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생각하는 과학' 활동을 경험한 중학생들의 변인 통제 전략과 변인의 효과를 추론하는 능력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Ability to Infer the Effects of Variables and Variable-Controlling Strategy in Middle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Thinking Science' Activities

  • 투고 : 2011.02.15
  • 심사 : 2011.05.31
  • 발행 : 2011.06.30

초록

이 연구에서는 '생각하는 과학' 활동을 경험한 중학생들이 이를 경험하지 못한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변인 통제 전략의 적용과 변인의 효과를 추론하는 능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변인 통제 전략 유형은 조작변인의 인식과 변인 통제의 여부에 따라 변인 통제전략 성공형, 변인 통제전략 미완성형, 부분통제형, 통제 불가능형, 변인 통제전략 실패형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변인 통제 전략을 보다 정화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였다.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변인의 효과 추론 능력을 분석한 결과 가역적 사고가 가능한지의 여부와 변인의 효과를 추론할 수 있는지에 따라 변인효과 추론 가능형, 변인효과 추론 불가능형, 가역적 사고 불가능형으로 구분하여 유형화하였다. 실험집단 학생들이 변인효과 추론 가능형에서 통제집단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보상논리 조작을 포함하는 가역적 사고가 가능한 학생들은 형식적 조작기 이상의 학생들에게서 가능하였다. 직관적으로 얻기 힘든 변인의 효과를 추론하는 능력은 두 집단 모두 형식적 조작기 후기에 도달한 인지 수준의 비율과 비슷하였으며, 추론에 성공한 학생들의 비율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학생들 보다 1.5배 정도 더 많았다. 따라서 변인 통제능력과 변인을 추론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생각하는 과학' 활동 프로그램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variable-controlling strategy (below vcs) and the ability to infer the effect of variables in Middle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Thinking Science' activities in a CASE program. For this study, 71 9th grade students experienced in CASE program for 2 years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72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All students were tested with Science Reasoning TaskVII. The five types of variable-controlling strategy were extracted from students' respons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students experienced in CASE program was more successful in the variable-controlling strategy of length, quality, and shape than the control group. The types of reasoning ability of the variable effect intuitively were categorized as possibility of reasoning, impossibility of reasoning, and impossibility of reversible thinking. It has shown that the reason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length and thickness variable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the variable controlling activities in CASE program could be effective for learning variable controlling, and eventually, for the development of reasoning ability of the variable controlling effect. In the ability to infer the effects of variables to get difficult Intuitively, both groups were similar to the rate of cognitive level reached to the formal operation in generalization, and the student of experimental group was 1.5 times faster than the control group.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선자, 최병순 (2005). 변인 통제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실험설계 및 증거제시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111-121.
  2. 김영민, 김수현 (2009).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논리적 사고 능력에 대한 메타 분석 -1980-2000년까지의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4), 437-449.
  3. 김영식 (1999). 학생의 인지 발달 수준에 따른 변인 통제 능력의 형성과 특수 전이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재우, 오원근, 박승재 (1999).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탐구 문제에 대한 변인 판별과 통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674-683.
  5. 남정희, 김성희, 강순희, 박종윤, 최병순 (2002). 변인 통제 문제해결 활동에서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10-121.
  6. 최병순, 최미화, 남정희, 이상권 (2002a). Thinking Scinece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422-431.
  7. 최병순, 한효순, 강성주, 이상권, 강순희, 박종윤, 남정희 (2002b). CASE 프로그램에 의한 중학생들이 인지가속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37-850.
  8. 한윤덕 (2001). CASE의 변인 통제 학습 프로그램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변인 통제 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한효순, 최병순, 강순민, 박종윤 (2002). '생각하는 과학'프로그램의 변인활동이 초등학생의 변인 통제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571-585.
  10. Adey, P., & Shayer, M. (1990).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formal thin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3), 267-285. https://doi.org/10.1002/tea.3660270309
  11. Adey, P., & Shayer, M. (1992).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formal thin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II:Testing the permanency of effec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10), 1101-1115. https://doi.org/10.1002/tea.3660291007
  12. Adey, P., & Shayer, M. (1993).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formal thin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V:Three years after a two-year interven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4), 351-366. https://doi.org/10.1002/tea.3660300404
  13. Adey, P., & Shayer, M. (1994). Really raising standards. London and New York.
  14. Ginsburg, H., & Opper, S. (1979). Piaget's theory of intellectual development. NJ: Prentice-Hall, Inc.
  15. Karplus, R. (1977).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reasoning.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y, CA.
  16. Lawson, A. E., & Wollman, W. T. (1976). Encouraging the transition from concrete to formal cognitive functioning an experiment. Jo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3, 413-430. https://doi.org/10.1002/tea.3660130505
  17. Lawson, A. E. (1993). Deductive reasoning, brain maturation, and science concep acquistion: Are they linked?.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9), 1029- 1051. https://doi.org/10.1002/tea.3660300904
  18. Linn, N. C. (1980). When do adolescents reason?.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 429-440. https://doi.org/10.1080/0140528800020409
  19. Piaget, J., & Inhelder, B. (1958). The growth of logical thinking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New York: Basic Books, INC.
  20. Rosental, D. (1979). The acquisition of formal operations: The effects of two training procedures.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34, 125-140. https://doi.org/10.1080/00221325.1979.10533405
  21. Ross, J. A. (1988). Controlling variables: A meta-analysis of training strategie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8(1), 405-437.
  22. Wylam, H., & Shayer, M. (1980). CSMS science reasoning tasks. NFER Publishing Co.: New York.

피인용 문헌

  1. 과학 수업에서 논리적 사고력 강화 탐구 교수 전략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vol.58, pp.6, 2011, https://doi.org/10.5012/jkcs.2014.58.6.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