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수업에서 실험관찰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 방안

Teachers' Cognitions about the Primary Science Textbooks(Experiment and Observation) and It's Improvement in Science Classes

  • 투고 : 2011.03.29
  • 심사 : 2011.04.28
  • 발행 : 2011.04.30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eachers' cognitions about the primary science textbooks(experiment and observation) used in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surveyed 211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WIN 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Most of the teachers showed positive opinions on the directions of the compilation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textbook. Teachers used experiment and observation textbook as summary notes, experiment reports and evaluating methods. The experiment and observation textbooks should be compiled and reorganized in order as follows : Lesson introduction, inquiry activities, and intensive and supplementary activities which are followed by space of description in experiment and observation textbook.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인적자원부(2004). 과학 3-6학년 교과서, 실험관찰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교육인적자원부(1998). 과학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권치순(1985). 과학 교과서와 그에 관련된 교수학습 자료의 활용실태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5(2), 81-88.
  4. 김경순(2003). 과학과 실험관찰 보조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실태.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정길, 장병주, 이영란(1989). 실험관찰 보조 교과서의 효율적인 활용방안.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8(1), 33-48.
  6. 김정애, 노석구(2003).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의 체제와 내용에 대한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2(1), 37-50.
  7. 이영덕, 박문태, 곽병선, 권치순, 김홍원, 이혜영, 김회목, 남미영(1985). 교과서 체제 개선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8. 이주연(2000).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활용 실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이현정(1999). 자연과 실험관찰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활용.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정완호(1993). 과학교과의 새 교과서 구성방향 및 체제. 한국과학교육학회 동계 세미나 자료.
  11. 정은숙(2006). 과학수업에서 실험관찰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방안.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채광표(1990). 자연과 보조교과서 실험관찰의 활용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0(1), 33-46.
  13. 최돈형, 이양락, 노석구, 홍미영, 심규철(1994). 제 6차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용 도서의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4. 최석진, 이승구, 조난심, 박경미(1997). 제 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교과용 도서개발 지침 연구. 한국교육개발원.