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cale and Coverage of Nautical Chart of Korea

한국해도의 구역조정에 관한 연구

  • 이형기 (한국해양대학교 운항훈련원) ;
  • 김종성 (한국해양대학교 운항훈련원) ;
  • 박영수 (한국해양대학교 운항훈련원) ;
  • 강정구 (한국해양수산연수원) ;
  • 박진수 (한국해양대학교 해사대학 항해학부)
  • Received : 2010.12.01
  • Accepted : 2011.06.23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Navigational charts in Korea have been increasingly published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harbour for 60 years without a detailed planning. Recently, charts cause inconvenience to use and make navigator confused because they have not been adjoined to adjacent chart effectively and have been to overlap with other charts of the same scale.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chart system through adjusting area of the chart and rearranging its scale. This newly proposed scheme was first designed by researchers who have on-board career, then has been verified and revised by questionnaire and pilots' opinion. As a result, total number of Korean chart could be changed from 309 to 334.

지난 60년간 급속한 항만 개발로 인하여 다량의 해도가 여러 종류의 축척 및 구역으로 제작되어 인접구역이 효과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거나 과도한 중첩 구역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무리한 제분도의 사용으로 이용자에게 혼란 및 불편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에서 간행되는 해도의 구역 및 축척별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해도구역 조정안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이를 통해 항해 편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합리적인 해도구역 조정을 위하여 연구진이 전문가 의견법을 통하여 개정안을 마련한 후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도선구역별 도선사 협회의 의견 수렴 등을 통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받고 의견을 수렴하여 보완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현재 간행되고 있는 309장의 해도는 334장으로 변경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해양조사원(2002), 해도구역조정 및 번호체계연구, pp. 4-65.
  2. 국립해양조사원(2008), 수로도서지목록, pp. 1-30.

Cited by

  1. Usability Test and Investigation of Improvements of the ECDIS vol.24, pp.2, 2018, https://doi.org/10.7837/kosomes.2018.24.2.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