 경도의 양성이 각각 24명씩이었으며, Pivot shift 검사 또한 1군에서 22명 그리고 2군에서 21명이 음성으로 나타남으로서 두 군간에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다(P=0.18). 최종 추시 시 시행한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 검사에서 Lysholm 점수는 1군이 94.6점 이었고, 2군이 92.3점이었으며, Tegner 활동도 점수도 각각 8.5점과 8.1점으로 나타나 양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P=0.23). 20도 굴곡위에서 Tel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한 전방 전위 정도는 5 mm 미만이 1군에서 24명, 2군에서 23명이었다. 결론: 자가 슬괵건 또는 자가 슬개골건골을 사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Lysholm 점수와 Tegner 활동도 검사상 1군에서 약간 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